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에 나타난 이중구속의 애도작업으로서 시 쓰기 = Writing Poetry as Mourning Work of Double Bind Appeared in Movies - Focused on Different Aspect in 〈Poetry〉 and 〈Eternity and a D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864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akes notice of process practising mourning work as double bind through ‘writing poetry’ aimed at 〈Poetry〉 and 〈Eternity and a Day〉. By way of Derrida's viewpoint, the protagonists in these two movies are getting over the pain gained between continuing mourning request and incomplete mourning work by ‘writing poetry’ work. Their ‘writing poetry’ has similar meaning by intending ethicㆍesthetic mourning, but shows distinction inform of concrete mourning.
      For example, in 〈Poetry〉 Mija's ‘writing poetry’ can be called by resistance of ‘introjection’ noted as reasonable form of mourning. It is due to implicit character in the form of 'introjection' that being asked by community. Eventually ‘song of Agnes’ written by Mija causes resonances the courtesy which survived ones must keep for the dead middle-school girl. Trying to complete the mourning work of double bind, Mija's agony has concluded as ‘song of Agnes’.
      Meanwhile in 〈Eternity and a Day〉 Alexander's ‘writing poetry’ is the mourning work primary about deceased wife and ‘house by the sea’ to be torn down, on the other hand about limited left life of himself. Reaching to the movie's end, Alexander discovers his othernized portrait through three poetic terms and internalizes sympathy and hospitality about strangers including himself. To obstinately classify the aspects of mourning work, Alexander's mourning work has a form of ‘incorporation’ preserving the lost object inside of himself as it is. Ultimately, the spectator watches Alexander getting over the mourning work of double bind as a form of ‘incorporation’ and proceeds to welcome his life lived as an foreigner.
      〈Poetry〉 and 〈Eternity and a Day〉 are able to have a high regard of metatext seriously reflecting the matter of ‘art-doing’ manifesting protagonist's mourning work to the form of ‘writing poetry’. If living a life reflecting the form and process of mourning is needed anytime, 〈Poetry〉 and 〈Eternity and a Day〉 will be needed to be more examined.
      번역하기

      This study takes notice of process practising mourning work as double bind through ‘writing poetry’ aimed at 〈Poetry〉 and 〈Eternity and a Day〉. By way of Derrida's viewpoint, the protagonists in these two movies are getting over the pain g...

      This study takes notice of process practising mourning work as double bind through ‘writing poetry’ aimed at 〈Poetry〉 and 〈Eternity and a Day〉. By way of Derrida's viewpoint, the protagonists in these two movies are getting over the pain gained between continuing mourning request and incomplete mourning work by ‘writing poetry’ work. Their ‘writing poetry’ has similar meaning by intending ethicㆍesthetic mourning, but shows distinction inform of concrete mourning.
      For example, in 〈Poetry〉 Mija's ‘writing poetry’ can be called by resistance of ‘introjection’ noted as reasonable form of mourning. It is due to implicit character in the form of 'introjection' that being asked by community. Eventually ‘song of Agnes’ written by Mija causes resonances the courtesy which survived ones must keep for the dead middle-school girl. Trying to complete the mourning work of double bind, Mija's agony has concluded as ‘song of Agnes’.
      Meanwhile in 〈Eternity and a Day〉 Alexander's ‘writing poetry’ is the mourning work primary about deceased wife and ‘house by the sea’ to be torn down, on the other hand about limited left life of himself. Reaching to the movie's end, Alexander discovers his othernized portrait through three poetic terms and internalizes sympathy and hospitality about strangers including himself. To obstinately classify the aspects of mourning work, Alexander's mourning work has a form of ‘incorporation’ preserving the lost object inside of himself as it is. Ultimately, the spectator watches Alexander getting over the mourning work of double bind as a form of ‘incorporation’ and proceeds to welcome his life lived as an foreigner.
      〈Poetry〉 and 〈Eternity and a Day〉 are able to have a high regard of metatext seriously reflecting the matter of ‘art-doing’ manifesting protagonist's mourning work to the form of ‘writing poetry’. If living a life reflecting the form and process of mourning is needed anytime, 〈Poetry〉 and 〈Eternity and a Day〉 will be needed to be more examin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시〉와 〈영원과 하루〉를 대상으로 이중구속으로서 애도작업이 ‘시 쓰기’를 통해 실천되는 과정에 주목한다. 데리다의 관점을 경유하면, 두 영화 속 주인공들은 지속되는 애도요청과 불완전한 애도작업 사이에서 얻어지는 고통을 ‘시 쓰기’ 작업으로 극복해 간다. 그들의 ‘시 쓰기’는 윤리적ㆍ미학적 애도를 의도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의미를 지니지만, 구체적인 애도의 형식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이를테면, 〈시〉에서 미자의 ‘시 쓰기’는 합리적인 애도 형식이라고 알려진 ‘입사’에의 저항이라고 할 수 있다. 공동체로부터 강요받는 ‘입사’의 방식이 비윤리적인 성격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미자가 쓴 ‘아네스의 노래’는 죽은 여중생을 향해 살아남은 자가 지녀야 할 예의를 공명시킨다. 이중구속의 애도작업을 홀로 완결하려 했던 미자의 고뇌가 ‘아네스의 노래’로 귀결된 것이다.
      한편 〈영원과 하루〉에서 알렉산더의 ‘시 쓰기’는 일차적으로 죽은 아내와 허물어질 ‘바닷가의 집’에 대한 애도작업이면서 한편으로는 얼마 남지 않은 자기 생에 대한 애도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영화 말미에 이르면, 알렉산더는 세 개의 시어를 통해 타자화된 자신의 초상을 발견하고 자신을 포함한 이방인들에 대한 연민과 환대를 내면화한다. 애도작업의 양상을 굳이 구분하면, 알렉산더의 애도작업은 상실된 대상을 자기 안에 그대로 보존하는 ‘합체’의 형태를 띤다. 궁극에 가서, 관객은 이중구속의 애도작업을 ‘합체’의 형태로 극복해 가는 알렉산더를 바라보면서 이방인으로 살아 온 그의 삶을 환대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주인공의 애도작업을 ‘시 쓰기’의 형태로 현현한 〈시〉와 〈영원과 하루〉는 ‘예술하기’의 문제를 진지하게 성찰한 메타텍스트 metatext로도 그 가치를 높이 살 수 있을 것이다. 언제든지 애도의 형식과 절차를 성찰해야 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면, 〈시〉와 〈영원과 하루〉는 좀 더 검토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시〉와 〈영원과 하루〉를 대상으로 이중구속으로서 애도작업이 ‘시 쓰기’를 통해 실천되는 과정에 주목한다. 데리다의 관점을 경유하면, 두 영화 속 주인공들은 지속되는 애도...

      본고는 〈시〉와 〈영원과 하루〉를 대상으로 이중구속으로서 애도작업이 ‘시 쓰기’를 통해 실천되는 과정에 주목한다. 데리다의 관점을 경유하면, 두 영화 속 주인공들은 지속되는 애도요청과 불완전한 애도작업 사이에서 얻어지는 고통을 ‘시 쓰기’ 작업으로 극복해 간다. 그들의 ‘시 쓰기’는 윤리적ㆍ미학적 애도를 의도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의미를 지니지만, 구체적인 애도의 형식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이를테면, 〈시〉에서 미자의 ‘시 쓰기’는 합리적인 애도 형식이라고 알려진 ‘입사’에의 저항이라고 할 수 있다. 공동체로부터 강요받는 ‘입사’의 방식이 비윤리적인 성격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미자가 쓴 ‘아네스의 노래’는 죽은 여중생을 향해 살아남은 자가 지녀야 할 예의를 공명시킨다. 이중구속의 애도작업을 홀로 완결하려 했던 미자의 고뇌가 ‘아네스의 노래’로 귀결된 것이다.
      한편 〈영원과 하루〉에서 알렉산더의 ‘시 쓰기’는 일차적으로 죽은 아내와 허물어질 ‘바닷가의 집’에 대한 애도작업이면서 한편으로는 얼마 남지 않은 자기 생에 대한 애도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영화 말미에 이르면, 알렉산더는 세 개의 시어를 통해 타자화된 자신의 초상을 발견하고 자신을 포함한 이방인들에 대한 연민과 환대를 내면화한다. 애도작업의 양상을 굳이 구분하면, 알렉산더의 애도작업은 상실된 대상을 자기 안에 그대로 보존하는 ‘합체’의 형태를 띤다. 궁극에 가서, 관객은 이중구속의 애도작업을 ‘합체’의 형태로 극복해 가는 알렉산더를 바라보면서 이방인으로 살아 온 그의 삶을 환대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주인공의 애도작업을 ‘시 쓰기’의 형태로 현현한 〈시〉와 〈영원과 하루〉는 ‘예술하기’의 문제를 진지하게 성찰한 메타텍스트 metatext로도 그 가치를 높이 살 수 있을 것이다. 언제든지 애도의 형식과 절차를 성찰해야 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면, 〈시〉와 〈영원과 하루〉는 좀 더 검토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프로이트의 ‘애도’에 관한 데리다의 해체적 입장
      • Ⅲ. 이중구속의 상황과 시 쓰기의 다른 의미
      • Ⅳ. 결론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프로이트의 ‘애도’에 관한 데리다의 해체적 입장
      • Ⅲ. 이중구속의 상황과 시 쓰기의 다른 의미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