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 효과 = The effectiveness of self-leadership enhancing program in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476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이 셀프리더십,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5년 03월 02일부터 05월 29일까지였으며, D시에 소재하는 4년제 간호학과 2곳의 간호대학생 82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을 임의표본 추출하여 선정한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위해 t-test 와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검사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t-test로 분석하였다.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셀프리더십은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3.79점, 대조군은 3.3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5.909, p< .001), 자기주도적 학습능력도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3.71점, 대조군은 3.1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t=8.054, p< .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또한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3.57점, 대조군은 3.01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6.706, p< .001), 임파워먼트 역시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3.58점, 대조군은 3.29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765, 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 증진에 효과적인 중재로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이 셀프리더십,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이 셀프리더십,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5년 03월 02일부터 05월 29일까지였으며, D시에 소재하는 4년제 간호학과 2곳의 간호대학생 82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을 임의표본 추출하여 선정한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위해 t-test 와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검사에 대한 동질성 검정은 t-test로 분석하였다.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셀프리더십은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3.79점, 대조군은 3.3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5.909, p< .001), 자기주도적 학습능력도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3.71점, 대조군은 3.1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t=8.054, p< .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또한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3.57점, 대조군은 3.01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6.706, p< .001), 임파워먼트 역시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3.58점, 대조군은 3.29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765, 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파워먼트 증진에 효과적인 중재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leadership enhancing program applying to nursing student.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82 Nursing department school students in D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n=45) who participated in The self-leadership enhancing program, and a control group(n=37) who The self-leadership enhancing program. Data were collected from 2 March 2015 through 29 May 201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WIN 21.0 with the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Results: Self-leadership was experimental group 3.79, control group 3.30(t=5.909, p<.001),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experimental group 3.71, control group 3.17(t=8.054, p<.001), Academic self-efficacy was experimental group 3.57, control group 3.01(t=6.706, p<.001), Impowerment was experimental group 3.58, control group 3.22(t=4.765, p<.001).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different in Self-leadershi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Impowerment in comparision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self-leadership enhancing program was effective in Nursing students, and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clinical practical training and increased the satisfaction Nursing department.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leadership enhancing program applying to nursing student.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 The subject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self-leadership enhancing program applying to nursing student.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ethod: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82 Nursing department school students in D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n=45) who participated in The self-leadership enhancing program, and a control group(n=37) who The self-leadership enhancing program. Data were collected from 2 March 2015 through 29 May 201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WIN 21.0 with the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Results: Self-leadership was experimental group 3.79, control group 3.30(t=5.909, p<.001),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experimental group 3.71, control group 3.17(t=8.054, p<.001), Academic self-efficacy was experimental group 3.57, control group 3.01(t=6.706, p<.001), Impowerment was experimental group 3.58, control group 3.22(t=4.765, p<.001).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different in Self-leadershi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Impowerment in comparision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self-leadership enhancing program was effective in Nursing students, and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clinical practical training and increased the satisfaction Nursing depart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1
      • 2. 연구목적...............3
      • 3. 용어 정의.............4
      • Ⅱ. 대상 및 방법......6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1
      • 2. 연구목적...............3
      • 3. 용어 정의.............4
      • Ⅱ. 대상 및 방법......6
      • 1. 연구 설계............6
      • 2. 연구가설.............7
      • 3. 연구 대상 및 윤리적 고려.....7
      • 4. 연구 도구.......8
      • 5. 연구진행절차.......13
      • 6. 자료 분석......15
      • Ⅲ. 성 적.........16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전 점수의 동질성 검정....16
      • 2. 셀프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검증.......19
      • Ⅳ. 고 찰 .....23
      • Ⅴ. 요약 및 결론 .....28
      • 1. 결 론 ......28
      • 2. 제 언 ......29
      • 참고 문헌......31
      • 영문 초록......36
      • 부 록.......3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