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4년제 대졸자의 대학원 진학 결정요인 분석 = Identifying the Determinant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Graduates’ Entrance To Graduate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216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 factors that impacted on university graduates’ entrance to graduate schools, using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of KEIS. We analyzed 2,015 graduates who moved to three typ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 factors that impacted on university graduates’ entrance to graduate schools, using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of KEIS. We analyzed 2,015 graduates who moved to three types of graduate schools, which means general graduate school, special graduate school, and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by demographic and family characteristics,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degree and educational years of parents in highly income family were more likely to enter graduate schools. Second, by university characteristics, students who gradu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majored in science and technology, received the scholarships were more likely to enter graduate schools. Third, depending on the types of graduate school, gender, income, age, and major series have impacted the entrance of students and what types of graduate school they ente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 졸업생의 대학원 진학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한국고용정보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패널자료에서 파악된 2,015명의 대...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 졸업생의 대학원 진학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한국고용정보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패널자료에서 파악된 2,015명의 대학원 진학자들이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이, 가구소득, 부모의 교육연수 등 개인 및 가족변인에 따라 대학원 진학여부에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모의 교육연수가 많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대학원에 진학할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기타 지역에 비하여 대학소재지가 서울일수록 대학원 진학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공학계열 및 자연계열 전공생일수록, 전공 교수진의 능력 및 열의에 만족할수록 대학원 진학을 선택하는 비율이 높았다. 셋째, 대학원 유형별(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전문대학원) 진학자들의 개인 및 가족, 출신대학 특성 등이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일반대학원진학자의 경우 특수대학원이나 전문대학원에 비해 공학, 자연계열 전공자들이 비슷한 전공을 따라 동일대학으로 진학할 가능성이 높았고, 특수대학원의 경우 타 대학원 비해 다소 연령이 높고, 직장에 재직 중인 시간제 학생일 가능성이 높았으며, 전문대학원의 경우 가구소득과 부모의 높은 교육연수 등 가족관계 변인에 영향을 받는 가능성이 높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순희, "한국의 인적자본투자 성과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11

      2 이석열, "특수대학원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4 (34): 373-397, 2007

      3 김태형, "출신대학 특성이 대학원 진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4 채창균, "청년패널 종합분석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2007

      5 삼성경제연구소, "청년고용 확대를 위한 대학교육 혁신방안" SERI 2010

      6 임수민, "직장인의 특수대학원 학습참여가 생활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7 김형만, "전문대학․대학 졸업생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2

      8 진미석, "석사학위자들의 진로경로와 학위 효용가치인식을 통해 본 일반대학원 석사교육의 기능" 한국교육학회 44 (44): 135-159, 2006

      9 서울대, "대학생활 의견조사"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 2010

      10 박주헌, "대졸 여성인력의 취업 및 진학 요인 분석" 2 : 33-58, 1997

      1 강순희, "한국의 인적자본투자 성과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11

      2 이석열, "특수대학원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34 (34): 373-397, 2007

      3 김태형, "출신대학 특성이 대학원 진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4 채창균, "청년패널 종합분석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2007

      5 삼성경제연구소, "청년고용 확대를 위한 대학교육 혁신방안" SERI 2010

      6 임수민, "직장인의 특수대학원 학습참여가 생활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7 김형만, "전문대학․대학 졸업생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2

      8 진미석, "석사학위자들의 진로경로와 학위 효용가치인식을 통해 본 일반대학원 석사교육의 기능" 한국교육학회 44 (44): 135-159, 2006

      9 서울대, "대학생활 의견조사"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 2010

      10 박주헌, "대졸 여성인력의 취업 및 진학 요인 분석" 2 : 33-58, 1997

      1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2010

      12 김기헌, "교육정책이 사회계층간 교육격차에 미치는 영향" 2007

      13 김기헌, "가족 배경이 교육단계별 진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회 38 (38): 109-142, 2004

      14 Bedard, K, "Who goes to graduate/professional school? The importance of economic fluctuations, undergraduate field, and ability" 27 : 197-210, 2008

      15 Mullen, A. L, "Who goes to Graduate School? Social and academic correlates of educational continuation after college" 76 : 143-169, 2003

      16 Perna,L.W, "Understanding the decision to enroll in graduate school: Sex and racial/ethnic group differences" 75 (75): 487-527, 2004

      17 Reimer, D, "The impact of social origin on the transition to tertiary education in West Germany 1983 and 1999" University of Mannheim 2005

      18 Millett,C.M, "How undergraduate loan debt affects application and enrollment in graduate or first professional school" 74 (74): 386-427, 2003

      19 Weiler,W.C, "Expectations, undergraduate debt and the decision to attend graduate school: simultaneous model of student choice" 13 (13): 29-41, 1994

      20 Stolzenberg,R.M, "Educational Continuation by College Graduates" 99 : 1042-1077, 1994

      21 Montgomery,M, "A nested logit model of the choice of a graduate business school" 21 (21): 471-480, 2002

      22 오창환, "4년제 대학 졸업예정자의 대학원 진학 선택 결정요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1 (41): 199-218, 2009

      23 송창용, "2009년 미래의 직업세계 인프라구축: 박사패널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24 진미석, "2006년 미래의 직업세계: 대학원 석․박사 재학생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 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1.38 1.21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