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시설청소년의 진로성숙 수준과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의 관계를 분석하여, 퇴소 후 안정적인 자립을 할 수 있도록 돕는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073787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 , 2013. 2
2013
한국어
시설청소년 ; 진로성숙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서울
75 ; 26cm
지도교수:김주일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설청소년의 진로성숙 수준과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의 관계를 분석하여, 퇴소 후 안정적인 자립을 할 수 있도록 돕는데 ...
본 연구는 시설청소년의 진로성숙 수준과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의 관계를 분석하여, 퇴소 후 안정적인 자립을 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정책적으로는 퇴소 후 자립의 일환인 진로성숙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실천적으로는 진로성숙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개별적․단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시설청소년 가운데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2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 수준을 알아본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목표선택이 가장 높은 결과로 나타났고, 진로성숙의 하위요인 중 준비성이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시설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성별, 학교급(연령), 성적은 시설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시설거주 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종속변수인 진로성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독립변수 및 통제변수를 살펴본 결과, 성별, 학교급(연령), 성적은 진로성숙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지만 시설거주기간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은 진로성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진다.
넷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입력된 모델1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입력된 모델2의 경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요인을 포함한 모델2가 회귀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성별은 여성일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지고 목표선택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성숙 수준도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에 큰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시설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 수준이 높다는 연구결과는 시설청소년들이 진로관련 교육을 많이 받았다는 것에 기인하지만, 진로를 탐색 하는 수준 정도로 교육이 진행되므로 보다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이 성별과 학교급(연령)에 영향을 미치므로 연령별, 성별 특성에 맞춘 진로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성적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므로 학업에 관심을 갖고 성적을 높일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시설거주기간이 진로성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다는 연구결과는 한 명의 선생님이 담당하는 청소년의 수가 많고, 이직이 잦은 것이 영향을 미치므로 전담인력을 배치하여 개별적으로 전문적인 진로지도를 받을 수 있는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므로 진로성숙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각 하위요인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여섯째, 진로지도는 안정적인 자립을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추진․확대 되어야 하므로, 진로지도가 포함된 자립지원 프로그램이 제도화되고 정착화 되는 것이 필요하다. 일곱째, 시설청소년의 진로지도는 아동양육시설만의 역할이 아니므로, 적성과 소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직업 및 취업에 전문성을 가진 유관기관과의 연계 등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