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마이클 조이스의『오후 : 어떤 이야기』에 나타난 하이퍼텍스트의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353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90년대 이후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전자 매체의 급속한 발달과 더불어 시작된 새로운 글쓰기 형식으로서 하이퍼텍스트에 관련된 논의는 문학 영역에 적잖은 영향을 끼쳐왔다. 하지만 실제 하이퍼텍스트에 대한 논의는 1940년대 중반 베네바 부시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이후 넬슨, 마이클 조이스를 포함한 다양한 이론가들에 의해 진행되어 왔다.
      하이퍼텍스트 이론의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마이클 조이스는 1987년『오후 : 어떤 이야기』(Afternoon : a story)라는 작품을 통하여 하이퍼텍스트 이론을 구현한 최초의 작품을 선보였다. 스토리의 비선형성, 계속된 분지, 결말의 부재, 혹은 열린 결말, 독자 역할의 변화 등 하이퍼텍스트의 특징으로 언급되었던 양상들이 이 작품을 통하여 구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초의 하이퍼텍스트 소설인 이 작품의 실제 형식과 내용의 분석을 통해 구현된 하이퍼텍스트의 특징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하이퍼텍스트와 관련된 현재까지의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더불어 향후 논의에 필요한 점들을 간략하게 검토해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90년대 이후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전자 매체의 급속한 발달과 더불어 시작된 새로운 글쓰기 형식으로서 하이퍼텍스트에 관련된 논의는 문학 영역에 적잖은 영향을 끼쳐왔다. 하지만 실제 ...

      90년대 이후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전자 매체의 급속한 발달과 더불어 시작된 새로운 글쓰기 형식으로서 하이퍼텍스트에 관련된 논의는 문학 영역에 적잖은 영향을 끼쳐왔다. 하지만 실제 하이퍼텍스트에 대한 논의는 1940년대 중반 베네바 부시를 중심으로 시작되어 이후 넬슨, 마이클 조이스를 포함한 다양한 이론가들에 의해 진행되어 왔다.
      하이퍼텍스트 이론의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마이클 조이스는 1987년『오후 : 어떤 이야기』(Afternoon : a story)라는 작품을 통하여 하이퍼텍스트 이론을 구현한 최초의 작품을 선보였다. 스토리의 비선형성, 계속된 분지, 결말의 부재, 혹은 열린 결말, 독자 역할의 변화 등 하이퍼텍스트의 특징으로 언급되었던 양상들이 이 작품을 통하여 구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초의 하이퍼텍스트 소설인 이 작품의 실제 형식과 내용의 분석을 통해 구현된 하이퍼텍스트의 특징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하이퍼텍스트와 관련된 현재까지의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더불어 향후 논의에 필요한 점들을 간략하게 검토해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ypertext as a new kind of writing method based on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and electronic media, and its concept has been widely discussed from the early 1990s, resulting in lots of influence upon the literary field. But, in fact, the discussion of hypertext has been conducted from the 1940s to the 1980s with some brilliant theorists like Vennevar. Bush, Theodor. Nelson, and Michael. Joyce. Among them, M. Joyce wrote Afternoon: a story in 1987, the first hypertext novel written through his own writing program, StorySpace. Through Afternoon: a story, M. Joyce illustrated the characteristics of Hypertext like nonlinear narrative of a text, everlasting branching, absence of the end of a story or open ending, change of the role of the reader and etc. In this thesis, at first, I tried to identify those characteristics of hypertext mentioned above in Michael Joyce's Afternoon: a story, and then examine some former points of view on hypertext, and last propose some critical points with regard to how we should consider hypertext afterward.
      번역하기

      Hypertext as a new kind of writing method based on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and electronic media, and its concept has been widely discussed from the early 1990s, resulting in lots of influence upon the literary field. But, in fact, the discus...

      Hypertext as a new kind of writing method based on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and electronic media, and its concept has been widely discussed from the early 1990s, resulting in lots of influence upon the literary field. But, in fact, the discussion of hypertext has been conducted from the 1940s to the 1980s with some brilliant theorists like Vennevar. Bush, Theodor. Nelson, and Michael. Joyce. Among them, M. Joyce wrote Afternoon: a story in 1987, the first hypertext novel written through his own writing program, StorySpace. Through Afternoon: a story, M. Joyce illustrated the characteristics of Hypertext like nonlinear narrative of a text, everlasting branching, absence of the end of a story or open ending, change of the role of the reader and etc. In this thesis, at first, I tried to identify those characteristics of hypertext mentioned above in Michael Joyce's Afternoon: a story, and then examine some former points of view on hypertext, and last propose some critical points with regard to how we should consider hypertext afterwar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 들어가는 말 : 하이퍼텍스트(Hypertext)
      • 2 . 『오후: 어떤 이야기』(Afternoon: a story)의 하이퍼텍스트적 특성
      • 3 . 결론을 대신하며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1 . 들어가는 말 : 하이퍼텍스트(Hypertext)
      • 2 . 『오후: 어떤 이야기』(Afternoon: a story)의 하이퍼텍스트적 특성
      • 3 . 결론을 대신하며
      • [참고문헌]
      • [영문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