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4289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리더십의 인식 수준을 분석하고, 두 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회수된 304부의 설문지 중 결측데이터를 제외한 286명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응답자료를 토대로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검사, 기술통계분석, t검증 및 ANOVA검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의 수준은 5점 만점에 3.43점, 교사리더십의 수준은 5점 만점에 4.12점으로 두 지표 모두 보통 이상의 높은 인식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직위, 학교급, 혁신학교 여부, 학교 규모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성별, 학력, 교직경력, 학교 설립유형, 학교소재지역, 학교장 성별, 공모교장 여부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교사리더십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교사변인인 성별, 최종학력, 직위, 교직경력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교변인에 따른 교사리더십 인식 수준의 차이는 학교급, 설립유형, 혁신학교여부, 학교규모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 소재지역, 학교장 성별, 공모교장 여부는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리더십의 하위요인들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의 각 하위변인은 교사리더십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변인(성별, 직위, 교직경력, 최종학력), 학교변인(학교급, 설립유형, 혁신학교 여부, 학교장 성별, 공모교장 여부)을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교사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β=.231, p<.001). 한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변수를 투입하여도 교사특성 중 성별(β=-.153, p<.01), 직위(β=.128, p<.05), 교직경력(β=.146, p<.05), 학교 특성 중 혁신학교 여부(β=-.132, p<.05)는 여전히 교사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의 중요성을 주지시키고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교장 자격연수 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의 필요성이다. 둘째, 학교장이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동기 부여하는 교장임용방식을 설계하는 것의 중요성이다. 셋째, 수업과 학급운영, 생활지도와 같이 교사의 핵심 활동 영역에 대해서 권한을 위임하고 자율성과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사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민주적이고 공동체적인 학교문화를 지원하는 정책 검토의 필요성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리더십의 인식 수준을 분석하고, 두 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

      본 연구는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리더십의 인식 수준을 분석하고, 두 변인 간의 영향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회수된 304부의 설문지 중 결측데이터를 제외한 286명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응답자료를 토대로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검사, 기술통계분석, t검증 및 ANOVA검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의 수준은 5점 만점에 3.43점, 교사리더십의 수준은 5점 만점에 4.12점으로 두 지표 모두 보통 이상의 높은 인식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직위, 학교급, 혁신학교 여부, 학교 규모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성별, 학력, 교직경력, 학교 설립유형, 학교소재지역, 학교장 성별, 공모교장 여부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교사리더십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교사변인인 성별, 최종학력, 직위, 교직경력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교변인에 따른 교사리더십 인식 수준의 차이는 학교급, 설립유형, 혁신학교여부, 학교규모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 소재지역, 학교장 성별, 공모교장 여부는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리더십의 하위요인들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의 각 하위변인은 교사리더십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변인(성별, 직위, 교직경력, 최종학력), 학교변인(학교급, 설립유형, 혁신학교 여부, 학교장 성별, 공모교장 여부)을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교사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β=.231, p<.001). 한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변수를 투입하여도 교사특성 중 성별(β=-.153, p<.01), 직위(β=.128, p<.05), 교직경력(β=.146, p<.05), 학교 특성 중 혁신학교 여부(β=-.132, p<.05)는 여전히 교사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의 중요성을 주지시키고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교장 자격연수 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의 필요성이다. 둘째, 학교장이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동기 부여하는 교장임용방식을 설계하는 것의 중요성이다. 셋째, 수업과 학급운영, 생활지도와 같이 교사의 핵심 활동 영역에 대해서 권한을 위임하고 자율성과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사에게 기회를 확대하고 민주적이고 공동체적인 학교문화를 지원하는 정책 검토의 필요성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level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 leadership, and to explor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500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286 out of 304 returned questionnaires except missing data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conducted reliability tes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above all, indicate that the average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perceived was 3.43 points and the average of teacher leadership was 4.12 points, showing a high perception level of both indicators. Second, teachers' perception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diff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position, school level, innovative school, and school size, but it did not differ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teaching career, school type, school district, principal’s gender and open recruitment principal. Thir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 leadershi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 variables such a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and teaching career. In addition, the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 leadership depending on school variables diff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the school level, school type, innovative school, and school size.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school district, principal’s gender, and open recruitment principal. Fourth, the findings from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the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those of teacher leadership revealed that each sub-variable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eacher leadership. Fifth,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on teacher leadership demonstrated that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 leadership while teacher variables (gender, position, teaching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school variables (school level, establishment type, innovation school, principal gender, and open recruitment principal) were all controlled(β=.231, p<.001).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variable is input, gender (β=-.153, p<.01), position (β=.128, p<.05), and teaching career (β=.146, p<.05) from teacher variables, and innovative school from school variables (β=-.132, p<.05) were still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 leadership.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refore, suggested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First, it is imperative to encompass the program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developing it in principal qualification training. Second, employment system of principal should be designed to motivate principals to enact servant leadership. Finally, educational authorities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policies to provide teachers with more opportunities and support democratic and communal school culture. It will not only empower teachers in crucial professional dimensions such as teaching, class management and guidance but also enable them to exercise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level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 leadership, and to explor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500 ...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level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teacher leadership, and to explor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500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286 out of 304 returned questionnaires except missing data were adopt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conducted reliability tes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above all, indicate that the average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teachers perceived was 3.43 points and the average of teacher leadership was 4.12 points, showing a high perception level of both indicators. Second, teachers' perception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diff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position, school level, innovative school, and school size, but it did not differ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teaching career, school type, school district, principal’s gender and open recruitment principal. Thir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 leadershi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 variables such as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and teaching career. In addition, the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 leadership depending on school variables diff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the school level, school type, innovative school, and school size.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school district, principal’s gender, and open recruitment principal. Fourth, the findings from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of the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those of teacher leadership revealed that each sub-variable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eacher leadership. Fifth,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on teacher leadership demonstrated that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 leadership while teacher variables (gender, position, teaching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school variables (school level, establishment type, innovation school, principal gender, and open recruitment principal) were all controlled(β=.231, p<.001).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variable is input, gender (β=-.153, p<.01), position (β=.128, p<.05), and teaching career (β=.146, p<.05) from teacher variables, and innovative school from school variables (β=-.132, p<.05) were still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 leadership.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refore, suggested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First, it is imperative to encompass the program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and developing it in principal qualification training. Second, employment system of principal should be designed to motivate principals to enact servant leadership. Finally, educational authorities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policies to provide teachers with more opportunities and support democratic and communal school culture. It will not only empower teachers in crucial professional dimensions such as teaching, class management and guidance but also enable them to exercise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연구의 제한점 6
      • Ⅱ. 이론적 배경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5
      • 3. 연구의 제한점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의 특성 7
      • 가.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 7
      • 나. 서번트 리더십의 구성요소 8
      • 다.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관련 선행연구 검토 11
      • 2. 교사리더십의 특성 13
      • 가. 교사리더십의 개념 13
      • 나. 교사리더십의 구성요소 14
      • 다. 교사리더십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20
      • 3. 변인 간의 선행연구 분석 22
      • Ⅲ. 연구방법 23
      • 1. 연구대상 23
      • 2. 조사도구 27
      • 가. 독립변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27
      • 나. 종속변인 - 교사리더십 27
      • 다. 통제변인 28
      • 라. 조사도구의 신뢰도 검증 결과 28
      • 3. 분석 절차와 방법 29
      • 4. 연구모형 31
      • Ⅳ. 연구결과 해석 및 논의 32
      • 1. 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리더십 기술통계 분석 32
      • 가.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리더십 인식 수준 분석 32
      • 나. 배경변인에 따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인식 차이 분석 33
      • 다.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리더십 인식 차이 분석 36
      • 2. 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리더십 관계 분석 38
      • 가.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리더십의 상관관계 분석 38
      • 나.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39
      • 3. 종합논의 42
      • 가.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리더십의 인식 수준에 대한 논의 42
      • 나. 배경요인에 따른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인식 수준 차이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 43
      • 다. 배경요인에 따른 교사리더십 인식 수준 차이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 46
      • 라.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리더십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논의 48
      • 마.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인식 수준과 교사리더십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논의 49
      • Ⅴ. 결론 및 시사점 50
      • 1. 요약 50
      • 2. 결론 및 시사점 53
      • 참고문헌 56
      • 부 록 68
      • 국문초록 79
      • ABSTRACT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