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교양영어 및 팀티칭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만족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410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교양영어 및 그 팀티칭의 운영체계, 교육목표 및 강좌구성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했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초·중등학교의 영어 팀티칭에 대한 연구, 교양영어나 팀티칭의 실태조사, 학습자나 교수자의 기본적인 인식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보다 광범위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했다. 2012년 2학기에 교양영어를 수강하는 296명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현행 수업 시수, 즉 주 4시간에 만족하지만, 학급당 수업 인원은 축소하기를 원했다. 둘째, 학습자들은 교양영어가 중요하고 취업 준비를 하는데 필수적이라는 것을 확실히 인식했다. 셋째, 효과적인 팀티칭을 위하여 한국인 교수와 원어민 교수의 긴밀한 협력과 파트너쉽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넷째, 한국인 교수와 원어민 교수가 함께 수업목표를 설정해서 공동으로 교재 개발과 시험 문제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교수들은 학습자들이 수업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교양영어 및 그 팀티칭의 운영체계, 교육목표 및 강좌구성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했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초·중등학교의 영어 팀티칭에 대한 연구, 교양영...

      본 연구에서는 교양영어 및 그 팀티칭의 운영체계, 교육목표 및 강좌구성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했다. 기존의 연구는 주로 초·중등학교의 영어 팀티칭에 대한 연구, 교양영어나 팀티칭의 실태조사, 학습자나 교수자의 기본적인 인식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보다 광범위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했다. 2012년 2학기에 교양영어를 수강하는 296명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현행 수업 시수, 즉 주 4시간에 만족하지만, 학급당 수업 인원은 축소하기를 원했다. 둘째, 학습자들은 교양영어가 중요하고 취업 준비를 하는데 필수적이라는 것을 확실히 인식했다. 셋째, 효과적인 팀티칭을 위하여 한국인 교수와 원어민 교수의 긴밀한 협력과 파트너쉽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넷째, 한국인 교수와 원어민 교수가 함께 수업목표를 설정해서 공동으로 교재 개발과 시험 문제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교수들은 학습자들이 수업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general English and its team teaching and to suggest how to improve the program and make it more effective based on their opinions. 296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23 items concerning students’ overall perceptions of general English and its team t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students satisfy credit hours of SEP(Silla English Program) 4 hours per week, but they also want class sizes to be reduced. Second, students strongly recognized that SEP is important and necessary for their job after graduation. Third, both Korean and native English professors need to develop effective team teaching partnership based on regular conferences and close collabor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hat both professors play more active roles in team teaching classrooms from lesson planning to teaching materials. Fifth, both professors need to develop appropriate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to satisfy the needs of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general English and its team teaching and to suggest how to improve the program and make it more effective based on their opinions. 296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particip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general English and its team teaching and to suggest how to improve the program and make it more effective based on their opinions. 296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23 items concerning students’ overall perceptions of general English and its team t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students satisfy credit hours of SEP(Silla English Program) 4 hours per week, but they also want class sizes to be reduced. Second, students strongly recognized that SEP is important and necessary for their job after graduation. Third, both Korean and native English professors need to develop effective team teaching partnership based on regular conferences and close collabor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hat both professors play more active roles in team teaching classrooms from lesson planning to teaching materials. Fifth, both professors need to develop appropriate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to satisfy the needs of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및 논의
      • 국문 초록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 방법
      • 4. 연구 결과 및 논의
      • 5.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남숙, "협동수업을 통한 원어민 보조교사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2 조명원, "협동수업 지도론" 한신문화사 1993

      3 권오량, "한국의 영어교수 방법과 교수방법론 연구의 변천" 50 (50): 107-131, 1995

      4 배두본, "한국의 영어 교육학의 발달" 50 (50): 7-45, 1995

      5 이승선, "초등학교 영어 협동수업에서 한국인 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역할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6 林智仁, "원어민교사가 학생들의 정의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7 연준흠, "원어민과의 협동수업을 통한 의사 소통 능력 향상 방안" 2 : 25-55, 1996

      8 김영신, "원어민 영어교사가 학생들의 정의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인 영어교사와 비교하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9 박은영, "원어민 영어교사 협동수업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10 박정숙, "원어민 영어교사 팀티칭의 교육효과-대체적 수업모형과의 비교 실험" 7 (7): 97-121, 2000

      11 정길정, "원어민 영어 교사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초중등학교 영어 협동수업 현황 조사 연구" 54 (54): 210-227, 1999

      12 고은하, "원어민 영어 교사의 실제 수업과 그 효과" 5 : 549-562, 2000

      13 박기화, "원어민 영어 교사 활용을 위한 제언" 3 (3): 29-42, 1996

      14 김선명, "원어민 보조학습이 초등영어교육에 미치는 영향" 33 (33): 7-36, 2006

      15 이인철, "원어민 보조교사 활용이 중학교 영어 듣기 교육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려대 2004

      16 이정희, "원어민 보조교사 활용이 중학교 영어 교육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1

      17 이진경, "원어민 보조 교사의 영어 수업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18 鄭光柱, "원어민 교사의 실제수업과 그 효과" 昌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19 정동수, "대학의 교양영어 과목 개선을 위한 연구" 56 (56): 265-292, 2001

      20 김상수, "대학 교양영어교육의 효율적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 교수자와 학습자의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21 조정순, "대학 교양영어 교육의 현황과 방향성 탐구" 한국영어교육학회 57 (57): 365-394, 2002

      22 송미정, "대학 교양영어 교육의 통합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영어 프로그램의 사례 연구" 한국영어교육학회 59 (59): 179-212, 2004

      23 임정완, "대학 교양영어 과목 개선을 위한 학습자 요구분석" 7 (7): 130-149, 2006

      24 이예식, "교양영어교육의 실태와 개선방향"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3 (53): 257-276, 2005

      25 김현옥, "교양영어 프로그램에 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만족도 및 인식 비교"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4 (14): 179-205, 2007

      26 김세련, "日本語敎育의 效率性 創出을 위한 學習者 滿足度 現況分析-新羅大學校 敎養SJP*팀티칭 事例를 中心으로-" 한국일어일문학회 79 (79): 107-128, 2011

      27 Buckley, S. J, "Team teaching-What, why, and how?" International educational and professional publisher 2002

      28 Thousand. J. S, "Sharing expertise and responsibilities through teaching teams, In Support systems for educating students in the mainstream" Paul H. Brookes Publishing Company 151-166, 1990

      29 김선호, "Improving team teaching between native and non 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 An action research study in Korea"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0 표경현, "Different Need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3 (13): 1-22, 2006

      31 Schultz, R. A., "Cultural differences in student and teacher perceptions concerning the role of grammar instruction and corrective feedback: USA-Columbia" 85 (85): 244-258,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ogito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2 1.18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