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알버트 아인슈타인의 종교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lbert Einstein's Religion View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355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연과학자 내지 과학철학자인 아인슈타인은 전통이나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객관적 관찰자로서 종교를 연구했다. 그의 종교론은 매우 분명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는 종교의 종류로 공포종교, 도덕종교, 우주종교로 나눈다. 특히 그가 말하는 우주종교는 생명의 신비함과 우주질서의 정연함에 경이로움을 갖고 이에 대한 존경과 사랑을 느낄 수 있는 마음을 갖는 것이다. 그는 스스로를 우주적 종교성이 강한 사람으로 생각했다. 그리고 그는 이 우주종교에 희망을 걸기도 하였다.
      아인슈타인은 인격신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했고 그 인격신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인격신이라는 교의가 과학적 사고와 상충될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진정한 인간성에 의한 가치체계를 형성시키는 길을 가로 막음으로써 결국 인간문화의 발전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그는 종교와 과학 간의 문제점과 그 해결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종교와 과학 간에는 갈등이 있기 마련이라고 하는데 그것은 각기 자기의 영역과 역할을 분명히 하지 않는 데서 오는 것으로 보았다. 과학은 오직 존재성에 관한 것만을 말해야 할 뿐 당위(가치판단)에 관해서는 말하지 말아야 하고, 종교는 인간의 사고와 행위에 대한 평가에만 관여해야 하지 사실들과 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말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이러한 아인슈타인의 종교론은 오늘날 우리가 종교를 바르게 이해하는 데도, 또한 종교적 문제를 해결하고 종교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유익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자연과학자 내지 과학철학자인 아인슈타인은 전통이나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객관적 관찰자로서 종교를 연구했다. 그의 종교론은 매우 분명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는 종교의 종류로 공...

      자연과학자 내지 과학철학자인 아인슈타인은 전통이나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객관적 관찰자로서 종교를 연구했다. 그의 종교론은 매우 분명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는 종교의 종류로 공포종교, 도덕종교, 우주종교로 나눈다. 특히 그가 말하는 우주종교는 생명의 신비함과 우주질서의 정연함에 경이로움을 갖고 이에 대한 존경과 사랑을 느낄 수 있는 마음을 갖는 것이다. 그는 스스로를 우주적 종교성이 강한 사람으로 생각했다. 그리고 그는 이 우주종교에 희망을 걸기도 하였다.
      아인슈타인은 인격신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했고 그 인격신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인격신이라는 교의가 과학적 사고와 상충될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진정한 인간성에 의한 가치체계를 형성시키는 길을 가로 막음으로써 결국 인간문화의 발전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그는 종교와 과학 간의 문제점과 그 해결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종교와 과학 간에는 갈등이 있기 마련이라고 하는데 그것은 각기 자기의 영역과 역할을 분명히 하지 않는 데서 오는 것으로 보았다. 과학은 오직 존재성에 관한 것만을 말해야 할 뿐 당위(가치판단)에 관해서는 말하지 말아야 하고, 종교는 인간의 사고와 행위에 대한 평가에만 관여해야 하지 사실들과 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말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이러한 아인슈타인의 종교론은 오늘날 우리가 종교를 바르게 이해하는 데도, 또한 종교적 문제를 해결하고 종교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유익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cerns about Einstein's religion views. As a scientist and a science philosopher, He studied the religion not be bounded custom and thought going back. Einstein explained the religion of fear, the moral religion and the cosmic religion. He said that he is a believer of cosmic religion himself. Especially he concerned the cosmic religion for he maintained that the cosmic religious feeling is the strongest and noblest motive for scientific research. He persisted that the main source of the present-day conflicts between the spheres of religion and science lies in this concept of the personal God. And he persisted that a God who rewards and punishes was inconceivable to him for the simple reason that a man's actions were determined by necessity, external and internal, so that in God's eyes he cannot be responsible for the motions it undergoes. Einstein not believed the fear religion and moral religion for he thoughts that man would indeed be in a poor way if he had be restrained by fear of punishment and hope of reward after death. The future, to Einstein is every whit as necessary and determined as the past.
      번역하기

      This study concerns about Einstein's religion views. As a scientist and a science philosopher, He studied the religion not be bounded custom and thought going back. Einstein explained the religion of fear, the moral religion and the cosmic religion. H...

      This study concerns about Einstein's religion views. As a scientist and a science philosopher, He studied the religion not be bounded custom and thought going back. Einstein explained the religion of fear, the moral religion and the cosmic religion. He said that he is a believer of cosmic religion himself. Especially he concerned the cosmic religion for he maintained that the cosmic religious feeling is the strongest and noblest motive for scientific research. He persisted that the main source of the present-day conflicts between the spheres of religion and science lies in this concept of the personal God. And he persisted that a God who rewards and punishes was inconceivable to him for the simple reason that a man's actions were determined by necessity, external and internal, so that in God's eyes he cannot be responsible for the motions it undergoes. Einstein not believed the fear religion and moral religion for he thoughts that man would indeed be in a poor way if he had be restrained by fear of punishment and hope of reward after death. The future, to Einstein is every whit as necessary and determined as the pa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생애 2
      • Ⅲ. 아이슈타인의 종교 4
      • Ⅳ. 아이슈타인의 종교론 7
      • Ⅴ. 아이슈타인의 종교론에 대한 평가 17
      • Ⅰ. 서론 1
      • Ⅱ. 생애 2
      • Ⅲ. 아이슈타인의 종교 4
      • Ⅳ. 아이슈타인의 종교론 7
      • Ⅴ. 아이슈타인의 종교론에 대한 평가 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