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분류사 '자루'가 수량화하는 범주의 변화 = The changes of categories that jaru can quantif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740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iming to clarify how objects demonstrated by jaru, an independent noun and the categories of quantification of jaru, a classifier are changed.
      Jaru prototypically means a hilt of 'a tool or a weapon'. Since it has been used for the words which have figurative similarities such as 'appendage which is elongated' rather than the words with functional similarities like 'a hilt of an object', a longish part attached to a leaf or a pileus can also be called jaru.
      On the other hand, the classifier jaru can prototypically quantify 'a tool or a weapon with a hilt'. Even though an exact meaning of jaru signifies only a limited part of an object instead of a whole, human has repeatedly interacted with a hilt of an object and it helps the classifier jaru quantify a whole object. Therefore, the categories that could be quantified by the classifier jaru have been extended while 'functional features' of jaru, an object handled by hands, are emphasized. Therefore, 'a pipe, a rod, or a cone', an object without a hilt but handled by hands, can be quantified with the classifier jaru.
      번역하기

      This paper is aiming to clarify how objects demonstrated by jaru, an independent noun and the categories of quantification of jaru, a classifier are changed. Jaru prototypically means a hilt of 'a tool or a weapon'. Since it has been used for the word...

      This paper is aiming to clarify how objects demonstrated by jaru, an independent noun and the categories of quantification of jaru, a classifier are changed.
      Jaru prototypically means a hilt of 'a tool or a weapon'. Since it has been used for the words which have figurative similarities such as 'appendage which is elongated' rather than the words with functional similarities like 'a hilt of an object', a longish part attached to a leaf or a pileus can also be called jaru.
      On the other hand, the classifier jaru can prototypically quantify 'a tool or a weapon with a hilt'. Even though an exact meaning of jaru signifies only a limited part of an object instead of a whole, human has repeatedly interacted with a hilt of an object and it helps the classifier jaru quantify a whole object. Therefore, the categories that could be quantified by the classifier jaru have been extended while 'functional features' of jaru, an object handled by hands, are emphasized. Therefore, 'a pipe, a rod, or a cone', an object without a hilt but handled by hands, can be quantified with the classifier jaru.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자립명사 '자루'가 지시하는 대상의 변화와 이에서 발달한 분류사 '자루'가 수량화하는 범주의 변화를 살피고, 그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립명사 '자루'는 원형적으로 '도구나 무기의 손잡이'를 지시하는데, 손으로 잡고 다루는 사물의 '손잡이'라는 기능적 유사성보다 '어떤 사물에 덧붙은 가늘고 기름한 형상의 부속물'이라는 형상적 유사성을 중심으로 지시 대상을 확장해 나간다. 그 결과 '잎'이나 '버섯갓'에 달린 기름한 부분도 '자루'로 칭할 수있게 되었다.
      분류사 '자루'도 원형적으로 '손잡이를 지닌 도구나 무기'를 수량화한다. 손잡이를 의미하는 '자루'가 사물 전체를 수량화할 수 있게 된 데에는, 사물 전체가 아닌 사물의 손잡이 부분과 반복적인 신체적 상호작용을 한 인간의 경험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분류사 '자루'의 수량화대상 확장 과정에는 가늘고 기름하다는 형상적 속성 과 함께 손으로 잡고 다루는 대상이라는 기능적 속성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피리, 회초리, 옥수수'와 같이 손잡이는 없지만 손으로 잡고 다루는 대상을 자루 로 수량화할 수 있게 되었다.
      번역하기

      본고는 자립명사 '자루'가 지시하는 대상의 변화와 이에서 발달한 분류사 '자루'가 수량화하는 범주의 변화를 살피고, 그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립명...

      본고는 자립명사 '자루'가 지시하는 대상의 변화와 이에서 발달한 분류사 '자루'가 수량화하는 범주의 변화를 살피고, 그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립명사 '자루'는 원형적으로 '도구나 무기의 손잡이'를 지시하는데, 손으로 잡고 다루는 사물의 '손잡이'라는 기능적 유사성보다 '어떤 사물에 덧붙은 가늘고 기름한 형상의 부속물'이라는 형상적 유사성을 중심으로 지시 대상을 확장해 나간다. 그 결과 '잎'이나 '버섯갓'에 달린 기름한 부분도 '자루'로 칭할 수있게 되었다.
      분류사 '자루'도 원형적으로 '손잡이를 지닌 도구나 무기'를 수량화한다. 손잡이를 의미하는 '자루'가 사물 전체를 수량화할 수 있게 된 데에는, 사물 전체가 아닌 사물의 손잡이 부분과 반복적인 신체적 상호작용을 한 인간의 경험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분류사 '자루'의 수량화대상 확장 과정에는 가늘고 기름하다는 형상적 속성 과 함께 손으로 잡고 다루는 대상이라는 기능적 속성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피리, 회초리, 옥수수'와 같이 손잡이는 없지만 손으로 잡고 다루는 대상을 자루 로 수량화할 수 있게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형식, "형상성 분류사의 범주화 분석" 부산외국어대학교 어문학연구소 16 : 2001

      2 최정혜, "한국어 명사의 단위성 획득에 대하여" 안암어문학회 42 : 2000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신문화연구원 1988

      4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5 George Lakoff, "인지 의미론: 언어에서 본 인간의 마음" 한국문화사 1994

      6 박진호, "언어학에서의 범주와 유형" 인문학연구원 (17) : 265-292, 2010

      7 Zolt n K vecses, "언어·마음·문화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역락 2010

      8 정경재, "분류사 ‘점(點)’이 수량화하는 범주의통시적 변화"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16 : 1-25, 2011

      9 박성훈, "단위어의 쓰임에 대하여(Ⅲ): 낱개(2), 거리, 넓이, 용량"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7 : 1987

      10 박성훈, "단위어의 쓰임에 대하여(Ⅱ): 낱개(1)"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6 : 1987

      1 우형식, "형상성 분류사의 범주화 분석" 부산외국어대학교 어문학연구소 16 : 2001

      2 최정혜, "한국어 명사의 단위성 획득에 대하여" 안암어문학회 42 : 2000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신문화연구원 1988

      4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5 George Lakoff, "인지 의미론: 언어에서 본 인간의 마음" 한국문화사 1994

      6 박진호, "언어학에서의 범주와 유형" 인문학연구원 (17) : 265-292, 2010

      7 Zolt n K vecses, "언어·마음·문화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역락 2010

      8 정경재, "분류사 ‘점(點)’이 수량화하는 범주의통시적 변화"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16 : 1-25, 2011

      9 박성훈, "단위어의 쓰임에 대하여(Ⅲ): 낱개(2), 거리, 넓이, 용량"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7 : 1987

      10 박성훈, "단위어의 쓰임에 대하여(Ⅱ): 낱개(1)"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6 : 1987

      11 박성훈, "단위어의 쓰임에 대하여(Ⅰ): 묶음이나 덩이"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所 5 : 1986

      12 "다할미디어 한민족전투문화원형콘텐츠"

      13 김선효, "국어의 분류사와 문법화" 한국어학회 (27) : 107-123, 2005

      14 채완, "국어의 분류사 개 의 차용 과정과 의미" 진단학회 82 : 1996

      15 채완, "국어 수량사구의 통시적 고찰: 어순변화의 일례로서" 진단학회 53 : 1982

      16 석주연, "국어 분류사의 수량화 기능에 대한 일고찰 - ‘뭉치류’ 분류사의 기능과 발달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47 : 25-46, 2009

      17 최정혜, "국어 명사의 단위성 연구: 수량 표현에서의 의미를 중심으로" 고려대 1999

      18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국어사전편찬실,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19 檀國大學校 附設 東洋學硏究所, "漢韓大辭典" 檀國大學校出版部 2007

      20 漢語大字典編輯委員會, "漢語大字典" 四川辭書出版社 1993

      21 王力, "漢語史稿" 中華書局 1980

      22 채완, "國語 分類詞의 機能과 意味" 진단학회 70 : 1990

      23 박성훈, "單位語辭典" 民衆書林 1998

      24 박재연, "中朝大事典" 鮮文大學校 中韓飜譯文獻硏究所 2002

      25 Miller, G. A., "Perception and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6

      26 Sanches, M., "Language Aquisition and Language Change: Japanese Numeral Classifiers, in Sociocultural Dimensions of Language Change" Academic Press 1977

      27 Aikhenvald, A. Y., "Classifier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28 "CULTURE CONTENT 한국의 전통 무기와 설화 속의 몬스터"

      29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 "(필사본) 고어대사전" 學古房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6 1.43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