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쾌동 거문고 줄풍류 연구 : -<상현도드리>와 <하현도드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hin Kwae Dong’s Geomungo mus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896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줄풍류는 조선 후기 선비들의 풍류방에서 발전된 음악이다. 줄풍류는 서울에서 전승되는 경제 줄풍류, 지방에서 전승되는 향제 줄풍류, 거문고·가야금 명인이 보존․전승시킨 개인 줄풍류�...

      줄풍류는 조선 후기 선비들의 풍류방에서 발전된 음악이다. 줄풍류는 서울에서 전승되는 경제 줄풍류, 지방에서 전승되는 향제 줄풍류, 거문고·가야금 명인이 보존․전승시킨 개인 줄풍류로 구별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개인 줄풍류 중에서 거문고 명인인 신쾌동이 발전시킨 거문고 줄풍류의 음악적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신쾌동 줄풍류(이하 신쾌동)]가 영향을 미친 향제 줄풍류 중〔이리 줄풍류(이하 이리)〕및〔구례 줄풍류(이하 구례)〕와의 선율과 시김새 비교를 통하여 [신쾌동 줄풍류]의 특징을 밝혔다. 또한 [신쾌동]을 산조와의 시김새 비교를 통하여 줄풍류의 시김새 특징을 밝혔다.
      [신쾌동]의 <상현도드리>는 㑖 · 㑣 · 㒇 · 黃 · 太로서 5음음계의 중려궁 평조이고 <하현도드리>는 僙 · 㑀 · 㑖 · 㑣 · 㑲로서 5음음계의 황종궁 평조이다. <상현도드리>의 분장법은 [신쾌동]과 [이리]는 3장이고 [구례]는 2장이다. 그러나 선율비교를 통해 [신쾌동]과 [구례]의 제10각이 [이리]에서는 생략되어 전체 각수에서 [이리]가 한 각 부족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하현도드리>의 분장법은 [신쾌동]과 [구례]는 3장이고 [이리]는 2장이다. 거문고의 전형적인 종지선율인 ‘淸-淸’이 두 번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이리]가 정격적인 분장법을 보인다. 거문고 선율은 <상현도드리>는 [신쾌동]과 [구례]의 선율이 유사하고 <하현도드리>는 오히려 [신쾌동]과 [이리]의 선율이 유사하다.
      시김새는 남도 계면조의 영향을 받은〔이리]와〔구례]는 굵은 농현과 퇴성을 많이 사용한다. [이리]는 높은 음역에서 연주하는 부분이 많아 밝고 경쾌한 느낌을 주며 [구례]는 대점을 많이 사용하여 꿋꿋한 느낌을 준다. 이에 비해 〔신쾌동〕은 추성, 전성, 퇴성 등의 시김새를 활용하고 얇은 농현을 통하여 거문고 명인의 세밀한 음악성을 강조한다.
      [신쾌동]에서는 산조에서 사용되는 농현, 전성, 추성, 퇴성 등의 주법과 기법이 나타난다. 이러한 시김새의 사용으로 인해 [신쾌동]에서는 산조적인 느낌이 많이 나타난다. 그 외에도 [신쾌동]은 산조와 다른 시김새를 사용하여 음악적 장르를 구별한다. 예를 들어 줄풍류는 악구의 첫머리를 슬기둥 주법으로 강조하는데 비하여 산조 자진모리는 빠른 주법으로 연주하기 때문에 슬기둥 주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줄풍류는 대점의 사용을 제한하지만, 산조에서는 악구의 첫 박이나 한 박 이상 지속되는 부분에서 대점으로 강세를 주어 음악적 효과를 강조한다. 산조에서 주법의 변화를 통해 동음진행의 단조로움을 벗어나기 위하여 뜰 주법을 빈번하게 사용한다. 줄풍류에서 농현은 주로 ‘둥’과 ‘당’에서 하지만, 산조에서는 이들 음정에서 줄풍류보다 굵은 농현을 사용하고 이외에 ‘징’에서도 농현을 사용한다.
      신쾌동은 산조를 만든 명인이기에 산조의 주법과 기법을 줄풍류에도 많이 적용했다. 그러나 산조와 다른 주법과 기법을 통하여 줄풍류만의 고유한 중용적 음악을 만들었다. 또한 전라도 풍류객들과의 음악적 교류를 통하여 향제 줄풍류 거문고 선율의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렇듯이 신쾌동은 산조와 줄풍류를 넘나드는 뛰어난 예술성을 갖춘 명인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ulpungryu is a style of music developed by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are 3 different types of Julpungryu and they are Gyeongje Julpungryu inherited in Seoul, Hyangjae Julpungryu handed in provincial regions and Personal Julpungryu ke...

      Julpungryu is a style of music developed by schol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are 3 different types of Julpungryu and they are Gyeongje Julpungryu inherited in Seoul, Hyangjae Julpungryu handed in provincial regions and Personal Julpungryu kept and passed on by Gayageum and Geomungo masters. This thesis clarifies the musical features of one of Personal Geomungo Julpungryu advanced by Master Shin Kwae Dong. To do so, [Yiri Julpungryu] and [Gurye Julpungryu] have been selected among many Hyangjae Julpungryu pieces that were affected by Shin Kwae Dong Julpungryu, and their melody and Sigimsae and ways to present Korean traditional music have been compared to identify musical traits of Shin Kwae Dong Julpungryu. Also, by comparing differences between Shin Kwae Dong Julpungryu Sigimsae and Sanjo Sigimsae, the study finds characteristics of Julpungryu Sigimsae.
      <Sanghyeondodeuri> of Shin Kwae Dong Julpungryu is a 5-note Jungryeogung Pyeongjo with notes of 㑖(Jung) · 㑣(Im) · 㒇(Mu) · 黃(Hwang) · 太(Tae) and playing Jungryeo as the principal tone and <Hahyeondodeuri> is a 5-note Hwangjonggung Pyeongjo with notes of 僙(Hwang) · 㑀(Tae) · 㑖(Jung) · 㑣(Im) · 㑲(Nam). <Sanghyeondodeuri> is divided into 3 parts in [Shin Kwae Dong] and [Yiri] and 2 in [Gurye]. In the melody, the 10th line is excluded in [Yiri] unlike [Shin Kwae Dong] and [Gurye], lacking 1 line in overall melody line count. Meanwhile, <Hahyeondodeuri> is divided 3 parts in [Shin Kwae Dong] and [Gurye] and 2 in [Yiri]. [Yiri] shows the formal division with playing Geomungo's typical finishing melody '淸(Hwang)-淸(Hwang).’ [Shin Kwae Dong] and [Gurye] share similar melody in <Sanghyeondodeuri> while [Shin Kwae Dong] and [Yiri] show similarity in <Hahyeondodeuri>.
      Sigimsae, musical presentation of [Yiri] and [Gurye] uses thick Nonghyun, vibration, and Toesung, flow. [Yiri] is light and bright due to high notes while [Gurye] giving a strong impression with use of forte. [Shin Kwae Dong] highlights mastery of Geomungo with use of dragging, changing and flowing of the notes with light Nonghyun.
      By comparing Sigimsae of Shin Kwae Dong Julpungryu and <Sanjo>, it is clear that Julpyungryu and Sanjo have different ways of playing and presenting the music even though Shin Kwae Dong adopted Sanjo way of musical presentation. The use of Geomungo's important Sigimsae: Nonghyun, Jeonsung, Chusung, Toesung, etc. in both Julpungryu and Sanjo explains the similarity between Shin Kwae Dong Julpungryu and Sanjo. However, as Julpungryu is music emphasizing the golden mean, there are some Sigimsae different from ones used in Sanjo.
      Shin Kwae Dong was a Geomungo Master who also created his own Sanjo. While using some Sanjo playing methods in Julpungryu, he also undertook different methods of playing to create music with the golden means. Shin put great influence on the Geomungo melody line of Hyangjae Julpungryu through musical exchanges with musicians and scholars in Jeolla region. Shin Kwae Dong was a true master who gracefully blended Sanjo and Julpungryu.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1
      • 1.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2.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3
      • 3.선행연구 검토 7
      • Ⅱ.본론 9
      • Ⅰ.서론 1
      • 1.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2.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3
      • 3.선행연구 검토 7
      • Ⅱ.본론 9
      • 1.<상현도드리>와 <하현도드리> 분장법과 선율 분석 9
      • 가.<상현도드리> 분장법과 선율 분석 9
      • 나.<하현도드리> 분장법과 선율 분석 26
      • 2.<상현도드리>와 <하현도드리> 시김새 비교 분석 43
      • 가.<상현도드리> 시김새 비교 43
      • 나.<하현도드리> 시김새 비교 49
      • 3.줄풍류와 산조의 시김새 비교 분석 54
      • 가.<상현도드리>와 <산조> 평조 7괘의 시김새 비교 54
      • 나.<하현도드리>와 <산조> 평조 4괘의 시김새 비교 58
      • Ⅲ.결론 64
      • 참고문헌 66
      • Abstract 67
      • 부록악보 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