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 유해환경과 또래의 집단 내 압력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Hazardous Environment of the Youth and Peer Pressure for I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71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begins with cognition of necessity of effort for the constructing a future happy and healthy society of the youth. In accomplishing such a task, on the one hand eliminating hazardous environments such as hazardous stores, drugs, and activities which affect them negatively against their healthy growth, and on the other hand constructing good environments are necessary.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analyzing factors which force for them to be disposed to the hazardous environment and relationship between their willing attachment to it and peer pressure resulting their attachment.
      This study shows that the higher of peer pressure exists, the higher probability for their attachment to the hazardous environment exits. In other words, as long as its pressure is high, frequent experience of the environment increase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peer pressure functions as an outward factor for their attachment to it.
      So as the peer pressure of the youth interacts as a factor controlling their behavior and affects their attitudes and value system, it can be utilized as a meaningful method of guiding their behavior in light of its positive way of controlling force.
      번역하기

      This study begins with cognition of necessity of effort for the constructing a future happy and healthy society of the youth. In accomplishing such a task, on the one hand eliminating hazardous environments such as hazardous stores, drugs, and activit...

      This study begins with cognition of necessity of effort for the constructing a future happy and healthy society of the youth. In accomplishing such a task, on the one hand eliminating hazardous environments such as hazardous stores, drugs, and activities which affect them negatively against their healthy growth, and on the other hand constructing good environments are necessary.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analyzing factors which force for them to be disposed to the hazardous environment and relationship between their willing attachment to it and peer pressure resulting their attachment.
      This study shows that the higher of peer pressure exists, the higher probability for their attachment to the hazardous environment exits. In other words, as long as its pressure is high, frequent experience of the environment increase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peer pressure functions as an outward factor for their attachment to it.
      So as the peer pressure of the youth interacts as a factor controlling their behavior and affects their attitudes and value system, it can be utilized as a meaningful method of guiding their behavior in light of its positive way of controlling for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유해환경이란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유해업소, 유해매체, 유해약물, 유해행위에 대한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청소년의 미래사회를 더욱 건강하고 행복하게 만드는데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유해환경에 대한 자발적인 접근을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집단압력의 관계를 살펴보고 청소년들이 유해환경에 노출되는 요인들을 분석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괴는 청소년 집단압력이 높으면 높을수록 청소년의 유해환경에 접근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단의 압력을 경험할수록 유해환경에 대한 경험빈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또래집단의 압력이 청소년들의 유해환경에 중요한 외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집단압력이 청소년들의 행동을 규제하게 되면 청소년 자신의 태도나 가치관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볼 때 청소년 자신의 의지가 아닌 집단의 의지로서 유해환경에 접근한다는 것은 청소년의 적응적 행동지도의 측면에 의미 있는 자료로서 활용 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소년의 유해환경이란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유해업소, 유해매체, 유해약물, 유해행위에 대한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청소년의 미래사회를 더욱 건강하고...

      본 연구는 청소년의 유해환경이란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유해업소, 유해매체, 유해약물, 유해행위에 대한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청소년의 미래사회를 더욱 건강하고 행복하게 만드는데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유해환경에 대한 자발적인 접근을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집단압력의 관계를 살펴보고 청소년들이 유해환경에 노출되는 요인들을 분석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괴는 청소년 집단압력이 높으면 높을수록 청소년의 유해환경에 접근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단의 압력을 경험할수록 유해환경에 대한 경험빈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또래집단의 압력이 청소년들의 유해환경에 중요한 외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집단압력이 청소년들의 행동을 규제하게 되면 청소년 자신의 태도나 가치관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볼 때 청소년 자신의 의지가 아닌 집단의 의지로서 유해환경에 접근한다는 것은 청소년의 적응적 행동지도의 측면에 의미 있는 자료로서 활용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이종, "청소년학개론" 서울: 교육과학원 1996

      2 최인섭, "청소년유해환경 개선을 위한 법?제도적 대책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5

      3 "청소년보호법 제2조"

      4 이광호, "청소년 유해환경의 이해와 규제.청소년문화론" 한국청소년연구원 1992

      5 한상철, "청소년 유해행위 개선대책 연구: 청소년 성관련 문제행동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한국청소년개발원 2005

      6 손희권, "직업선택의 자유의 관점에서의 청소년 유해업소규제에 관한 헌재 판례의 비판고찰" 한국청소년학회 9 (9): 81-106, 2002

      7 한권상, "운동선수의 스포츠 참여 및 유해환경과 사회성 형성에 관한 연구" 40 (40): 107-115, 2001

      8 Deutsch, M., "study of normative and informational social influences upon individual judgment" 51 : 629-636, 1955

      9 Asch, S. E., "Studies of Independence and Conformity: A Minority of One Against a Unanimous Majority" 70 (70): 1956

      10 Asch, S. E., "Opinions and Social Pressure" 193 (193): 31-35, 1955

      1 권이종, "청소년학개론" 서울: 교육과학원 1996

      2 최인섭, "청소년유해환경 개선을 위한 법?제도적 대책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5

      3 "청소년보호법 제2조"

      4 이광호, "청소년 유해환경의 이해와 규제.청소년문화론" 한국청소년연구원 1992

      5 한상철, "청소년 유해행위 개선대책 연구: 청소년 성관련 문제행동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한국청소년개발원 2005

      6 손희권, "직업선택의 자유의 관점에서의 청소년 유해업소규제에 관한 헌재 판례의 비판고찰" 한국청소년학회 9 (9): 81-106, 2002

      7 한권상, "운동선수의 스포츠 참여 및 유해환경과 사회성 형성에 관한 연구" 40 (40): 107-115, 2001

      8 Deutsch, M., "study of normative and informational social influences upon individual judgment" 51 : 629-636, 1955

      9 Asch, S. E., "Studies of Independence and Conformity: A Minority of One Against a Unanimous Majority" 70 (70): 1956

      10 Asch, S. E., "Opinions and Social Pressure" 193 (193): 31-35, 1955

      11 Milgram, S., "Obedience to Authority" NY: Harper & Row 1974

      12 Milgram, S., "Behavioral Study of Obedience" 67 : 371-378, 19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