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술치료를 통한 자기치유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상처 입은 예비 미술치료사 중심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478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상처 입은 예비 미술치료사들이 미술치료를 통한 자기치유 과정에서 겪는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그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를 통해 자기 치유의 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세 명의 상처 입은 예비 미술치료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내러티브 탐구1) 방법론을 적용하여 이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분석하였다. 상처 입은 예비 미술치료사들의 미술치료를 통한 자기치유 경험에 대한 현장 텍스트 분석을 통해 핵심 주제를 발견하고, 이를 중심으로 연구 텍스트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연구문제에 따른 4개의 본질적 주제와 13개의 의미 주제, 15개의 의미 단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본질주제는 ‘본색을 잃은 삶’, ‘본색을 찾은 삶’, ‘본색을 찾도록 돕는 새 삶’, ‘본색이 빛나는 삶’으로 정리되었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4가지의 결론을 내렸다. 첫째, 참여자들은 상처로 인해 ‘본색을 잃은 삶’을 살아왔다. 둘째, 참여자 들은 미술치료를 통한 자기 치유 경험으로 ‘본색을 찾은 삶’을 살 수 있는 주체적인 삶의 주도권을 갖게 되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자기 치유 경험을 통해 그들의 상처를 ‘본색을 찾도록 돕는 새 삶’이라는 치료의 원천으로 승화하였다. 넷째, ‘본색이 빛나는 삶’은 예비미술치료사로서의 성찰과 성장의 자양분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상처 입은 치유자의 미술치료를 통한 개인의 자기치유 경험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 경험이 상처 입은 치유자에게 주는 의미와 가치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이해의 과정은 향후 미술치료를 통해 상처를 다루고자 하는 상처 입은 치료사들에게 새로운 성찰과 성장에 기여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상처 입은 예비 미술치료사들이 미술치료를 통한 자기치유 과정에서 겪는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그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술...

      본 연구의 목적은 상처 입은 예비 미술치료사들이 미술치료를 통한 자기치유 과정에서 겪는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그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를 통해 자기 치유의 경험을 했다고 응답한 세 명의 상처 입은 예비 미술치료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내러티브 탐구1) 방법론을 적용하여 이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분석하였다. 상처 입은 예비 미술치료사들의 미술치료를 통한 자기치유 경험에 대한 현장 텍스트 분석을 통해 핵심 주제를 발견하고, 이를 중심으로 연구 텍스트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연구문제에 따른 4개의 본질적 주제와 13개의 의미 주제, 15개의 의미 단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본질주제는 ‘본색을 잃은 삶’, ‘본색을 찾은 삶’, ‘본색을 찾도록 돕는 새 삶’, ‘본색이 빛나는 삶’으로 정리되었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4가지의 결론을 내렸다. 첫째, 참여자들은 상처로 인해 ‘본색을 잃은 삶’을 살아왔다. 둘째, 참여자 들은 미술치료를 통한 자기 치유 경험으로 ‘본색을 찾은 삶’을 살 수 있는 주체적인 삶의 주도권을 갖게 되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자기 치유 경험을 통해 그들의 상처를 ‘본색을 찾도록 돕는 새 삶’이라는 치료의 원천으로 승화하였다. 넷째, ‘본색이 빛나는 삶’은 예비미술치료사로서의 성찰과 성장의 자양분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상처 입은 치유자의 미술치료를 통한 개인의 자기치유 경험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 경험이 상처 입은 치유자에게 주는 의미와 가치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이해의 과정은 향후 미술치료를 통해 상처를 다루고자 하는 상처 입은 치료사들에게 새로운 성찰과 성장에 기여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inquire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s of the experiences which wounded would-be art therapists have in the process of self-healing by art therapy, and therefore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se experiences. To this purpose, this research considers as its object three wounded would-be art therapists who answer that they have experienced self-healing by art therapy, and attempt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ir experiences by narrative inquiry method. After analyzing fieldwork texts about the self-healing by art therapy which three wounded would-be art therapists have experienced, this research discovers key themes, and makes up research text on the basis of that discovery. As a result, this research produces 4 key themes, 13 meaning themes, and 15 meaning units, according to research topics. Key themes are classified into life deprived of its true colors, life recovering its true colors, new life helping one’s life recover its true colors, life making its true colors shining. Four conclusions based on this result are as follows. First, subjects have lived a life deprived of its true colors from the wounds that they received. Second, by virtue of self-healing experience by art therapy, subjects have had an autonomous initiative in their life, making possible a life recovering its true colors. Third, by virtue of self-healing experience, subjects have sublimated their wounds into new life helping one’s life recover its true colors that is a source of therapy. Fourth, life making its true colors shining functions as good nourishment of reflection and growth for would-be art therapists. This research makes us understand the self-healing by art therapy which wounded therapists have experienced, and reveals the meaning and value that this experiences confer on wounded therapists. The process of this understanding can be used as base line data that provides a chance of new reflection and growth to wounded therapists, who will deal with wounds by art therapy.
      번역하기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inquire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s of the experiences which wounded would-be art therapists have in the process of self-healing by art therapy, and therefore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se experien...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inquire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s of the experiences which wounded would-be art therapists have in the process of self-healing by art therapy, and therefore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se experiences. To this purpose, this research considers as its object three wounded would-be art therapists who answer that they have experienced self-healing by art therapy, and attempt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ir experiences by narrative inquiry method. After analyzing fieldwork texts about the self-healing by art therapy which three wounded would-be art therapists have experienced, this research discovers key themes, and makes up research text on the basis of that discovery. As a result, this research produces 4 key themes, 13 meaning themes, and 15 meaning units, according to research topics. Key themes are classified into life deprived of its true colors, life recovering its true colors, new life helping one’s life recover its true colors, life making its true colors shining. Four conclusions based on this result are as follows. First, subjects have lived a life deprived of its true colors from the wounds that they received. Second, by virtue of self-healing experience by art therapy, subjects have had an autonomous initiative in their life, making possible a life recovering its true colors. Third, by virtue of self-healing experience, subjects have sublimated their wounds into new life helping one’s life recover its true colors that is a source of therapy. Fourth, life making its true colors shining functions as good nourishment of reflection and growth for would-be art therapists. This research makes us understand the self-healing by art therapy which wounded therapists have experienced, and reveals the meaning and value that this experiences confer on wounded therapists. The process of this understanding can be used as base line data that provides a chance of new reflection and growth to wounded therapists, who will deal with wounds by art therap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2. 연구 문제
      • Ⅱ. 이론적 배경
      • 국문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2. 연구 문제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1. 연구방법 및 절차
      • 2. 연구 참여자 선정
      • 3. 자료 수집: 현장텍스트의 구성
      • 4. 자료 분석: 연구텍스트의 구성
      • Ⅳ. 미술치료를 통한 자기 치유 경험
      • 1. 본색을 잃은 삶
      • 2. 본색을 찾은 삶
      • 3. 본색을 찾도록 돕는 새 삶
      • 4. 본색이 빛나는 삶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