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친환경 캠퍼스의 외부공간에 대한 수요자의 선호도 조사 = A Study on the Student's Preference for Outdoor Spaces of Sustainable Camp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14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preference of the students on the outdoor spaces and the related facilities for creating the sustainable outdoor spaces in university campuses. The survey was conducted of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preference of the students on the outdoor spaces and the related facilities for creating the sustainable outdoor spaces in university campuses. The survey was conducted of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Jinju-si as the method of the study. Students preferred open spaces and green spaces the most, waterfront spaces the least as the outdoor space in university campus. Survey respondents preferred the spaces providing resting, amenity and communication as the general outdoor spaces. And they preferred the spaces providing functional and aesthetic satisfaction to the occupants as the sustainable outdoor spaces. Local community revitalization is the least responded among the reasons of preferring the outdoor spaces in campus. Students preferred bench, trash can and pergola as the facilities that needed at the outdoor spaces in campus. It seems students prefer the facilities to support their outdoor activities and rest-activities at the outdoor spaces. According to the overall result of the study,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ference for the general outdoor spaces and the preference for the sustainable outdoor spaces in campus. However, the study doesn’t clearly state the reason for the result from the preference survey stated above. This limit could be complemented in the later stud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 론
      • Ⅱ.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Ⅲ. 캠퍼스 외부공간 유형 검토
      • Ⅳ. 설문 결과 및 분석
      • Abstract
      • Ⅰ. 서 론
      • Ⅱ.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Ⅲ. 캠퍼스 외부공간 유형 검토
      • Ⅳ. 설문 결과 및 분석
      • 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자건, "한국과 일본 대학교 구성원의 그린캠퍼스 인식 비교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5 (25): 180-194, 2012

      2 김태영, "한국ㆍ일본 그린캠퍼스 법제도 및 추진사례 비교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7 (17): 39-48, 2016

      3 윤수진, "한국 그린캠퍼스의 현황과 과제 : ‘환경부 그린캠퍼스 사업’참여 대학 관계자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81-82, 2015

      4 옥순일, "캠퍼스 외부공간 계획에 있어서 지능형 기술 적용에 관한기초연구" 24 (24): 1239-1242, 2004

      5 이창훈, "친환경인증 아파트의 주거품질이 고객충성도와 재구매의도에미치는 영향- 친환경아파트 거주자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환경학회 11 (11): 187-204, 2013

      6 윤용권, "지속 가능한 그린 캠퍼스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 20 (20): 19-26, 2013

      7 녹색연합, "에너지 사용량 통계자료"

      8 송두삼, "에너지 다소비기관 대학캠퍼스의그린캠퍼스 추진 현황" 43 (43): 17-, 2014

      9 김범수, "아파트 거주자의 녹화 개선 방안에 대한 의식분석 - 소형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환경학회 10 (10): 17-32, 2012

      10 윤대일, "신축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소비 현황 조사 및 분석" 한국생활환경학회 21 (21): 356-363, 2014

      1 구자건, "한국과 일본 대학교 구성원의 그린캠퍼스 인식 비교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5 (25): 180-194, 2012

      2 김태영, "한국ㆍ일본 그린캠퍼스 법제도 및 추진사례 비교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7 (17): 39-48, 2016

      3 윤수진, "한국 그린캠퍼스의 현황과 과제 : ‘환경부 그린캠퍼스 사업’참여 대학 관계자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81-82, 2015

      4 옥순일, "캠퍼스 외부공간 계획에 있어서 지능형 기술 적용에 관한기초연구" 24 (24): 1239-1242, 2004

      5 이창훈, "친환경인증 아파트의 주거품질이 고객충성도와 재구매의도에미치는 영향- 친환경아파트 거주자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환경학회 11 (11): 187-204, 2013

      6 윤용권, "지속 가능한 그린 캠퍼스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 20 (20): 19-26, 2013

      7 녹색연합, "에너지 사용량 통계자료"

      8 송두삼, "에너지 다소비기관 대학캠퍼스의그린캠퍼스 추진 현황" 43 (43): 17-, 2014

      9 김범수, "아파트 거주자의 녹화 개선 방안에 대한 의식분석 - 소형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환경학회 10 (10): 17-32, 2012

      10 윤대일, "신축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소비 현황 조사 및 분석" 한국생활환경학회 21 (21): 356-363, 2014

      11 박율진, "대학캠퍼스 부지를 활용한 녹색나눔숲 조성계획 - 전북대 실습장을 중심으로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9 (19): 31-42, 2015

      12 원선영, "대학교 캠퍼스 내·외부 보행환경의 ‘접근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9 (9): 11-21, 2009

      13 윤남식, "대학건축물의 전력에너지 사용량 조사 및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3 (13): 27-32, 2013

      14 음영철, "대학가 주변 그린캠퍼스 활성화방안" 24 (24): 241-242, 2016

      15 황영석, "대학 캠퍼스의 쿨표면 비율 비교평가: 경북대학교와 UC Davis를 사례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5 (15): 117-127, 2015

      16 정혜진, "대학 캠퍼스의 온실가스 에너지 감축 관리 사례 연구 - 일본 주요 대학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교육학회 27 (27): 416-429, 2014

      17 김경수,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 소비 실태 조사를 통한 탄소 인센티브 제도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23 (23): 65-81, 2010

      18 이영주, "대학 캠퍼스본관 앞 외부공간의 상징적 표현 특성에 관한연구" 31 (31): 31-32, 2011

      19 조혜경,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한국환경교육학회 189-192, 2014

      20 조기찬, "그린캠퍼스의 구성요소에 대한 대학별 비교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91-102, 2011

      21 정숙인, "그린캠퍼스 조성을 위한 대학건물의 친환경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8 (18): 221-228, 2009

      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린캠퍼스 장기적 발전방안 연구" 녹색성장위원회 2013

      23 오현인, "그린시티에 대응하는 캠퍼스 휴식공간 디자인 제안" 14 (14): 208-209, 2012

      24 이명식, "그린 캠퍼스의 계획/설계 단계에서의 life cycle과 평가 관리" 57 (57): 27-33, 2013

      25 김수봉,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외부공간의 이용실태 및 만족요인분석" 4 : 53-77, 1999

      26 구자건, "AHP 기법을 이용한 그린캠퍼스 운영 요소의 중요도 분석" 한국환경교육학회 28 (28): 92-102,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6 0.86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