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발명영재의 발명 아이디어 창출 과정: 육색모 사고법을 적용한 사례 연구 = The Process of Inventive Idea Creation of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Case Study on the Six Thinking Ha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548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cess of inventive idea creation of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erform six thinking hats method. The context analysis method was carried out in invention problem solving process, interview, and observation diary.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lored the invention theme and found the problem in the first round of the invention problem solving process. Especially the black hat’s activity that focus on finding the problems of slippers was carried out. From the second round to the sixth round green hat’s activity that creating new idea to solve invention problem and assessing the idea based o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ith the white, red, yellow,and black hat.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d well on the yellow and green hat’s role,but had difficulties in performing white and red hat’s role of six thinking hats method. The educational treatment was required to help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erform the blue hat’s activity dynamically and freely in the whole process of the inven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cess of inventive idea creation of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erform six thinking hats method. The context analysis method was carried out in invention problem solving process,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cess of inventive idea creation of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erform six thinking hats method. The context analysis method was carried out in invention problem solving process, interview, and observation diary.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lored the invention theme and found the problem in the first round of the invention problem solving process. Especially the black hat’s activity that focus on finding the problems of slippers was carried out. From the second round to the sixth round green hat’s activity that creating new idea to solve invention problem and assessing the idea based o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ith the white, red, yellow,and black hat.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d well on the yellow and green hat’s role,but had difficulties in performing white and red hat’s role of six thinking hats method. The educational treatment was required to help inventive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erform the blue hat’s activity dynamically and freely in the whole process of the inven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발명영재들이 육색모 사고법을 통해 발명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내용 분석법에 의하여 수행되었으며, 육색모 사고법을 적용한 발명 아이디어 창출 과정, 인터뷰 과정 및 활동 과정을 관찰하며 기록한 연구자의관찰 일지 내용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1라운드에서 발명영재들은 발명 주제를 탐색하고 문제를 찾는 활동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육색모 사고법의 검정색 모자를 쓰고 실내화의 문제점을 찾아 제시하는 활동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 2라운드부터 6라운드까지는 초록색 모자를 쓰고 발명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활동과 하얀색, 빨간색, 노란색, 검정색 모자의 순서대로 객관적, 직관적 판단 및 장점과 단점을 바탕으로 제시된아이디어에 대한 평가를 하는 활동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
      발명영재들은 하얀색 모자와 빨간색 모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나, 노란색과검정색 및 초록색 사고 유형은 익숙하게 잘 수행하였다. 육색모 사고법의 노란색과 검정색 사고유형은 제시된 아이디어에 대한 장점과 단점을 제시하여 아이디어를 평가하는 기능으로 작용한것으로 볼 수 있으며, 초록색 모자 사고 유형은 발명영재 교육에서 강조하는 창의적 사고력 증진과 긴밀한 관계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발명영재들이 발명의 전 과정에서 파란색 모자의 역할을보다 자유롭고 역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적 처치가 요구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발명영재들이 육색모 사고법을 통해 발명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내용 분석법에 의하여 수행되었으며, 육색모 ...

      이 연구는 발명영재들이 육색모 사고법을 통해 발명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내용 분석법에 의하여 수행되었으며, 육색모 사고법을 적용한 발명 아이디어 창출 과정, 인터뷰 과정 및 활동 과정을 관찰하며 기록한 연구자의관찰 일지 내용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1라운드에서 발명영재들은 발명 주제를 탐색하고 문제를 찾는 활동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육색모 사고법의 검정색 모자를 쓰고 실내화의 문제점을 찾아 제시하는 활동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 2라운드부터 6라운드까지는 초록색 모자를 쓰고 발명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활동과 하얀색, 빨간색, 노란색, 검정색 모자의 순서대로 객관적, 직관적 판단 및 장점과 단점을 바탕으로 제시된아이디어에 대한 평가를 하는 활동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
      발명영재들은 하얀색 모자와 빨간색 모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나, 노란색과검정색 및 초록색 사고 유형은 익숙하게 잘 수행하였다. 육색모 사고법의 노란색과 검정색 사고유형은 제시된 아이디어에 대한 장점과 단점을 제시하여 아이디어를 평가하는 기능으로 작용한것으로 볼 수 있으며, 초록색 모자 사고 유형은 발명영재 교육에서 강조하는 창의적 사고력 증진과 긴밀한 관계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발명영재들이 발명의 전 과정에서 파란색 모자의 역할을보다 자유롭고 역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적 처치가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대영, "초등 발명영재의 협력적 지식창출 기제"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45-63, 2012

      2 특허청, "지식재산백서" 특허청 2011

      3 박주영, "여섯 색깔 사고 모자 기법의 이론과 적용"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정대서, "여섯 색깔 모자" 한언 2001

      5 김용익, "발명설계 프로세서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특허청ㆍ한국발명진흥회 2010

      6 de Bono, E., "Teaching thinking" Penguin Books 1987

      7 de Bono, E., "Six thinking hats" Penguin Book 1985

      8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1 문대영, "초등 발명영재의 협력적 지식창출 기제" 한국실과교육학회 25 (25): 45-63, 2012

      2 특허청, "지식재산백서" 특허청 2011

      3 박주영, "여섯 색깔 사고 모자 기법의 이론과 적용"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정대서, "여섯 색깔 모자" 한언 2001

      5 김용익, "발명설계 프로세서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특허청ㆍ한국발명진흥회 2010

      6 de Bono, E., "Teaching thinking" Penguin Books 1987

      7 de Bono, E., "Six thinking hats" Penguin Book 1985

      8 Vygotsky, L. 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7 1.367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