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기준에 관한 연구 - 중국 현대도시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Criteria for Eco-Friendly Adaptive Environment Space - Focusing on the Case of Modern Urban Planning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403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배경 및 목적) 산업화 과정은 도시 환경의 질적 저하를 가져왔다. 도시화로 인한 환경적, 사회적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인류는 도시개발방식을 재고하고 전환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 따라서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는 현대 도시 계획의 핵심이 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도시의 사례를 분석하고, 현대 도시 계획 및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에 관한 논문을 분석하고, 합리적인 생태적 적응 기법을 활용하여 중국의 도시 사례를 중점으로 분석한 후 미래의 공간적 적합성에 대한 제안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첫째, 2004년부터 2024년까지 학위 논문, 학술 논문, 단행본 등 학술 분야의 현대 도시계획 및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한다. 둘째, 현대 도시 계획의 원칙과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의 개념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의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한다. 셋째, 분석을 통해 현대 도시계획에 중요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소를 추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 도시계획에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의 생태 적응성, 대중 참여성, 종합 계획성, 지속 가능 발전성, 도시 거주성의 5가지 공간 구성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중국 지속가능발전지수 체계(CSDIS)를 활용한 《evaluation report on the sustainble development of china(2023)》에서 종합순위 1위의 중국 도시 사례 항저우(인구가 가장 많은 5개 구역)를 선정한다. 분석 대상으로는 앞서 분석을 통해 도출한 5개의 공간 요소를 심층 분석을 위한 분석 항목으로 활용하였다. (결과) 분석 대상이 되는 도시 사례는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에 부합하는 것이 분명하다. 현대 도시 계획에서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에 관한 연구와 관련하여 얻은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생태 적응성, 대중 참여성, 종합 계획성, 지속 가능발전성, 도시 거주성 측면에서 이들 도시가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인 것으로 확인됐다. (결론) 중국 현대도시계획 사례분석을 통해 현대 도시계획에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 도시 환경 공간설계는 자연생태계를 존중하고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쾌적하고 지속 가능한 주거환경을 조성하여 오늘날의 환경 공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계획 및 관리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번역하기

      (연구 배경 및 목적) 산업화 과정은 도시 환경의 질적 저하를 가져왔다. 도시화로 인한 환경적, 사회적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인류는 도시개발방식을 재고하고 전환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 ...

      (연구 배경 및 목적) 산업화 과정은 도시 환경의 질적 저하를 가져왔다. 도시화로 인한 환경적, 사회적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 인류는 도시개발방식을 재고하고 전환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 따라서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는 현대 도시 계획의 핵심이 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도시의 사례를 분석하고, 현대 도시 계획 및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에 관한 논문을 분석하고, 합리적인 생태적 적응 기법을 활용하여 중국의 도시 사례를 중점으로 분석한 후 미래의 공간적 적합성에 대한 제안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첫째, 2004년부터 2024년까지 학위 논문, 학술 논문, 단행본 등 학술 분야의 현대 도시계획 및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한다. 둘째, 현대 도시 계획의 원칙과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의 개념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의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한다. 셋째, 분석을 통해 현대 도시계획에 중요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소를 추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 도시계획에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의 생태 적응성, 대중 참여성, 종합 계획성, 지속 가능 발전성, 도시 거주성의 5가지 공간 구성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중국 지속가능발전지수 체계(CSDIS)를 활용한 《evaluation report on the sustainble development of china(2023)》에서 종합순위 1위의 중국 도시 사례 항저우(인구가 가장 많은 5개 구역)를 선정한다. 분석 대상으로는 앞서 분석을 통해 도출한 5개의 공간 요소를 심층 분석을 위한 분석 항목으로 활용하였다. (결과) 분석 대상이 되는 도시 사례는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에 부합하는 것이 분명하다. 현대 도시 계획에서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에 관한 연구와 관련하여 얻은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생태 적응성, 대중 참여성, 종합 계획성, 지속 가능발전성, 도시 거주성 측면에서 이들 도시가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인 것으로 확인됐다. (결론) 중국 현대도시계획 사례분석을 통해 현대 도시계획에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 기준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 도시 환경 공간설계는 자연생태계를 존중하고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쾌적하고 지속 가능한 주거환경을 조성하여 오늘날의 환경 공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계획 및 관리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has significantly declined the quality of urban environments, prompting the need to address the resultant environmental and social pressures. Consequently, humanity has entered a critical phase of rethinking and transforming urban development methods. In this context, ecologically friendly and adaptive environmental spatial designs have emerged as the cornerstone of modern urban planning.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a case study of Chinese cities that have successfully implemented sound ecologically adaptive technologies, provid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future spatial design strategies aimed at fostering sustainable and resilient urban environments. (Method) First, the analysis was based on research on modern urban planning and eco-friendly adaptive environmental space design requirements in academic fields, such as theses and books, from 2004 to 2024. Second, through prior research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ly friendly and adaptive environmental spatial design. Third, ecological adaptability, important ecologically friendly and adaptive environmental spatial design elements in modern urban planning were extracted. Based on this, we analyzed five spatial components of eco-friendly adaptable environmental space design in modern urban plann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public participation, comprehensive plann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rban livability. Fourth, the evaluation report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hina (2023) was used to select Hangzhou (the five most populous districts in Hangzhou), which ranked first in China's comprehensive score, as the analysis target; the five spatial elements obtained from the previous analysis were analysis projects as an in-depth analysis. The five spatial elements derived through the previous analysis were used as analysis items for in-depth analysis. (Results) Analysis of the research benchmarks in the design of ecologically adaptive urban spaces in modern city planning showed that these areas exhibit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ecological adaptability, public participation, comprehensive planning, sustainability, and urban livability. (Conclusions)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ritical importance of focusing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ctively addressing public participation needs. Therefore, future urban environmental space design should not only aim to respect and protect natural ecosystems, but also strive to create comfortable and sustainable living environments that effectively address today's pressing environmental space issues. Moreover, adopting scientific and rational planning and management methods is essential to ensure the long-term success and resilience of these urban spaces.
      번역하기

      (Background and Purpose)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has significantly declined the quality of urban environments, prompting the need to address the resultant environmental and social pressures. Consequently, humanity has entered a critical phase of...

      (Background and Purpose)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has significantly declined the quality of urban environments, prompting the need to address the resultant environmental and social pressures. Consequently, humanity has entered a critical phase of rethinking and transforming urban development methods. In this context, ecologically friendly and adaptive environmental spatial designs have emerged as the cornerstone of modern urban planning.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s on a case study of Chinese cities that have successfully implemented sound ecologically adaptive technologies, provid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future spatial design strategies aimed at fostering sustainable and resilient urban environments. (Method) First, the analysis was based on research on modern urban planning and eco-friendly adaptive environmental space design requirements in academic fields, such as theses and books, from 2004 to 2024. Second, through prior research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cologically friendly and adaptive environmental spatial design. Third, ecological adaptability, important ecologically friendly and adaptive environmental spatial design elements in modern urban planning were extracted. Based on this, we analyzed five spatial components of eco-friendly adaptable environmental space design in modern urban plann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public participation, comprehensive planning,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rban livability. Fourth, the evaluation report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hina (2023) was used to select Hangzhou (the five most populous districts in Hangzhou), which ranked first in China's comprehensive score, as the analysis target; the five spatial elements obtained from the previous analysis were analysis projects as an in-depth analysis. The five spatial elements derived through the previous analysis were used as analysis items for in-depth analysis. (Results) Analysis of the research benchmarks in the design of ecologically adaptive urban spaces in modern city planning showed that these areas exhibit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ecological adaptability, public participation, comprehensive planning, sustainability, and urban livability. (Conclusions)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ritical importance of focusing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ctively addressing public participation needs. Therefore, future urban environmental space design should not only aim to respect and protect natural ecosystems, but also strive to create comfortable and sustainable living environments that effectively address today's pressing environmental space issues. Moreover, adopting scientific and rational planning and management methods is essential to ensure the long-term success and resilience of these urban spac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