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세기 조선과 일본에서 편집한 이황 서찰 선집에 대한 일고찰 - 『退溪先生書節要』와 『李退溪書抄』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Letter Collection Written by Lee Hwang Edited in Joseon Dynasty and Japan in 18th century: Focusing on Toegye Seonsaeng Seojeolyo and Leetoegye seoch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35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8세기에 편집된 退溪 李滉(1501~1570)의 서찰 선집으로는 스구리 교쿠수이(村士玉水, 1729~1776)의 『이퇴계서초』와 李象靖(1711~1781)의 『퇴계선생서절요』가 있다. 이보다 이전 시기에 정리된 ...

      18세기에 편집된 退溪 李滉(1501~1570)의 서찰 선집으로는 스구리 교쿠수이(村士玉水, 1729~1776)의 『이퇴계서초』와 李象靖(1711~1781)의 『퇴계선생서절요』가 있다. 이보다 이전 시기에 정리된 이황 서찰 선집으로 鄭焜의 『李子書節要』가 있고, 이후 시기로는 金悳鍊의 『退書類輯』·李庭魯의 『退書百選』 등이 있다. 이 글에서는 18세기 『퇴계선생서절요』 발문에서 접점이 보이는 일본의 『이퇴계서초』와 조선의 『퇴계선생서절요』를 중심으로 살핀다.
      『퇴계선생서절요』와 『이퇴계서초』 모두 『퇴계집』에 실려 있는 서찰의 순서를 따랐으며, 이황이 『주자서절요』를 편집한 체제를 본떴기에 전반적으로 비슷한 구성을 갖추고 있으나, 受信者·目次 提示·注解 方式·序文 有無 등에서 세부적인 차이를 보였다. 『퇴계선생서절요』는 『이퇴계서초』에 비해 다양한 인물을 실었고, 『이퇴계서초』는 상대적으로 적은 인물을 다루면서 더 많은 수의 서찰을 실었다. 『이퇴계서초』는 이황의 「연보」와 「행실」을 상세하게 싣고 각 권마다 수신자 명단과 서찰 수를 기입하였으며, 고가 세이리(古賀精里, 1750~1817)의 서문과 오카다 간센(岡田寒泉)의 後識가 실려 있다. 『퇴계선생서절요』는 서문을 누락하고, 諸子目錄에서 수신자의 字·號·출신 및 이황과의 관계를 밝혔다.
      이상정이 편집한 『퇴계선생서절요』는 그의 제자 鄭宗魯(1738~1816)와 金㙆(1739~1816)의 발문이 붙여져서 간행되었다. 두 사람의 발문을 통해 이상정의 高弟 金宗德이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손자 이병운이 간행을 주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병운은 「퇴계선생서절요」 발문에서 村士玉水가 편찬한 『이퇴계서초』가 使行을 통해 조선에 전래되었음을 밝히면서, 『퇴계선생서절요』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음을 드러내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 『퇴계선생서절요』에는 이상정의 서찰이 실려 있지 않으나, 『大山全書』 권4에 수록된 『퇴계서절요』(『퇴계선생서절요』) 권10 말미에는 편집 경위와 선별 기준에 대한 단서가 담긴 이상정의 서찰이 실려 있다. 이 『대산전서』에 수록된 『퇴계서절요』는 목판본으로 간행하기 이전에 편집된 稿本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etoegye seocho (李退溪書抄) by Suguri Kyokusui and Toegye Seonsaeng Seojeolyo (退溪先生書節要) by Lee Sang-Jeong are the letter collections written by Lee Hwang edited in 18th century. Leejaseojeolyo (李子書節要) by Jeong Hon was co...

      Leetoegye seocho (李退溪書抄) by Suguri Kyokusui and Toegye Seonsaeng Seojeolyo (退溪先生書節要) by Lee Sang-Jeong are the letter collections written by Lee Hwang edited in 18th century. Leejaseojeolyo (李子書節要) by Jeong Hon was compiled before that time and Tweoseoyujib (退書類輯) by Kim Deok-Ryeon and Tweoseobaekseon (退書百選) by Lee Jeong-Ro was after that time. Now, we are especially examining Japan’s Leetoegye seocho and Korea’s Toegye Seonsaeng Seojeolyo which showed some similarities in the postscript of Toegye Seonsaeng Seojeolyo in 18th century.
      Both Toegye Seonsaeng Seojeolyo and Leetoegye seocho followed the sequence of letters which were part of Toegyejib (退溪集). Furthermore, they had similar structures overall because they imitated the editing skill of Jujaseojeolyo (朱子書節要) by Lee Hwang. However, details varied such as the recipients, whether the preface existed or not, the way to present the table of contents and how to annotate. Toegye Seonsaeng Seojeolyo put in more characters than Leetoegye seocho that dealt with fewer figures but carried more letters. Leetoegye seocho went into detail of “Chronology (年譜)” and “Behavior (行實)” of Lee Hwang’s life and the list of recipients and the number of letters were put in every volume. The preface by Goga Seiri and the postscript by Okada Kansen were put in, too. Yet, Leetoegye seocho omitted the preface and revealed recipients’ nicknames, pen names, hometowns, and the relationship with Toegyeo on the list of Jeja (諸子).
      Toegye Seonsaeng Seojeolyo edited by Lee Sang-Jeong was published with being attached the postscripts by Jeong Jong-Ro and Kim Goeng who followed Lee Sang-Joeng. Through their postscripts, Kim Jong-Deok who was one of Lee Sang-Jeong’s disciple participated in editing and his grandchild, Lee Byeong-Woon led the publication. Lee Byeong-Woon spoke in the postscribe that Leetoegye seocho complied by Suguri Kyokusui came to Joseon Dynasty through dispatching envoy. Moreover, he told that Toegye Seonsaeng Seojeolyo wasn’t influenced directly by it in the process of complication.
      The letter from Lee Sang-Jeong didn’t put in Toegye Seonsaeng Seojeolyo collec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stead, Lee Sang-Jeong’s letter was put that contained the details of editing and the standard of selection at the end of Toegye Seojeolyo (退溪書節要) (Toegye Seonsaeng Seojeolyo), Volume X included in Daesan Jeonseo (大山全書). Toegye Seojeolyo in Daesan Jeonseo seemed a manuscript before printing a block boo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退溪先生書節要』와 『李退溪書抄』의 체제
      • Ⅲ. 두 書札 選集의 편집 경위와 유통
      • Ⅳ. 맺음말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退溪先生書節要』와 『李退溪書抄』의 체제
      • Ⅲ. 두 書札 選集의 편집 경위와 유통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