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긍정적 자기상 형성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478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이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함으로써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강화를 통해서 긍정 적 자기상을 형성하는데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J도 G시에 소재하고 있는 O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저소득층 아동으로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까지 아동 20명을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선할당하였으며 실험 집단은 2014년 7월 23일부터 2015년 1월 28일까지 주 1회 90분씩 사전・사후검사 변화를 포함하여 총 25회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무처치하였다.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양적분석으로 SPSS for Window (Version 21.0 SPSS Inc.,)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긍정적 자기상 형성에 대해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자기상 형성을 위해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그리고 자기효능감 변화양상의 결과에 대해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정적 자기상을 가지고 있는 저소득층 아동들이 집단미술치료프로그 램을 통하여 긍정적으로 자기를 인식하였고 지지와 격려를 받으면서 행동과 태도가 긍정적으로 바뀌면서 긍정적 자기상을 형성하는데 효과를 주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이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함으로써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강화를 통해서 긍정 적 자기상을 형성하는데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이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함으로써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강화를 통해서 긍정 적 자기상을 형성하는데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J도 G시에 소재하고 있는 O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저소득층 아동으로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까지 아동 20명을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선할당하였으며 실험 집단은 2014년 7월 23일부터 2015년 1월 28일까지 주 1회 90분씩 사전・사후검사 변화를 포함하여 총 25회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무처치하였다.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양적분석으로 SPSS for Window (Version 21.0 SPSS Inc.,)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긍정적 자기상 형성에 대해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자기상 형성을 위해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그리고 자기효능감 변화양상의 결과에 대해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정적 자기상을 가지고 있는 저소득층 아동들이 집단미술치료프로그 램을 통하여 긍정적으로 자기를 인식하였고 지지와 격려를 받으면서 행동과 태도가 긍정적으로 바뀌면서 긍정적 자기상을 형성하는데 효과를 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on creating a positive self-image by heightening the concept of ego, self-respect, and self-efficacy. The subjects wer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ttending O Regional Children's Center in G City, J Province. Twenty children attending 4th to 6th grade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of 10 subjects and the control group of 10 subjects. The experiment group attended 25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from July 23, 2014 to January 28, 2015 for 90 minutes once a week, including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hereas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herap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technical statistics was used to extract samples using the SPSS for Window (Version 21.0 SPSS Inc.)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low-income children's positive self-image. Positive change for the formation of the self concept,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nd there was a positive effect. The low-income children with negative self-images were able to perceive themselves positively through this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their behaviors and attitude became positive with support and encouragement to develop positive self-image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on creating a positive self-image by heightening the concept of ego, self-respect, and self-efficacy. The subjects wer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on creating a positive self-image by heightening the concept of ego, self-respect, and self-efficacy. The subjects wer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ttending O Regional Children's Center in G City, J Province. Twenty children attending 4th to 6th grade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of 10 subjects and the control group of 10 subjects. The experiment group attended 25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from July 23, 2014 to January 28, 2015 for 90 minutes once a week, including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whereas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herap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technical statistics was used to extract samples using the SPSS for Window (Version 21.0 SPSS Inc.)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low-income children's positive self-image. Positive change for the formation of the self concept,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nd there was a positive effect. The low-income children with negative self-images were able to perceive themselves positively through this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their behaviors and attitude became positive with support and encouragement to develop positive self-imag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문제
      • Ⅱ. 이론적 배경
      • 국문요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문제
      • Ⅱ. 이론적 배경
      • 1. 저소득층 아동의 개념 및 특성
      • 2. 긍정적 자기상의 정의 및 특성
      • 3. 집단미술치료와 저소득층 아동의 긍정적자기상에 관한 선행내용
      • Ⅲ.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연구절차 및 설계
      • 3. 측정도구
      • 4.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
      • 5. 자료분석
      • Ⅳ. 연구결과
      • 1. 동질성 검증을 위한 자아개념 표본추출
      • 2. 동질성 검증
      • 3.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상 사전・사후검사 변화
      • 4.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개념 사전・사후검사 변화
      • 5.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사후검사 변화
      • 6.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효능감 사전・사후검사 변화
      • 7. 실험집단의 WZT 사전・사후 변화
      • V. 결론 및 논의
      • 1. 결론
      • 2.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