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연애와 결혼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현실 구성과 비판적 성찰의 이중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496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주말 황금시간대 지상파 방송채널에서 인기리에 방영중인 리얼리티 프로그램 <골드미스가 간다>에 대한 텍스트 분석과 수용 분석이다. 이를 통해 노처녀 스타들의 구혼을 소재로한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연애와 결혼이라는 사회적 현실을 어떻게 매개하며, 그것이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는 무엇인지를 탐구했다. 기존의 연구들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에 주목하기보다는, 리얼리티 프로그램도 드라마나 영화 등과 같은 하나의 서사물로 간주해 분석했다. 그러다보니 리얼리티 프로그램 역시 현실의 권력관계나 구조를 유지하는 헤게모니적 텍스트의 하나로 기능한다는 분석이 주를 이루었다. 이와 같은 분석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텍스트에서 관찰되는 지배적인 의미는 포착이 가능하지만 빈번하게 출현하는 서로 상충되고 이율배반적인 의미들까지 포획하지는 못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논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앞서 살펴본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과 관습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리얼리티 프로그램 <골드미스가 간다>가 결혼이라는 사회적 현실을 매개하는 과정에서 이데올로기적 현실 구성과 비판적 현실 성찰의 이중성을 가질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분석의 대상이 된 <골드미스가 간다>는 노처녀 스타들이 맞선남을 만나는 기회를 얻기 위한 게임을 벌이는 가운데 서바이벌 쇼의 특성이, 그리고 이후 맞선남을 만나기 위해 단장을 하는 과정에서 메이크업 쇼의 특성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다. <골드미스가 간다>는 공익적인 성격을 지닌 프로그램이라기보다는 유명 연예인을 앞세워, 시청자들에게 연애와 결혼에 대한 환상을 심어줌으로써 시청률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목표를 갖는 오락물이다.
      본 연구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으로 인해 <골드미스가 간다>가 연애와 결혼에 대한 서로 상충되는 담론을 하나의 텍스트에 함께 재현하고 있으며, 수용자 역시 이중적 수용의 행태를 나타냄을 주장한다. 즉 연애와 결혼을 둘러싼 가부장적이고 유교주의적인 성 역할 이데올로기와 낭만적 사랑의 서사가 재현되는 한편, 이와 같은 지배 담론에 대한 비판적 현실 성찰의 가능성이 하나의 텍스트 내에 공존하는 것이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화려한 볼거리와 흥미위주의 편집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하고, 등장인물을 익숙한 이야기 속에 배치시키는 정형화 과정을 통해 자연스러운 서사를 제공하는 장르적 특성을 지닌다. 이로 인해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이데올로기나 담론에 기반한 의미 체계들을 지극히 일상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으로 재현하게(naturalization)되고, 사회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의심되지 않는 이야기들을 재생산하는 매개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잘 짜여있지 않은 이야기, 등장인물의 즉흥적 대사와 행동으로 인한 예측이 어려운 서사구조로 인해 하나의 담론 구성체로 작동하는 데 있어서 여러 제한 요소를 갖게 된다. 더욱이 현실과 허구의 혼합이라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관습에 익숙한 시청자들의 경우에는 텍스트에 대한 일탈적 해독을 하게 됨으로써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반영하고 재생산하는 이데올로기나 담론이 수용자에게 그대로 관철되기 어렵다는 잠정적 한계가 발견된다. 현실을 구성할 수 있는 장르적 관습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바로 그 장르의 특성으로 인해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기회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은 양가적인 양상을 띠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현재 한국의 매체정경에서 가장 두드러진 활약을 보이는 장르이자 포맷으로 시청률 보증수표로 통한다. 그러나 동시에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학계나 비평계로부터 프로그램의 품질에 대한 끊임없는 비판을 받아왔다. 본 연구가 탐구한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문화정치학이 보여주는 사회문화적 함의는 이와 같은 기존의 일방적인 사회적 시선에 대한 재고를 요구한다. 요컨대 대중문화 텍스트는 하나의 단일한 의미로 해석되고 풀이되어야만 하는 경전이 아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지배적 담론의 구성체로 읽힐 수도 있지만, 주류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보여줄 수도 있다. 그리고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은 이와 같은 이중적 의미의 정치를 가능케 하는 동인이 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주말 황금시간대 지상파 방송채널에서 인기리에 방영중인 리얼리티 프로그램 <골드미스가 간다>에 대한 텍스트 분석과 수용 분석이다. 이를 통해 노처녀 스타들의 구혼을 소...

      본 연구는 주말 황금시간대 지상파 방송채널에서 인기리에 방영중인 리얼리티 프로그램 <골드미스가 간다>에 대한 텍스트 분석과 수용 분석이다. 이를 통해 노처녀 스타들의 구혼을 소재로한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연애와 결혼이라는 사회적 현실을 어떻게 매개하며, 그것이 갖는 사회문화적 함의는 무엇인지를 탐구했다. 기존의 연구들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에 주목하기보다는, 리얼리티 프로그램도 드라마나 영화 등과 같은 하나의 서사물로 간주해 분석했다. 그러다보니 리얼리티 프로그램 역시 현실의 권력관계나 구조를 유지하는 헤게모니적 텍스트의 하나로 기능한다는 분석이 주를 이루었다. 이와 같은 분석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텍스트에서 관찰되는 지배적인 의미는 포착이 가능하지만 빈번하게 출현하는 서로 상충되고 이율배반적인 의미들까지 포획하지는 못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논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앞서 살펴본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과 관습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리얼리티 프로그램 <골드미스가 간다>가 결혼이라는 사회적 현실을 매개하는 과정에서 이데올로기적 현실 구성과 비판적 현실 성찰의 이중성을 가질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분석의 대상이 된 <골드미스가 간다>는 노처녀 스타들이 맞선남을 만나는 기회를 얻기 위한 게임을 벌이는 가운데 서바이벌 쇼의 특성이, 그리고 이후 맞선남을 만나기 위해 단장을 하는 과정에서 메이크업 쇼의 특성이 혼재되어 나타나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다. <골드미스가 간다>는 공익적인 성격을 지닌 프로그램이라기보다는 유명 연예인을 앞세워, 시청자들에게 연애와 결혼에 대한 환상을 심어줌으로써 시청률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목표를 갖는 오락물이다.
      본 연구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으로 인해 <골드미스가 간다>가 연애와 결혼에 대한 서로 상충되는 담론을 하나의 텍스트에 함께 재현하고 있으며, 수용자 역시 이중적 수용의 행태를 나타냄을 주장한다. 즉 연애와 결혼을 둘러싼 가부장적이고 유교주의적인 성 역할 이데올로기와 낭만적 사랑의 서사가 재현되는 한편, 이와 같은 지배 담론에 대한 비판적 현실 성찰의 가능성이 하나의 텍스트 내에 공존하는 것이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화려한 볼거리와 흥미위주의 편집을 통해 현실을 재구성하고, 등장인물을 익숙한 이야기 속에 배치시키는 정형화 과정을 통해 자연스러운 서사를 제공하는 장르적 특성을 지닌다. 이로 인해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이데올로기나 담론에 기반한 의미 체계들을 지극히 일상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으로 재현하게(naturalization)되고, 사회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의심되지 않는 이야기들을 재생산하는 매개물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잘 짜여있지 않은 이야기, 등장인물의 즉흥적 대사와 행동으로 인한 예측이 어려운 서사구조로 인해 하나의 담론 구성체로 작동하는 데 있어서 여러 제한 요소를 갖게 된다. 더욱이 현실과 허구의 혼합이라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관습에 익숙한 시청자들의 경우에는 텍스트에 대한 일탈적 해독을 하게 됨으로써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반영하고 재생산하는 이데올로기나 담론이 수용자에게 그대로 관철되기 어렵다는 잠정적 한계가 발견된다. 현실을 구성할 수 있는 장르적 관습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바로 그 장르의 특성으로 인해 현실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기회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은 양가적인 양상을 띠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현재 한국의 매체정경에서 가장 두드러진 활약을 보이는 장르이자 포맷으로 시청률 보증수표로 통한다. 그러나 동시에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학계나 비평계로부터 프로그램의 품질에 대한 끊임없는 비판을 받아왔다. 본 연구가 탐구한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문화정치학이 보여주는 사회문화적 함의는 이와 같은 기존의 일방적인 사회적 시선에 대한 재고를 요구한다. 요컨대 대중문화 텍스트는 하나의 단일한 의미로 해석되고 풀이되어야만 하는 경전이 아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은 지배적 담론의 구성체로 읽힐 수도 있지만, 주류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보여줄 수도 있다. 그리고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은 이와 같은 이중적 의미의 정치를 가능케 하는 동인이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nquires to how a popular reality program mediates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of ideological discourses of romantic love and marriage by employing both textual and reception analysis. Through Gold Miss is Coming, the present study explores social implications of reality TV that depicts celebrities' struggles, who are assumed as old maid, to meet and get marry to socially constructed ideal spouse. While previous studies have considered reality TV as one of popular culture texts alike soap operas and films that show hegemonic practices, this study examines unique features of reality TV presenting not only hegemonic but also counter-hegemonic potentials. The thesis argues that, due to exclusive characteristics of reality program, though Gold Miss is Coming reveals ideological limitation by heavy using of typecasting, simplifying complex structural causes of social issues, and hence naturalizing romantic love myth and gender role ideology, it also provides ideological possibilities through utilizing unscripted and less controled performance of celebrities and ordinary people, critical reading of audiences who are accustomed to convention of reality TV, thereby bringing about subversion of hegemonic tales towards love and marriage. The two faces of reality TV owing to its peculiar genre characteristics lend opportunities to Gold Miss is Coming playing conflicting dual roles in telling ideological discourse. Current research proposes that alternative approach is needed in understanding the cultural politics of reality TV. Reality TV as a popular culture texts is not a canonic text having fixed meaning and implications in society. Rather reality TV is a television genre where heterogeneous and different discourses are able to coexist.
      번역하기

      This thesis inquires to how a popular reality program mediates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of ideological discourses of romantic love and marriage by employing both textual and reception analysis. Through Gold Miss is Coming, the present study exp...

      This thesis inquires to how a popular reality program mediates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of ideological discourses of romantic love and marriage by employing both textual and reception analysis. Through Gold Miss is Coming, the present study explores social implications of reality TV that depicts celebrities' struggles, who are assumed as old maid, to meet and get marry to socially constructed ideal spouse. While previous studies have considered reality TV as one of popular culture texts alike soap operas and films that show hegemonic practices, this study examines unique features of reality TV presenting not only hegemonic but also counter-hegemonic potentials. The thesis argues that, due to exclusive characteristics of reality program, though Gold Miss is Coming reveals ideological limitation by heavy using of typecasting, simplifying complex structural causes of social issues, and hence naturalizing romantic love myth and gender role ideology, it also provides ideological possibilities through utilizing unscripted and less controled performance of celebrities and ordinary people, critical reading of audiences who are accustomed to convention of reality TV, thereby bringing about subversion of hegemonic tales towards love and marriage. The two faces of reality TV owing to its peculiar genre characteristics lend opportunities to Gold Miss is Coming playing conflicting dual roles in telling ideological discourse. Current research proposes that alternative approach is needed in understanding the cultural politics of reality TV. Reality TV as a popular culture texts is not a canonic text having fixed meaning and implications in society. Rather reality TV is a television genre where heterogeneous and different discourses are able to coexis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 록 ⅰ
      • 표 및 그림 목차 ⅵ
      • 제 1 장 서 론 1
      • 초 록 ⅰ
      • 표 및 그림 목차 ⅵ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문제 제기 1
      • 제 2 절 연구의 기여점 4
      • 제 3 절 논문의 구성 5
      • 제 2 장 기존문헌 검토 및 이론적 배경 6
      • 제 1 절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정의, 역사, 연구경향 6
      • 1.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정의와 역사 6
      • 2.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경향 9
      • 제 2 절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 이데올로기 및 담론의 구성 14
      • 1. 편집된 리얼리티와 현실의 재구성 14
      • 2. 등장 인물의 정형화 16
      • 3. 오락적 형식과 자연스러운 서사로 인한 수용자의 무비판적 수용 17
      • 제 3 절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과 비판적 현실 성찰의 가능성 19
      • 1. 잘 짜여있지 않은 이야기 19
      • 2. 등장 인물들의 즉흥적 진행 20
      • 3. 소격효과와 일탈해독의 가능성 20
      • 제 4 절 결혼에 대한 신화와 현실의 괴리 23
      • 1. 결혼을 둘러싼 담론들: 낭만적 사랑의 신화와 성 역할 이데올로기 23
      • 2. 대중매체가 재현하는 결혼의 환상 24
      • 3.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재현하는 결혼: 이데올로기 구성과 비판적 성찰의 가능성 26
      • 제 3 장 연구문제 29
      • 제 4 장 연구방법 31
      • 제 1 절 텍스트 분석 31
      • 1. 분석대상 프로그램과 에피소드 31
      • 2. 서사분석 33
      • 제 2 절 수용 분석 37
      • 1. 초점집단면접 37
      • 2. 일대일, 일대이 심층면접 38
      • 제 5 장 <골드미스가 간다>에 나타난 결혼에 대한 현실 구성과 성찰 42
      • 제 1 절 내조의 여왕 되기와 이 시대 최고 남자들과 맞선보기:
      • 연애와 결혼에 대한 <골드미스가 간다>의 이데올로기적 현실 구성 42
      • 1. 결혼에 대한 갈망과 환상, 그리고 신부의 조건 42
      • 2. 이 시대 최고 남성과의 만남과 신데렐라 콤플렉스 51
      • 3. 웃고 즐기는 사이에...:
      •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공모적 오락성과 개인화된 결혼 문제, 그리고 담화적 장치 54
      • 제 2 절 예측할 수 없는 이야기와 믿을 수 없는 리얼리티:
      • 연애와 결혼에 대한 <골드미스가 간다>의 비판적 현실 성찰의 가능성 60
      • 1. 미리 짜여있지 않은 결론:
      • 예측하기 어려운 맞선의 결과, 그리고 연애와 결혼의 현실 60
      • 2.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리얼리티’에 대한 불신과 낯설게 보기 63
      • 제 6 장 결 론 68
      • 제 1 절 연구의 결론 및 함의 68
      • 제 2 절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71
      • 참고문헌 73
      • ABSTRACT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