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동조합 활동과 자녀 사교육 = 교사들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153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사교육 문제는 공교육의 약화와 양극화의 구조화 등이 개선되기보다는 부작용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주체로서 노동조합의 역...

      한국의 사교육 문제는 공교육의 약화와 양극화의 구조화 등이 개선되기보다는 부작용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주체로서 노동조합의 역할에 대한 탐색적 접근으로, 교사들의 자녀 사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교사들의 노동조합 활동이나 정치적 성향과 사교육 의존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경기도 교사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공교육의 일선에 있는 교사들도 자녀들에 대한 사교육을 많이 시키고 있는데, 초·중·고 자녀 1인당 사교육비는 정치적 성향과 관련성이 있는 반면, 노동조합 가입 여부는 부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조합들이 집단적 주체로서 사교육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지 않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노동조합원인 교사들은 노동조합에서 사교육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었지만, 눈앞의 복지기금이나 임금인상분 일부를 지역 교육 사업에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노동조합이 조합원들의 이해대변집단을 넘어 사회 전반의 변화 주도세력으로 인식되고 자리매김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교육문제 해결에 앞장설 것이 요구되며, 이는 동시에 조합원들의 노동조합에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ivate education problem in Korea has only been growing with the continual weakening of public education and the structuralization of polarization in education. This research explores the trade union"s role as one of the main agents in combating ...

      The private education problem in Korea has only been growing with the continual weakening of public education and the structuralization of polarization in education. This research explores the trade union"s role as one of the main agents in combating the problem of private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de union membership, political inclination, and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of public school teachers for their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eachers in Gyeonggi-Do show that public school teachers have had their children take private education in many cases. The money they spend on private education per grade school child i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ir political inclination, but not additionally affected by their union membership. This means that trade unions as a collective force have yet to solve the private education problem. Even though unionized teachers have been perceiving the active role of trade unions, they show apathy when it comes to spending from their benefit fund or from their wage increase for regional education projects. It is time for trade unions to take a leading role in combating the private education problem, which would valuate them as a main force for social change far beyond just an interest group that only serves their members.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course of action to solve the private education problem, trade unions have a great opportunity to bolster active participation in union activities from their memb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글
      • II. 관련 선행연구 검토
      • III. 연구방법
      • IV. 분석 결과
      • V. 맺음말
      • I. 들어가는 글
      • II. 관련 선행연구 검토
      • III. 연구방법
      • IV. 분석 결과
      • 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자동차노동조합, "현대자동차노동조합지부신문"

      2 양정호, "한국의 사교육비 격차 추세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패널조사의 다극화 지수와 지니 계수를 이용한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5 (15): 213-234, 2006

      3 김동춘, "한국 노동운동의 정치조직화의 실패: 1987년 이후 노동조합 활동과 노동자 의식을 중심으로" (겨울) : 316-345, 1993

      4 Willis, Paul, "학교와 계급재생산–반학교문화, 일상, 저항" 이매진 2004

      5 통계청,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2015"

      6 김진억, "지역사회운동노조 지향하며 더불어 사는 희망연대노조" 2013

      7 김현우, "지역사회와 노동운동의 개입전략" 한국노동사회연구소·프리드리히에버트재단 2006

      8 전명숙, "지역고용 노사정파트너십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11

      9 김혜숙, "중학생의 사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51-278, 2012

      10 임성택, "자녀에 대한 학부모의 사교육 동기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3 (43): 271-296, 2012

      1 현대자동차노동조합, "현대자동차노동조합지부신문"

      2 양정호, "한국의 사교육비 격차 추세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패널조사의 다극화 지수와 지니 계수를 이용한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5 (15): 213-234, 2006

      3 김동춘, "한국 노동운동의 정치조직화의 실패: 1987년 이후 노동조합 활동과 노동자 의식을 중심으로" (겨울) : 316-345, 1993

      4 Willis, Paul, "학교와 계급재생산–반학교문화, 일상, 저항" 이매진 2004

      5 통계청,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2015"

      6 김진억, "지역사회운동노조 지향하며 더불어 사는 희망연대노조" 2013

      7 김현우, "지역사회와 노동운동의 개입전략" 한국노동사회연구소·프리드리히에버트재단 2006

      8 전명숙, "지역고용 노사정파트너십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11

      9 김혜숙, "중학생의 사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51-278, 2012

      10 임성택, "자녀에 대한 학부모의 사교육 동기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3 (43): 271-296, 2012

      11 울산광역시, "울산의 사회지표"

      12 김진영, "우리나라 가구 사교육비 지출의 특징과 사교육 정책에 대한 함의"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7 (17): 1-28, 2008

      13 백우정, "시스템사고를 통한 사교육비경감정책 평가: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12 (12): 5-34, 2011

      14 백학영, "소득계층별 사교육비 증가에 따른 가구의 소비지출 변화" 한국사회정책학회 19 (19): 9-47, 2012

      15 이장원, "사회적 책임 정책 대응방안 연구 - ISO 26000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09

      16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사료육비 경감방안에 대한 전교조 입장"

      17 박현정, "사교육비 지출의 변화 패턴과 관련 특성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4 (24): 291-316, 2011

      18 김희삼, "사교육비 지출에 영향을 주는 학교 특성의 분석" 한국노동경제학회 32 (32): 27-59, 2009

      19 홍우형, "사교육비 엥겔 커브 및 소득탄력성 추정" 한국경제연구학회 25 : 45-68, 2009

      20 이재정, "사교육과 민주주의, 그 관계의 역설적 이중성" 대한정치학회 18 (18): 207-231, 2011

      21 이창희, "사교육 팽창과 민주주의" 한국윤리교육학회 (16) : 263-280, 2008

      22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사교육 경감 및 공교육 정상화 대책에 대한 입장– 약발 다한 사교육 경감 방안, 냉소만 불러올 뿐"

      23 남기곤, "부유한 가정일수록 사교육비 비중이 높아지는가?― 가구의 총지출액과 사교육비 지출 비중과의 관련성 ―" 한국경제발전학회 14 (14): 27-53, 2008

      24 고영호, "반노조주의 지역여론과 노동조합의 대응, 울산의 경우" 2006

      25 인수범, "노동조합의 지역사회복지체계 참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2008

      26 백일우, "국내 사교육 문헌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39, 2013

      27 박창언, "교육주체간 이념갈등의 문제와 과제" 한국교육철학회 (48) : 123-149, 2012

      28 강영혜, "교육관련 주체들의 이념적 좌표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3

      29 고용노동부, "교원노동조합 조직현황"

      30 정진상, "교사의 사회의식과 전교조" 한울아카데미 2006

      31 진숙경, "경기도 내 노동조합 구성원들의 사교육 실태 및 의식조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4

      32 김미란, "가계의 사교육비 지출 규모와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1-26, 2009

      33 Tattersall, Amanda, "Understanding what Makes Union-community Coalition Effective: A Framework for Analysing Union-community Relationships" 2005

      34 Fontan, J., "Social Economy : International Debates and Perspectives" Black Rose Books

      35 Wills, Jane, "Building Reciprocal Community Unionism in the UK" Capital & Class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8-0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노사관계학회 ->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7 1.247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