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소진을 경험한 보육교사의 소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of small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of childcare teachers who experienced burnou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146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childcare teachers who experienced burnout by exploring what they experience in the field of child care and what their life is like through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colleagues.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help participants reconstruct their lives and have a true understanding of themselves through the process of art therap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ree childcare teachers who experienced burnout. A total of 9 sessions of small group art therapy were delivered from July to September 2019. The researcher's works, verbatim records of each art therapy session, the researcher's journals, and supervision data were used as the research data.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By apply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themes which can reveal and capture the lives of participants adequately within the overall contexts of their live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and the details of the experiences were reconstructe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stories of participants' experiences of small group art therapy yielded seven themes: 'dreaming of becoming a childcare teacher', 'a day like a war', 'I am not a nanny but an expert', 'me as a working mom exhausted from housework and child-rearing', 'my persona', 'things that give me strength and courage' and 'returning as a childcare teacher I dreamed of.'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derived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time for self-understanding and self-acceptance', 'discovering one's identity as a childcare teacher', 'finding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with colleagues', and 'experiencing growth through art therapy.'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led the participants to discover their identity as childcare teachers by gaining a true understanding of and accepting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small group art therapy, and helped them to take a step forward and grow professionally as childcare teachers by getting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with their colleagu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childcare teachers who experienced burnout by exploring what they experience in the field of child care and what their life is like through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colleag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childcare teachers who experienced burnout by exploring what they experience in the field of child care and what their life is like through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colleagues.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help participants reconstruct their lives and have a true understanding of themselves through the process of art therap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ree childcare teachers who experienced burnout. A total of 9 sessions of small group art therapy were delivered from July to September 2019. The researcher's works, verbatim records of each art therapy session, the researcher's journals, and supervision data were used as the research data.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By apply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themes which can reveal and capture the lives of participants adequately within the overall contexts of their live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and the details of the experiences were reconstructe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stories of participants' experiences of small group art therapy yielded seven themes: 'dreaming of becoming a childcare teacher', 'a day like a war', 'I am not a nanny but an expert', 'me as a working mom exhausted from housework and child-rearing', 'my persona', 'things that give me strength and courage' and 'returning as a childcare teacher I dreamed of.'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derived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time for self-understanding and self-acceptance', 'discovering one's identity as a childcare teacher', 'finding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with colleagues', and 'experiencing growth through art therapy.'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led the participants to discover their identity as childcare teachers by gaining a true understanding of and accepting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small group art therapy, and helped them to take a step forward and grow professionally as childcare teachers by getting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with their colleagu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소진을 경험한 보육교사가 보육현장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 또 그들의 관계 속에서 그들의 삶은 어떠한지를 알아봄으로써 그들이 살아내고 있는 삶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하여 참여자들이 자신의 삶을 재구성하고 진정한 자기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소진을 경험한 보육교사 세 명이다. 2019년 7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총 9회기의 소집단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작품, 미술치료 회기 녹취록, 연구자의 저널, 슈퍼비전 자료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 참여자 삶의 전체 맥락 안에서 삶을 잘 드러내어 줄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분류하였고, 그 경험의 세부적인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소집단 미술치료 경험 이야기는 <보육교사를 꿈꾸다>, <전쟁 같은 하루>, <보모가 아니라 전문가입니다.>, <가사와 육아로 지친 나는 워킹 맘>, <나의 페르소나>, <나에게 힘이 되는 것들>, <꿈꾸던 보육교사로 돌아오기>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자기 이해와 수용의 시간>, <보육교사로서 정체성을 찾아감>, <동료와 소통의 기회를 찾음>, <미술치료로 성장하다>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는 소집단 미술치료 과정 속에서 자신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수용하여 보육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갈 수 있었으며, 동료와 소통의 기회를 찾음으로써 한 걸음 더 성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소진을 경험한 보육교사가 보육현장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 또 그들의 관계 속에서 그들의 삶은 어떠한지를 알아봄으로써 그들이 살아내고 있는 삶을 이해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소진을 경험한 보육교사가 보육현장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 또 그들의 관계 속에서 그들의 삶은 어떠한지를 알아봄으로써 그들이 살아내고 있는 삶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하여 참여자들이 자신의 삶을 재구성하고 진정한 자기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소진을 경험한 보육교사 세 명이다. 2019년 7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총 9회기의 소집단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작품, 미술치료 회기 녹취록, 연구자의 저널, 슈퍼비전 자료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 참여자 삶의 전체 맥락 안에서 삶을 잘 드러내어 줄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분류하였고, 그 경험의 세부적인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소집단 미술치료 경험 이야기는 <보육교사를 꿈꾸다>, <전쟁 같은 하루>, <보모가 아니라 전문가입니다.>, <가사와 육아로 지친 나는 워킹 맘>, <나의 페르소나>, <나에게 힘이 되는 것들>, <꿈꾸던 보육교사로 돌아오기>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자기 이해와 수용의 시간>, <보육교사로서 정체성을 찾아감>, <동료와 소통의 기회를 찾음>, <미술치료로 성장하다>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연구 참여자는 소집단 미술치료 과정 속에서 자신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수용하여 보육교사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갈 수 있었으며, 동료와 소통의 기회를 찾음으로써 한 걸음 더 성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자의 내러티브 1
      •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5
      • 3. 연구 문제 11
      • Ⅱ. 이론적 배경 12
      • Ⅰ. 서 론 1
      • 1. 연구자의 내러티브 1
      •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5
      • 3. 연구 문제 11
      • Ⅱ. 이론적 배경 12
      • 1. 돕는 이로서의 ‘보육교사’ 12
      • 2.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소진’ 14
      • 3. 집단미술치료 19
      • Ⅲ. 연구방법 25
      • 1. 내러티브 탐구 25
      • 2.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 27
      • 3. 연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38
      • 4. 연구의 윤리적 고려 40
      • Ⅳ. 소진을 경험한 보육교사의 소집단미술치료 경험이야기 41
      • 1. 보육교사를 꿈꾸다 41
      • 2. 전쟁 같은 하루 45
      • 3. 보모가 아니라 전문가입니다. 55
      • 4. 가사와 육아로 지친 나는 워킹 맘 61
      • 5. 나의 페르소나 66
      • 6. 나에게 힘이 되는 것들 71
      • 7. 꿈꾸던 보육교사로 돌아오기 76
      • Ⅴ. 소진을 경험한 보육교사의 소집단미술치료 경험의 의미 79
      • 1. 자기 이해와 수용의 시간 79
      • 2. 보육교사로서 정체성을 찾아감 82
      • 3. 동료와 소통의 기회를 찾음 84
      • 4. 미술치료로 성장하다. 86
      • Ⅵ. 이야기를 마치며 91
      • 참 고 문 헌 95
      • 영 문 초 록 103
      • 부 록 1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