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서지역 고려시대 철 및 철기의 생산-다인철소(多仁鐵所)를 중심으로- = Production of iron and ironware in the Hoseo region during the Goryeo Dynasty: Focused on Daincheolso (多仁鐵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855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호서지역 고려시대 철 및 철기 생산기술의 특징에 대해 다인철소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문헌기록·지명·고고유적을 통해 다인철소가 충주 대소원면에 위치했음을 논증하였으며, 원삼국~조선시대 충주에서 최대 규모의 철이 생산될 수 있었던 배경으로 다수의 철광산과 풍부한 삼림, 남한강의 수운(水運), 가경지(可耕地), 일찍부터 발전한 제철기술 등에 주목하였다. 충주지역 고려시대 제련로의 구조 변화는 주조철기 소재용 선철의 선별·대량 생산과 관련되었으며, 구체적 유물로 쟁기·쇠솥·철불·당간·화포 등의 주조철기를 제시하였다.
      다인철소의 제철기술은 철의 대량생산과 철 소재 및 완성된 철기의 제작이라는 두 가지 계통으로 구분되며, 괴련철과 선철, 철 소재, 단조 및 주조철기를 모두 생산했다. 많은 양의 철 소재를 공역(貢役)에 소요했으며, 몽골과의 항쟁에 필요한 병기류와 소민의 생활이기도 제작하였다. 정부·민간의 다중적(多重的) 철 수요, 특히 이전 시기와는 다른 선철의 사회적 수요 급증을 관영 제철소인 다인철소의 선제적 기술변혁의 동인(動因)으로 해석하였다. 향후 충주 및 호서지역 출토 철기유물에 대한 집성 및 검토가 이루어진다면, 우리나라 제철기술의 계기적 발전양상을 밝혀내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번역하기

      본고는 호서지역 고려시대 철 및 철기 생산기술의 특징에 대해 다인철소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문헌기록·지명·고고유적을 통해 다인철소가 충주 대소원면에 위치했음을 논증하였으며, ...

      본고는 호서지역 고려시대 철 및 철기 생산기술의 특징에 대해 다인철소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문헌기록·지명·고고유적을 통해 다인철소가 충주 대소원면에 위치했음을 논증하였으며, 원삼국~조선시대 충주에서 최대 규모의 철이 생산될 수 있었던 배경으로 다수의 철광산과 풍부한 삼림, 남한강의 수운(水運), 가경지(可耕地), 일찍부터 발전한 제철기술 등에 주목하였다. 충주지역 고려시대 제련로의 구조 변화는 주조철기 소재용 선철의 선별·대량 생산과 관련되었으며, 구체적 유물로 쟁기·쇠솥·철불·당간·화포 등의 주조철기를 제시하였다.
      다인철소의 제철기술은 철의 대량생산과 철 소재 및 완성된 철기의 제작이라는 두 가지 계통으로 구분되며, 괴련철과 선철, 철 소재, 단조 및 주조철기를 모두 생산했다. 많은 양의 철 소재를 공역(貢役)에 소요했으며, 몽골과의 항쟁에 필요한 병기류와 소민의 생활이기도 제작하였다. 정부·민간의 다중적(多重的) 철 수요, 특히 이전 시기와는 다른 선철의 사회적 수요 급증을 관영 제철소인 다인철소의 선제적 기술변혁의 동인(動因)으로 해석하였다. 향후 충주 및 호서지역 출토 철기유물에 대한 집성 및 검토가 이루어진다면, 우리나라 제철기술의 계기적 발전양상을 밝혀내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iron and ironware manufacturing technology in the Hoseo region were examined, focused on Daincheolso during the Goryeo Dynasty. Based on literary records, place names, and archaeological remains, it was demonstrated that Daincheolso was located in Daesowon-myeon, Chungju. In addition, it was noted that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largest amount of iron was produced in Chungju included water transportation on the Namhangang River, arable land, and the early introduction of iron manufacturing technology. Since it seems that the structural change of smelting furnaces in the Chungju region during the Goryeo Dynasty was related to the mass production of pig iron, cast ironware was presented as historical evidence, and included plows, iron pots, iron statues of the Buddha, danggan (幢竿; a stick-shaped device used to push gunpowder into artillery), and artillery.
      Iron manufacturing technology in Daincheolso was divided into two systems: mass production of iron, and production of iron materials and finished ironware. Not only was a large amount of iron materials used to pay public duties (貢役), in that manufactured specialty goods that were levied by that government as an in-kind tax on the common people, but it was also used to produce the weapons needed for the long war against the Mongol Empire and the daily necessities of the local residents. These multiple demands for iron from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especially the surge in social demand for pig iron,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eriod, were considered 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proactive change in the iron manufacturing technology of Daincheolso, a government-run steel mill.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iron and ironware manufacturing technology in the Hoseo region were examined, focused on Daincheolso during the Goryeo Dynasty. Based on literary records, place names, and archaeological remains, it was demonstrat...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iron and ironware manufacturing technology in the Hoseo region were examined, focused on Daincheolso during the Goryeo Dynasty. Based on literary records, place names, and archaeological remains, it was demonstrated that Daincheolso was located in Daesowon-myeon, Chungju. In addition, it was noted that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largest amount of iron was produced in Chungju included water transportation on the Namhangang River, arable land, and the early introduction of iron manufacturing technology. Since it seems that the structural change of smelting furnaces in the Chungju region during the Goryeo Dynasty was related to the mass production of pig iron, cast ironware was presented as historical evidence, and included plows, iron pots, iron statues of the Buddha, danggan (幢竿; a stick-shaped device used to push gunpowder into artillery), and artillery.
      Iron manufacturing technology in Daincheolso was divided into two systems: mass production of iron, and production of iron materials and finished ironware. Not only was a large amount of iron materials used to pay public duties (貢役), in that manufactured specialty goods that were levied by that government as an in-kind tax on the common people, but it was also used to produce the weapons needed for the long war against the Mongol Empire and the daily necessities of the local residents. These multiple demands for iron from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especially the surge in social demand for pig iron,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eriod, were considered 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proactive change in the iron manufacturing technology of Daincheolso, a government-run steel mil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지선 ; 김태우 ; 정낙현 ; 곽병문 ; 이은우, "한성기 백제 송풍관 연구 - 곡관형 송풍관을 중심으로 -" 중부고고학회 15 (15): 43-72, 2016

      2 조록주, "한반도의 제철유적Ⅱ"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한국문화유산협회 2022

      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한반도의 제철유적Ⅱ" 2022

      4 이남규, "한반도의 제철유적"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2

      5 신경환, "한반도의 제철유적"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2

      6 김권일, "한반도의 제철유적"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2

      7 崔仁善, "한국 철불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8 김권일, "한국 고대 제철기술의 고고학적 연구-영남지역을 중심으로-" 학연문화사 2020

      9 이남규, "한국 고대 제철공정의 재검토 — 중국과의 비교적 시각에서" 한국고고학회 (111) : 116-151, 2019

      10 길경택, "충주지역의 야철유적" 역사실학회 32 : 2007

      1 한지선 ; 김태우 ; 정낙현 ; 곽병문 ; 이은우, "한성기 백제 송풍관 연구 - 곡관형 송풍관을 중심으로 -" 중부고고학회 15 (15): 43-72, 2016

      2 조록주, "한반도의 제철유적Ⅱ"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한국문화유산협회 2022

      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한반도의 제철유적Ⅱ" 2022

      4 이남규, "한반도의 제철유적"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2

      5 신경환, "한반도의 제철유적"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2

      6 김권일, "한반도의 제철유적"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2

      7 崔仁善, "한국 철불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8

      8 김권일, "한국 고대 제철기술의 고고학적 연구-영남지역을 중심으로-" 학연문화사 2020

      9 이남규, "한국 고대 제철공정의 재검토 — 중국과의 비교적 시각에서" 한국고고학회 (111) : 116-151, 2019

      10 길경택, "충주지역의 야철유적" 역사실학회 32 : 2007

      11 中原文化財硏究院, "충주 클린에너지파크 조성부자 발굴조사 보고서 忠州 豆井里 遺蹟" 2010

      12 김권일, "충주 완오리 고려시대 철 제련로의 구조와 조업방식" 아주대학교 도구박물관·한국철문화연구회 2020

      13 김권일, "충주 완오리 고려시대 철 제련로의 구조 및조업방식 연구" 한국중세고고학회 (10) : 5-43, 2021

      14 中原文化財硏究院, "충주 문성리 동촌CC 조성사업부지 내 충주 가신리·문성리 유적" 2014

      15 김서진, "충주 대소리 유적" 가디언문화재연구원 2020

      16 가디언문화유산연구원, "충주 대소리 유적" 2020

      17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 노계마을(본리 209-1번지) 제철유적 발굴조사보고서" 2016

      18 이은우, "충주 노계마을(본리 209-1번지) 제철유적 발굴조사보고서"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16

      19 조수연, "최신 금속재료공학" 구민사 2015

      20 조록주, "청주 송절동 제철유적의 특성 검토" 아주대학교박물관·인문학연구소·디지털연구센터 25 : 2019

      21 장덕원, "진천 석장리유적의 제철시설 성격 재검토" 중앙문화유산연구원 (23) : 1-30, 2017

      22 조록주, "중원지역 철 생산유적에 대한 성격"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18·19 : 2012

      23 김경호, "중원지역 제철로 연구" 한국고대학회 (36) : 107-143, 2012

      24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중원지역 제철기술 복원연구 종합보고서 2015~2019" 2019

      25 최영민, "중세 철 생산기술의 발전 양상" 한국중세고고학회 (9) : 73-106, 2021

      26 최영민, "중세 제련기술 복원 실험 결과 보고" 아주대학교박물관·인문과학연구소·디지털역사연구센터 26 : 2020

      27 조록주, "조선 후기 보은지역 제철유적 특성과 조업양상" 중원문화재연구원 7 : 2022

      28 김권일 ; 이남규, "제철유물 금속분석의 고고학적 해석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88) : 69-102, 2016

      29 신경환, "전통 철물 제법 기준 마련 및 활성화 방안 연구(2차)"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경원텍주식회사 2017

      30 강성귀, "선철 생산기술, In 기술의 고고학" 한국고고학회 2022

      31 한강문화재연구원, "서울 군기시터 유적" 2011

      32 이재성, "서울 군기시터 유적" 한강문화재연구원 2011

      33 박상현, "보은 대원리 유적으로 보는 조선시대 제철수공업" 중앙문화유산연구원 (37) : 113-147, 2022

      34 김혜완, "보원사(普願寺) 철불(鐵佛)의 조상-고려 초 원주철불과 관련하여" 수선사학회 14 : 2000

      35 한지선, "백제 제철조업의 공정별 연구 현황과 과제" 백제학회 (25) : 31-62, 2018

      36 이남규, "동북아시아 제철기술 비교 연구논문집"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河南城文物考古硏究院 2017

      37 金想民, "김제 장흥리 은곡 제철유적" 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 2011

      38 산업통상자원부, "광물자원 매장량 현황(2020.12.31. 현재)" 2021

      39 이정신, "고려시대의 특수행정구역 소 연구" 도서출판 혜안 2013

      40 이정신, "고려시대 제철수공업의 운영형태와 철소" 한국중세고고학회 (9) : 5-32, 2021

      41 金炫榮, "고려시기의 所에 대한 재검토" 서울대 국사학과 15 : 1986

      42 최영민, "고대 한반도 중부지역의 제철기술 연구" 진인진 2017

      43 尹鍾均, "고대 철생산에 대한 일고찰 : 중남부지역의 고고학적 성과를 중심으로"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8

      44 嚴基杓, "高麗時代 幢竿과 幢竿支柱" 韓國文化史學會 11·12·13 : 1999

      45 徐明禧, "高麗時代 ‘鐵所’에 대한 硏究" 韓國史硏究會 69 : 1990

      46 徐聖鎬, "高麗前期 手工業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47 孫明助, "韓半島 中·南部地域 古代 鐵器生産技術과 發展過程의 연구를 위한 試論 : 鐵器生産 유적을 중심으로" 東義大學校 大學院 1997

      48 송윤정, "統一新羅時代 鐵製牛耕具의 特徵과 發展樣相" 한국고고학회 (72) : 192-239, 2009

      49 정광용, "慶州 外洞地區 農村用水開發 事業地區 內 遺蹟 發掘調査報告書" 中央文化財硏究院 2002

      50 忠州博物館, "忠州 利柳面 冶鐵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1996

      51 이은우, "忠州 老鷄마을유적(본리 324-1번지) 발굴조사보고서"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15

      52 國立中原文化財硏究所, "忠州 老鷄마을유적(본리 324-1번지) 발굴조사보고서" 2015

      53 忠州博物館, "忠州 老隱面의 文化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2000

      54 신경환, "忠州 豆井里 遺蹟" 中原文化財硏究院 2010

      55 어창선, "忠州 製鐵遺蹟의 現況과 性格" 한국고대학회 (35) : 279-308, 2011

      56 中原文化財硏究院, "忠州 彈琴臺土城 -2007年度 發掘調査 報告" 2009

      57 中原文化財硏究院, "忠州 尖端地方産業團地 進入道路 開設事業部地 內 遺蹟 發掘調査 報告書 -老鷄마을 高麗時代 冶鐵遺蹟" 2010

      58 정광용, "忠州 尖端地方産業團地 進入道路 開設事業敷地 內 遺蹟 發掘調査 報告書 -老鷄마을 高麗時代 冶鐵遺蹟" 中原文化財硏究院 2010

      59 박장식, "忠州 尖端地方産業團地 造成事業部地內 忠州 本里·永平里·完五里 遺蹟" 中央文化財硏究院 2009

      60 中央文化財硏究院, "忠州 尖端地方産業團地 造成事業部地內 忠州 本里·永平里·完五里 遺蹟" 2009

      61 이은우, "忠州 完五里 遺蹟" 한국선사문화연구원 2017

      62 한국선사문화연구원, "忠州 完五里 山1144-2, 山144-20番地 單獨住宅新築敷地 內 忠州 完五里 遺蹟" 2017

      63 世淵鐵博物館, "忠北 陰城郡의 冶鐵址, 忠州市 仰城面의 冶鐵址" 2003

      64 韓國文化財保護財團, "中部內陸高速道路 忠州區間 文化遺蹟 發掘調査 報告書" 2001

      65 김재홍, "中·近世 農具의 종합적 분석" 중앙문화유산연구원 (10) : 39-98, 2012

      66 角田德幸, "たたら次製鐵の成立と展開" 淸文堂 2014

      67 신경환, "2019 울산쇠부리 제철기술 복원실험 연구보고서" 울산광역시북구문화원·울산쇠부리복원사업단 2019

      68 조록주, "(三都賦)를 통해 본 고려 중기 제철공정과 생산품" 중원문화재연구원 24 :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