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등체육수업의 테크놀로지 내용 교수지식에 대한 역량인식 및 사례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68908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eacher’s perception of competence over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cases of its application to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classes

      • 형태사항

        iv, 188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영재
        참고문헌 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sufficient parts in the clarification and practice of crucial area of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mpetence and the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iverse media-utilized contents and to the impr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a that could provide help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mpetence. For this, the author looked into the pros and cons of technology-utiliz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based on actual cases, and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perception and reaction to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and then presented an activation plan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order to provide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new educational environment to student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of 294 in-service and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141 teachers, 69 students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t C University and K University, and 84 applicants for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was carried out, with the methods of visitation, mail and online. In addition, a qualitative study was carried out with 3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e in Gyeonggi area, and two in Gyeongnam area).
      As for the measuring tool for quantitative study, the author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newest version of Archambault & Cripen (2009)’s TPACK questionnaire translated and used in the study of Eom Mi-ri, Sin Won-seok and Han In-suk (2011) an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Chai (2011)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Park Gi-cheol (2013). As for qualita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focused group interview and literature examination and then they were structured through analyzing the record of cases. Via multilateral analysis, consultation with fellow researchers and review with members, the reliability of data was confirmed.
      In addition, using SPSS 20.0 versio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IPA were carried ou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service and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matrix analysis-oriented importance and practice of TPACK competence. They regarded TPACK competence as important, but their degree of practice was lower. The results of IPA analysis on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TPACK competence presented the fact that competence in the area of TPACK had to be cultivated above all.
      Seco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teaching career-oriented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ractice of technology competence. All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in pre-service or whose career was less or more than 10 years perceived TPACK competence as important, but their degree of practice was lower.
      Thir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perception of school rank-oriented importance and practice of technology competence. School rank-oriented both group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PACK competence as important, but their degree of practice was lower. Results showed the fact that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PACK competence had to be cultivated first of all.
      Fourth,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ractice of TPACK competence in relation to items for competence by areas. As for the area of TK, they thought it was important to know the kinds of technology and learn it, but the degree of practice was lower. As for the area of CK, teachers attached much weight to self-confidence in teaching of curriculum contents to students, and their degree of practice was higher as well.
      Fifth,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utilizing technology perceived it very positively. They thought the utilization of technology in classes was very easy for students who were accustomed to IT devices and its proper use could improve student’s learning ability and concentration on learning. Different from the classes in the past of which focus was psychomotor domain, the active use of tablet PC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 which students were encouraged to search and apply what they wanted firsthand, could expand the domain to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thus making students more active in classes and increase their interest and satisfaction with learning.
      Sixth, the biggest advantage of use of technology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in that its proper use was very efficient and effective in teaching students. In addition, as students carried out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echnology devices, teachers could play a very important role of an assistant, thus cultivating student’s creative idea. However, in Kinect classes, teacher’s small negligence can make students distracted and create the atmosphere of playground. In addition, since every kind of physical education has its own usage of technology, to develop a new program which is appropriate for curricula and students needs a lot of effort and time.
      Seventh, in order to activate technology-utilized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class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er’s competence first of all. For this, training of pre-service teachers must get out of a learn-by-rote based knowledge-delivery education system and then make them perceive the importance of technology-utilized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and use it positively. In addition, in-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present must put endeavor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for technology-utiliz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perceive the use of technology as not difficult, by having many training opportunities. It is also necessary for teachers to share exemplary cases of active use or operation of technology in schools, thus practicing better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which students take part in actively and pleasant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sufficient parts in the clarification and practice of crucial area of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mpetence and the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iverse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sufficient parts in the clarification and practice of crucial area of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mpetence and the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iverse media-utilized contents and to the impr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a that could provide help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mpetence. For this, the author looked into the pros and cons of technology-utiliz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based on actual cases, and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perception and reaction to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and then presented an activation plan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order to provide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new educational environment to student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of 294 in-service and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141 teachers, 69 students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t C University and K University, and 84 applicants for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was carried out, with the methods of visitation, mail and online. In addition, a qualitative study was carried out with 3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e in Gyeonggi area, and two in Gyeongnam area).
      As for the measuring tool for quantitative study, the author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newest version of Archambault & Cripen (2009)’s TPACK questionnaire translated and used in the study of Eom Mi-ri, Sin Won-seok and Han In-suk (2011) an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Chai (2011)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Park Gi-cheol (2013). As for qualita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focused group interview and literature examination and then they were structured through analyzing the record of cases. Via multilateral analysis, consultation with fellow researchers and review with members, the reliability of data was confirmed.
      In addition, using SPSS 20.0 versio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IPA were carried ou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service and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matrix analysis-oriented importance and practice of TPACK competence. They regarded TPACK competence as important, but their degree of practice was lower. The results of IPA analysis on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TPACK competence presented the fact that competence in the area of TPACK had to be cultivated above all.
      Seco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teaching career-oriented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ractice of technology competence. All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in pre-service or whose career was less or more than 10 years perceived TPACK competence as important, but their degree of practice was lower.
      Thir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perception of school rank-oriented importance and practice of technology competence. School rank-oriented both group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PACK competence as important, but their degree of practice was lower. Results showed the fact that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PACK competence had to be cultivated first of all.
      Fourth,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practice of TPACK competence in relation to items for competence by areas. As for the area of TK, they thought it was important to know the kinds of technology and learn it, but the degree of practice was lower. As for the area of CK, teachers attached much weight to self-confidence in teaching of curriculum contents to students, and their degree of practice was higher as well.
      Fifth,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utilizing technology perceived it very positively. They thought the utilization of technology in classes was very easy for students who were accustomed to IT devices and its proper use could improve student’s learning ability and concentration on learning. Different from the classes in the past of which focus was psychomotor domain, the active use of tablet PC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 which students were encouraged to search and apply what they wanted firsthand, could expand the domain to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thus making students more active in classes and increase their interest and satisfaction with learning.
      Sixth, the biggest advantage of use of technology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in that its proper use was very efficient and effective in teaching students. In addition, as students carried out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technology devices, teachers could play a very important role of an assistant, thus cultivating student’s creative idea. However, in Kinect classes, teacher’s small negligence can make students distracted and create the atmosphere of playground. In addition, since every kind of physical education has its own usage of technology, to develop a new program which is appropriate for curricula and students needs a lot of effort and time.
      Seventh, in order to activate technology-utilized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class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er’s competence first of all. For this, training of pre-service teachers must get out of a learn-by-rote based knowledge-delivery education system and then make them perceive the importance of technology-utilized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and use it positively. In addition, in-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present must put endeavor in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for technology-utiliz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perceive the use of technology as not difficult, by having many training opportunities. It is also necessary for teachers to share exemplary cases of active use or operation of technology in schools, thus practicing better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which students take part in actively and pleasant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 역량의 중요한 영역을 규명하고 실행하는데 있어서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테크놀로지 내용교수 지식의 역량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컨텐츠 개발과 체육교육과정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며 테크놀로지 활용수업 사례를 연구를 통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중등학교 체육수업의 장, 단점을 파악하고 중등체육수업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종합함으로써 중등체육수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체육교사들에게는 더 좋은 교육환경의 요구와 학생들에게는 새로운 교육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1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체육교사 141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C대학교 교육대학원과 K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 69명과 현재 임용고시를 준비하고 있는 학생 84명 등 총 294명의 현직체육교사와 예비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직접방문 및 우편수집방법, 온라인수집방법 등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2의 대상은 경기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체육교사 1명과 경남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체육교사 2명으로 총 3명의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양적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Archambault & Cripen(2009)의 연구에서 사용했던 최신 버전의 TPACK 설문지를 번역하여 엄미리, 신원석, 한인숙(2011)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와 Chai(2011)가 개발하여 박기철(2013)이 수정 보완 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질적연구에서는 심층면담과 문서자료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사례 기록 분석으로 구조화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다각도 분석과 동료 간 협의, 구성원간의 검토를 통하여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0.0 v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test, IPA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체육교사와 예비체육교사들은 TPACK역량과 관련하여 매트릭스 분석에 따른 중요도-실행도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육교사와 예비체육교사들은 TPACK 역량에 대하여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에 비해 실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PACK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정도를 IPA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TPACK영역의 역량을 가장 우선적으로 함양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테크놀로지 역량과 관련하여 체육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역량 중요도-실행도 간의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예비체육교사와 교직경력이 10년 이하인 체육교사와 10년 이상인 체육교사 모두 TPACK의 역량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에 비해 실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테크놀로지 역량과 관련하여 체육교사의 학교 급에 따른 역량 중요도-실행도 간의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 급에 따른 체육교사 두 집단 모두 TPACK의 역량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에 비해 실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TPACK 영역의 역량을 가장 우선적으로 함양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TPACK 역량과 관련하여 각 영역의 문항 별 역량에 대한 체육교사 들의 중요도-실행도 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TK 영역의 경우 테크놀로지의 종류를 아는 것과 테크놀로지를 학습해야 하는 것에 대해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그 실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CK영역의 경우 학생들에게 교과내용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자신감을 매우 중요시 여기고 있었으며 실행정도도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하고 있는 체육교사들은 테크놀로지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에 따르면 테크놀로지의 수업활용은 IT기기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적용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그의 적절한 사용은 학생들의 수업능력의 향상과 수업에 대해 높은 집중도를 가져온다고 하였다. 또한 태블릿PC를 체육수업에 적극 활용하여 학생들이 원하는 것을 직접 검색하고 적용하게 함으로서 심동적 영역에 중점을 두었던 과거의 수업과는 달리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까지 넓힐 수 있게 되었으며 학생들 또한 수업에 적극성을 보이고 흥미도와 만족도 모두 이전보다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테크놀로지를 체육수업에 활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장점은 적절한 테크놀로지의 사용이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매우 효율적이고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테크놀로지 기기를 통해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게 되면서 교사는 조력자의 역할로서 학생들의 창의적인 생각을 키우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키넥트 수업의 경우 교사가 학생 통솔 시에 조그마한 관리 소홀에도 자칫 주변이 산만해지고 수업이 아닌 노는 분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부분이 염려 되었고, 또한 체육의 각 종목마다 테크놀로지 활용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교과과정과 학생들의 능력에 맞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있어 적잖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중등체육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들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예비교사 양성 시 단순히 암기하고 지식을 전달하는 형태의 교육을 벗어나 예비교사 때부터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중등체육수업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현직 체육교사들은 테크놀로지 수업에 대해 연구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노력해야하며 빈번한 교사연수의 기회를 통해 테크놀로지의 활용은 어려운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시켜야 한다. 그리고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학교의 모범사례나 운영사례 등을 교사들끼리 서로 공유한다면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즐기는 좋은 체육수업을 실천할 수 있는 교사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 역량의 중요한 영역을 규명하고 실행하는데 있어서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테크놀로지 내용교수 지식의...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 역량의 중요한 영역을 규명하고 실행하는데 있어서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테크놀로지 내용교수 지식의 역량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컨텐츠 개발과 체육교육과정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며 테크놀로지 활용수업 사례를 연구를 통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중등학교 체육수업의 장, 단점을 파악하고 중등체육수업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종합함으로써 중등체육수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체육교사들에게는 더 좋은 교육환경의 요구와 학생들에게는 새로운 교육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1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체육교사 141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C대학교 교육대학원과 K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 69명과 현재 임용고시를 준비하고 있는 학생 84명 등 총 294명의 현직체육교사와 예비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직접방문 및 우편수집방법, 온라인수집방법 등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2의 대상은 경기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체육교사 1명과 경남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체육교사 2명으로 총 3명의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양적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Archambault & Cripen(2009)의 연구에서 사용했던 최신 버전의 TPACK 설문지를 번역하여 엄미리, 신원석, 한인숙(2011)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와 Chai(2011)가 개발하여 박기철(2013)이 수정 보완 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질적연구에서는 심층면담과 문서자료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사례 기록 분석으로 구조화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다각도 분석과 동료 간 협의, 구성원간의 검토를 통하여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0.0 v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test, IPA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체육교사와 예비체육교사들은 TPACK역량과 관련하여 매트릭스 분석에 따른 중요도-실행도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육교사와 예비체육교사들은 TPACK 역량에 대하여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에 비해 실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PACK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정도를 IPA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TPACK영역의 역량을 가장 우선적으로 함양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테크놀로지 역량과 관련하여 체육교사의 교직경력에 따른 역량 중요도-실행도 간의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예비체육교사와 교직경력이 10년 이하인 체육교사와 10년 이상인 체육교사 모두 TPACK의 역량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에 비해 실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테크놀로지 역량과 관련하여 체육교사의 학교 급에 따른 역량 중요도-실행도 간의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 급에 따른 체육교사 두 집단 모두 TPACK의 역량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에 비해 실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TPACK 영역의 역량을 가장 우선적으로 함양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TPACK 역량과 관련하여 각 영역의 문항 별 역량에 대한 체육교사 들의 중요도-실행도 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TK 영역의 경우 테크놀로지의 종류를 아는 것과 테크놀로지를 학습해야 하는 것에 대해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그 실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CK영역의 경우 학생들에게 교과내용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자신감을 매우 중요시 여기고 있었으며 실행정도도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하고 있는 체육교사들은 테크놀로지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에 따르면 테크놀로지의 수업활용은 IT기기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적용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그의 적절한 사용은 학생들의 수업능력의 향상과 수업에 대해 높은 집중도를 가져온다고 하였다. 또한 태블릿PC를 체육수업에 적극 활용하여 학생들이 원하는 것을 직접 검색하고 적용하게 함으로서 심동적 영역에 중점을 두었던 과거의 수업과는 달리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까지 넓힐 수 있게 되었으며 학생들 또한 수업에 적극성을 보이고 흥미도와 만족도 모두 이전보다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테크놀로지를 체육수업에 활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장점은 적절한 테크놀로지의 사용이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매우 효율적이고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테크놀로지 기기를 통해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게 되면서 교사는 조력자의 역할로서 학생들의 창의적인 생각을 키우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키넥트 수업의 경우 교사가 학생 통솔 시에 조그마한 관리 소홀에도 자칫 주변이 산만해지고 수업이 아닌 노는 분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부분이 염려 되었고, 또한 체육의 각 종목마다 테크놀로지 활용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교과과정과 학생들의 능력에 맞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있어 적잖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중등체육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들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예비교사 양성 시 단순히 암기하고 지식을 전달하는 형태의 교육을 벗어나 예비교사 때부터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중등체육수업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현직 체육교사들은 테크놀로지 수업에 대해 연구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노력해야하며 빈번한 교사연수의 기회를 통해 테크놀로지의 활용은 어려운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시켜야 한다. 그리고 테크놀로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학교의 모범사례나 운영사례 등을 교사들끼리 서로 공유한다면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즐기는 좋은 체육수업을 실천할 수 있는 교사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9
      • 3. 연구 문제 10
      • 4. 용어의 정의 12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9
      • 3. 연구 문제 10
      • 4. 용어의 정의 12
      • Ⅱ. 이론적 배경 15
      • 1. 내용교수지식(PCK)의 이해 15
      • 2.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이론의 성립배경 18
      • 3.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의 구성요소 20
      • 4. 체육교과에서의 TPACK 26
      • 5.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분석 30
      • Ⅲ. 연구방법 35
      • 연구방법 1. 중등학교 예비체육교사 및 체육교사의 TPACK 역량분석
      • 1) 연구참여자 35
      • 2) 측정도구 35
      • 3) 자료수집 37
      • 4) 자료분석 39
      • 연구방법 2.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중등체육수업 사례연구
      • 1) 연구 설계 40
      • 2) 연구 참여자 42
      • 3) 자료 수집 45
      • 4) 자료 분석 48
      • 5) 자료의 진실성 49
      • Ⅳ. 연구결과 52
      • 연구결과 1. 중등학교 예비체육교사 및 체육교사의 TPACK 역량분석
      • 1) 체육교사의 TPACK역량에 대한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중요도-실행도 비교 및 IPA 매트릭스 분석 52
      • 2) TPACK 역량의 영역별 문항에 대한 역량 중요도와 역량 실행도의 차이분석 및 IPA 매트릭스 분석 70
      • 연구결과 2.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중둥체육수업 사례연구
      • 1)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체육수업을 시작하다 98
      • 2)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중등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110
      • 3)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중등체육수업의 좋은점 어려운점 115
      • 4)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중등체육수업이 활성화 되려면 118
      • Ⅴ. 논 의 121
      • 1. 중등학교 예비체육교사 및 체육교사의 TPACK 역량분석 121
      • 2.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중등체육수업 사례연구 137
      • 3. 종합논의 143
      • Ⅶ. 결론 및 제언 147
      • 1. 결론 147
      • 2. 제언 155
      • 참고문헌 157
      • <부록> TPACK역량에 관한 설문지 174
      • 국문초록 180
      • ABSTRACT 1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