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청소년의 진로 관련 부모지지 척도 개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190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사회 속에서 다른 구성원들과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다른 구성원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긍정적인 자원을 사회적 지지라고 ...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사회 속에서 다른 구성원들과 상호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다른 구성원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긍정적인 자원을 사회적 지지라고 한다. 최근 사회적 지지가 개인의 심리적 적응을 돕고 좌절을 극복하게 해주며 문제해결 능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밝혀지면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더욱이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개인의 능력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청소년들을 위한 중요한 적응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가 주목을 받게 되었다(이유선, 1996).
      여러 연구들은 일관적으로 사회적 지지가 개인의 심리적, 신체적 적응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왔다(Birch, 1998; Kaplan, Robbins, & Martin, 1983). 사회적 지지가 청년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에서도 개인이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하기 위하여서는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Dubois, Felner, Meares, & Krier, 1994). 이 중 우리나라에서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가장 큰 고민으로 꼽고 있으며, 전문가의 도움이나 상담을 원하는 주제가 진로라는 것이 지속적으로 밝혀지고 있다.
      진로와 관련하였을 때, 사회적 지지란 개인이 적극적으로 진로 행동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을 의미한다(Betz, 1989). 사회적 지지와 진로발달과의 관계를 고찰한 Burk, Bristol 및 Rothstein(1995)는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지지적인 상호 관계망은 개인의 진로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진로연구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사회적지지 척도는 스트레스에 대한 일반적인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는 도구로서 진로에 대해 주어지는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다(이상희,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진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 즉 진로지지 측정 도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진로에 대한 지지를 측정할 수 있는 진로 지지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한편, 청소년기에 사회적 지지원으로 가장 중요한 사람은 부모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Furman & Buhrmester, 1992). 가족의 사회적 지지가 높은 학생은 높은 학업적 자존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Dubow & Ullman, 1989), 가족의 사회적 지지가 부족한 학생은 스트레스와 우울에 훨씬 취약하며(Cauce, Hannan, & Sargeant, 1992), 학교 적응에도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Baker, 1985). 더욱이 일반적으로 장기적인 진로나 가치관 형성 같은 중요한 선택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지지를 제공해주는 사람도 부모인 것으로 보고되었다(Nurmi, 1987; O'Brien. 1990). 본 연구는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진로 지지원으로 가장 중요한 부모의 지지에 중점을 두어 특별히 부모의 진로지지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개발된 부모 진로지지 척도가 실제로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진로발달이나 진로문제에 대하여 얼마나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 진로와 관련된 여러 가지 경험들을 수행해 가는 과정에서, 개인의 진로선택과 목표, 포부, 동기 등에 영향을 미치거나 역할 행동을 방해하는 진로장벽요인들이 관심을 받고 있다(Lent, Brown, & Hackett, 2000; Mcwhirter, 1997). 연구들은 진로장벽이 개인의 진로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다른 여러 가지 변인이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Swanson, Daniels, & Tokar, 1996).
      선행연구들에서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에 대한 완충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arasek & Theorell, 1990).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볼 때, 진로에 대한 지지는 진로장벽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켜주는 중재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지각된 진로장벽이 높을지라도 진로에 대한 지지를 높게 지각한다면, 진로장벽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진로에 대한 지지가 진로장벽과 진로발달에 대한 중재변인이 될 것인지 가정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에서 진로에 대한 지지가 진로장벽에 대한 중재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면, 상담자들은 진로장벽으로 고민하는 학생에게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전략을 세울 수 있는데, 진로장벽 자체를 다루는 것보다 진로에 대한 지지를 증가시키는 방향이 개인의 진로장벽 극복을 위한 효과적인 상담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