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점상 문제의 해결, 왜 실패를 반복하는가?:상황론적 정책관리의 관점을 적용한 사례 분석 = Looking for an Alternative Approach to Dealing with Street Vending Problems: A Case Analysis from a Contingency Policy Management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281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reet vending problems are related to passage, hygiene, safety, and tax fairness, etc. The “majority” of residents facing inconvenience demand solutions from local authorities, but organized “minority” vendors, perceived as socially disadvantaged, resist. In this context, the policies of the local government to ease resident discomfort and address the problems often have temporary and limited effects, resulting in a cycle of unresolved conflicts reemerging after a latent period. This research explains the causes from the perspective of situational policy management. According to Matland (1995), policy implementation strategy selection should consider the level of conflict and policy goal's ambiguity. In the case of street vending problems, where means are clear but conflicts among key stakeholders are high, successful resolution requires 'political implementation,' emphasizing support and acceptance from stakeholders like residents and street vendors. However, local government strategies have been perceived as distant from effective political implementation, leading to execution limitations. This study utilizes Moore's (1995) concept of political management as an analytical framework, analyzing the case of street vending problems and addressing the issue in Dobong-gu, Seoul, and offering managerial insights necessary for dealing with street vending problems.
      번역하기

      The street vending problems are related to passage, hygiene, safety, and tax fairness, etc. The “majority” of residents facing inconvenience demand solutions from local authorities, but organized “minority” vendors, perceived as socially disad...

      The street vending problems are related to passage, hygiene, safety, and tax fairness, etc. The “majority” of residents facing inconvenience demand solutions from local authorities, but organized “minority” vendors, perceived as socially disadvantaged, resist. In this context, the policies of the local government to ease resident discomfort and address the problems often have temporary and limited effects, resulting in a cycle of unresolved conflicts reemerging after a latent period. This research explains the causes from the perspective of situational policy management. According to Matland (1995), policy implementation strategy selection should consider the level of conflict and policy goal's ambiguity. In the case of street vending problems, where means are clear but conflicts among key stakeholders are high, successful resolution requires 'political implementation,' emphasizing support and acceptance from stakeholders like residents and street vendors. However, local government strategies have been perceived as distant from effective political implementation, leading to execution limitations. This study utilizes Moore's (1995) concept of political management as an analytical framework, analyzing the case of street vending problems and addressing the issue in Dobong-gu, Seoul, and offering managerial insights necessary for dealing with street vending proble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가영 ; 이정욱, "포괄수가제의 전면 도입은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M. Moore(1995)의 정치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51 (51): 55-80, 2020

      2 홍인옥, "특화거리조성사업의 성과와 과제: 종로노점거리를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1-87, 2012

      3 나태준 ; 황기연, "청계천 복원사업의 갈등관리 사례분석" 서울연구원 6 (6): 169-190, 2005

      4 동북아이뉴스, "창동역 주변 거리환경개선 업무협약식 맺어"

      5 리서치플러스, "창동역 주변 거리가게 개선방향 설정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보고서" 2016

      6 최태현, "참여 및 숙의제도의 대표성: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2 (52): 501-529, 2018

      7 하혜수, "지방정부간 분쟁조정과정에 관한 협상론적 분석" 한국행정학회 37 (37): 205-224, 2003

      8 최재송, "지방자치단체의 노점상 문제 해결방안" 대한지방자치학회 9 (9): 57-76, 2007

      9 유두호 ; 이정욱, "지방의료원 정책의 정치적 동학: 성남시의료원 설립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31 (31): 199-233, 2021

      10 도봉구청, "주요사업 추진현황(창동역 2번 출구 환경개선사업)"

      1 임가영 ; 이정욱, "포괄수가제의 전면 도입은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M. Moore(1995)의 정치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51 (51): 55-80, 2020

      2 홍인옥, "특화거리조성사업의 성과와 과제: 종로노점거리를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1-87, 2012

      3 나태준 ; 황기연, "청계천 복원사업의 갈등관리 사례분석" 서울연구원 6 (6): 169-190, 2005

      4 동북아이뉴스, "창동역 주변 거리환경개선 업무협약식 맺어"

      5 리서치플러스, "창동역 주변 거리가게 개선방향 설정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 보고서" 2016

      6 최태현, "참여 및 숙의제도의 대표성: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2 (52): 501-529, 2018

      7 하혜수, "지방정부간 분쟁조정과정에 관한 협상론적 분석" 한국행정학회 37 (37): 205-224, 2003

      8 최재송, "지방자치단체의 노점상 문제 해결방안" 대한지방자치학회 9 (9): 57-76, 2007

      9 유두호 ; 이정욱, "지방의료원 정책의 정치적 동학: 성남시의료원 설립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31 (31): 199-233, 2021

      10 도봉구청, "주요사업 추진현황(창동역 2번 출구 환경개선사업)"

      11 이병렬 ; 이종수, "주민자치회 시범실시의 제도적 한계와 발전과제"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157-180, 2015

      12 김필두, "주민자치회 시범실시에 대한 성과 분석" (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8 (28): 35-60, 2014

      13 최상현, "주민자치위원회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5 (25): 139-167, 2016

      14 KBS News, "주민 vs 노점상 갈등…창동역 앞에선 무슨 일?"

      15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문화사 2020

      16 목진휴, "정책문제의 특성과 공직자의 정책태도 - 사용 후 일회용 기저귀의 재활용 문제를 사례로 -" 한국정책학회 20 (20): 63-86, 2011

      17 김영기, "전통시장 및 인접구역의 생계형 노점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15 (15): 155-174, 2010

      18 시정일보, "이경숙 도봉구의원 5분 발언/“불법노점상과 손잡고 주민은 외면”"

      19 장효진 ; 김우림, "우리나라 근로연계복지정책의 결정과 집행에 대한 연구: 모호성, 갈등, 자원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32 (32): 129-156, 2021

      20 이정철 ; 이정욱, "야간옥외집회 및 시위에 대한 대체입법 추진은 왜 실패하였는가? : 전략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학회 12 (12): 183-206, 2015

      21 김혜원 ; 이정욱, "신촌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는 어떻게 성공적으로 도입되었는가?: 다중흐름모형과 정치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1 (21): 209-237, 2018

      22 시정일보, "시정일보/ “창동역 주점노점상 밤늦도록 소음ㆍ악취 공해”"

      23 홍힘찬 ; 이정욱, "성공적 공적숙의, 무엇이 필요한가?: 민-군 갈등 사례 분석을 통한 관리적 과제의 탐색"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16 (16): 63-96, 2021

      24 도봉구의회, "서울특별시도봉구의회예산결산특별위원회회의록. 제267회 제3호"

      25 도봉구의회, "서울특별시도봉구의회본회의회의록. 제281회 제3호"

      26 도봉구의회, "서울특별시도봉구의회본회의회의록. 제270회 제4호"

      27 도봉구의회, "서울특별시도봉구의회본회의회의록. 제267회 제3호"

      28 도봉구의회, "서울특별시도봉구의회본회의회의록. 제270회 제1호."

      29 도봉구의회, "서울특별시 도봉구 역주변 노점상 개선을 위한 특별위원회 활동결과 보고서" 서울특별시 도봉구 역주변 노점상 개선을 위한 특별위원회 2017

      30 YTN, "서울 창동역 앞 노점상 재설치 두고 충돌...노점 vs 주민"

      31 김효선 ; 조윤직, "방폐장 입지정책에서 정부의 정치적 관리: 부안군 유치시도 및 경주시 유치선정 사례 비교" 한국행정연구소 57 (57): 227-259, 2019

      32 김혜원 ; 이정욱,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서울시의 대중교통 무료 운행 정책은 왜 실패했는가?: 정치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2 (22): 99-125, 2019

      33 홍민호 ; 이정욱,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조성사업 정책은 어떻게 가능하였는가?: 정치적 관리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3 (23): 237-260, 2019

      34 시정일보, "동대문구, 청량리역-제기동역 구간 거리가게 철거"

      35 도봉뉴스, "도시미관 개선과 안전한 보행권 확보를 위해 “창동역 2번 출구가 확 달라집니다!"

      36 김준희, "도시공간과 노점상의 권리에 관한 연구: 1980년대 노점상운동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공간환경학회 21 (21): 66-102, 2011

      37 Redian, "도봉구청에 기만 당한 창동역 주변의 노점상들"

      38 서울강북신문, "도봉구, 노점단체 ‘창동역 거리가게 개선사업’ 긴급 대화"

      39 도봉구청, "도봉구, 34년 만에 주민들의 품으로 돌아온 창동역 (주민-거리가게-도봉구가 함께 써내려간 지난 4년의 기록)"

      40 세계일보, "도봉구 주먹구구 행정에 … ‘창동역 노점 개선 공사’ 중단 물의"

      41 홍인옥, "노점상문제 현황 및 갈등구조 분석" 5 (5): 37-59, 1999

      42 황진태 ; 권규상 ; 조영지, "노점상 연구에서 도시 비공식성 개념의 이론적, 실천적 함의" 한국공간환경학회 25 (25): 55-86, 2015

      43 김수현, "노점상 문제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47 : 28-40, 2000

      44 조선비즈, "노점매대 세우자 등장한 철제 울타리… ‘거리가게 허가제’로 몸살 앓는 청량리"

      45 김지민, "기획연재 : 노점상 문제의 현황과 운동의 방향" 2 : 27-76, 1994

      46 정정화, "공공갈등과 합의형성 : 심의민주주의 방식의 적용과 한계" 한국정부학회 23 (23): 577-604, 2011

      47 안현 ; 이명훈, "거리가게(노점) 특화거리 조성사업에 따른 상업가로 변화및 이용자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노량진로 거리가게 특화거리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 (52): 37-53, 2017

      48 Marsh, D., "Towards a framework for establishing policy success" 88 (88): 564-583, 2010

      49 Wilson, J. Q., "The politics of regulation" Basic Book, Inc 1980

      50 Matland, R. E., "Synthesizing the implementation literature : The ambiguity-conflict model of policy implementation" 5 (5): 145-174, 1995

      51 Heifetz, R. A., "Leadership Without Easy Answer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52 Lowi, T. J., "Four systems of policy, politics, and choice" 32 (32): 298-310, 1972

      53 Moore, M. H., "Creating public value: Strategic management in govern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54 Cyert, R. M., "A behavioral theory of the firm" Blackwell Business 1992

      55 KBS 2TV, "3년 노숙 시위 할머니, 그녀에게 무슨 일이 있었나? / 서울 창동역은 왜 전쟁터가 되었나?. 제63회 방영분"

      56 한국일보, "30년 갈등 터진 창동역... 노점상 “생존권을” 주민들 “보행권을”"

      57 서울특별시, "2021년 거리가게 실태조사 결과 보고" 2022

      58 도봉구의회, "2017년도행정사무감사복지건설위원회회의록"

      59 서울특별시, "2016년 거리가게 실태조사 결과 보고" 2016

      60 도봉구청, "- 창동역 주변 거리가게의 개선방향 설정을 위한 - 설문조사 실시결과 보고" 2016

      61 도봉구청, "- 창동역 서편 환경개선 사업 – 거리가게 재배치 완료 및 향후 추진계획" 2018

      62 도봉구청, "- 창동역 서편 환경개선 – 사업구간 내 거리가게 도로점용허가 추진계획" 2017

      63 도봉구청, "- 창동역 서편 환경개선 – 공영주차장 구간 거리가게 도로점용허가 추진계획" 2017

      64 도봉구청, "- 안전한 보행권 회복 및 도시 미관 개선을 위한 - 「창동역 거리가게 개선」 추진 계획"

      65 도봉구청, "- 구민의 보행 환경, 도시미관 개선 및 상생을 위한 - 창동역 주변 거리가게 환경개선 업무협약 추진계획" 2017

      66 서울특별시, "- 『거리가게 가이드라인』 마련에 따른 – 서울시 거리가게 관리 종합 계획" 2018

      67 서울강북신문, "'창동역 노점 양성화' 창동주민 반발"

      68 엄정윤 ; 김승현, "'노점상' 관련 보도에서 나타난 언론의 공간인식 분석" 한국언론학회 54 (54): 255-275,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