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당대선에서 송대선으로의 유동적 연변(演變)의 과정 = 대혜종고 이전(以前)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508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8세기 이후, 중국 남종선계는 석두희천(700~790)과 마조도일(709~788)을 선두로 그들 문하에 의해 대 전환을 맞고, 마조의 선사상이 당대선종의 주류를 이루고 석두계선이 나중에 점차 확대 되어 ...

      8세기 이후, 중국 남종선계는 석두희천(700~790)과 마조도일(709~788)을 선두로 그들 문하에 의해 대 전환을 맞고, 마조의 선사상이 당대선종의 주류를 이루고 석두계선이 나중에 점차 확대 되어 갔다. 이후 唐五代(907~960)에서 송대까지는 선자들의 大機用(뛰어난 작용)이 유감없이 발휘되어 이 시대를 ``禪機의 시대`` 또는 ``純禪의 시대``라고 한다. 마조의 선은, 평상심이 도이며 현실의 작용이 그대로 본래성이라고 보고 깨달음과 수행을 부정했다. 또한 參問한 근기가 다양한 선자들을 위해 다양한 방편으로 선자를 깨달음으로 이끌고, 따라서 마조교단은 크게 확대되었다. 마조선사상에 회의와 비평이 있는 문하는 마조의 권유로든 아니든 석두계로 옮겨 간다. 그중 五洩靈默(747~818)은, 현실의 작용 그대로의 자기가 아니고 본래성(內)과 현실의 작용(外)의 경계선상에서 그 쌍방에 걸치면서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자기를 깨쳤다. 이것이 바로 석두의 선이다. 석두는 南嶽山中에서 거의 일생을 보내며 대오를 지향했다. 그는 ``현실의 작용이 본래성``임을 인정하지 않았다. 언어나 揚眉動目(눈섭을 치켜 올리고 눈을 껌벅이는)이라는 현실의 작용과 等値하지 않지만 현실의 작용을 떠나서는 존재하지 않는 본성, 즉 바로 ``단지 이런 놈(只這箇漢, 본래성)을 깨우치는 것이다. 이러한 석두의 선은 藥山, 雲巖, 洞山 등으로 계승되었다. 당대선에서의 문답은 사상적인 내용을 가진 유의미한 문답, 수행생활 현장에서 일어나는 일회성의 문답이었던 것에 비해, 송대는 先人의 문답을 수집, 선택하여 이를 과제로 참구하는 것이 수행중심이 된다. 공안선의 한 방법인 문자선의 정점은 圓悟克勤(1064~1136)이다. 원오는 깨달음도 닦음도 소용없다는 平常無事를 전면 부정하고 ``있는 그대로의 자기를 있는 그대로 긍정``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大悟가 철저한 다음 비로소 긍정된다는 것이다. 원오는, 공안은 활구로 참해야 하며 곧바로 直透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오의 선에 同乘하면서 새로운 기법의 선을 제시한 것이 대혜의 간화선이다. 공안의 참구가 어떻게 해서 대오라고 하는 목적에 이를 수 있는지에 대해 대혜는 화두를 들되 반드시 대의심으로써 참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공안→의단→대오라는 型을 개발하고 선을 처음으로 제도화 규격화한 것이다. 이 점에서 대혜의 선은 원오의 所說을 토대로 하여 형성된 것이며 당·송대의 선사상사의 한 획을 그었다고 본다. 당·송대 선종계의 흐름은 ``작용이 바로 본래성``과 ``참된 주인공을 발견``한다는 두 양상이었다. 그러나 결국 南宋代 이후는 대체로 후자의 경향이 강했다. 대혜의 역동적인 간화선은, 북송대의 선이 당대 주류의 선을 강력히 부정하면서 철두철미의 開悟를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에 힘입어 성립한 것이라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eighth century the Southern Chan School of Chinese Buddhism underwent a great transition led by Shitou Xiqian (石頭希遷 700~790) and Mazu Daoyi (馬祖道一 709~788) and their disciples. Mazu Daoyi`s Chan formed the mainstream religion ...

      After the eighth century the Southern Chan School of Chinese Buddhism underwent a great transition led by Shitou Xiqian (石頭希遷 700~790) and Mazu Daoyi (馬祖道一 709~788) and their disciples. Mazu Daoyi`s Chan formed the mainstream religion during the Tang dynasty and was followed by Shitou`s, which gradually increased its sphere of influence. The period from Tang to early-Song witnessed a full expression of Chan practitioners` great capacity and functioning 大機用 and so it was called ``the era of Chan activation 禪機`` or ``the era of Pure Chan 純禪``. Mazu did not accept the need for cultivation and enlightenment since he considered ``ordinary mind is the way`` and ``actual function in itself is original nature.`` He also expanded his influence by using diverse skillful means to lead practitioners to enlightenment. Some of his disciples, having doubts and criticism of his teachings, moved to Shitou`s Chan circle. Among them was Wuxie Lingmo (747~818) who was enlightened to his self-nature, neither belonging to original nature nor actual function, though at the same time his awakening was manifested relying upon both. That is Shitou`s Chan. Shitou aimed at a great enlightenment all his life long. He did not acknowledge ``actual function is original nature.`` Instead, he investigated original nature which is not apart from nor equivalent to actual functions like languages and ``raising eye-brows and blinking eyes`` 揚眉動目. His original nature was in other words ``merely this one (original nature)`` 只這個漢. His Chan was transmitted to Yaoshan 藥山, Yunyan 雲巖 and Dongshan 洞山. A Chan ``encounter dialogue`` in the Tang period was an exchange of questions and answers which was philosophically significant, occurring only one time at the very scene of practice. On the contrary, in the Song they gathered the ancient precedents, selected and investigated them as a form of gongan 公案. Wordy Chan 文字禪 as a type of gongan meditation culminated with Yuanwu Keqin (圓悟克勤 1064~1136). He flatly negated the ``ordinary state of nothing to do`` 平常無事, and did not ``approve of the self as it actually is``; rather, it could only be acknowledged after a great enlightenment was thoroughly achieved. Besides, gongan has to be investigated with living phrases or huatou 活句 and directly penetrated at that point. It was Dahui Zonggao`s Kanhua Chan that there advanced a new technique of Chan while utilizing such Yuanwu`s Chan thoughts. Dahui emphasized huatou investigation-and necessarily with great doubt at that-as a means to reach the goal of a great enlightenment. The methodological development of a template, ``gongan, doubt mass, great enlightenment`` in Dahui`s Kanhua Chan and Chan institution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for the first time marked an epoch in the history of Tang and Song Chan thoughts. A mighty stream of Tang-Song Chan tradition can be defined as a continual confrontation between the issues of ``no difference between actual function and original nature`` and ``awakening to the true mind.`` However, the post Northern Song period was mostly inclined toward the latter issue in the end. In conclusion, the author thinks that Dahui Zonggao`s dynamic Kanhua Chan was formed through his strong intention to fulfill a thorough enlightenment while at the same time strongly denying the mainstream Tang Cha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