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실과 교과 ‘로봇의 이해’ 단원을 위한 체험 로봇 형태 연구 = A Research of the Appropriate Robot Type for the Unit of 'Understanding the Robot' at Practical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of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548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to choose the appropriate type of robot that can effectively lead to the student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unit, 'Understanding the Robot' at Practical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of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Robots were divided into 6 levels considering the features of assembling and operation of robots and extent of the students' understandings.
      The representative samples from each levels were selected and then the students in the educational university and the current teachers who were likely to coach students the unit 'Understanding the Robot' in the future had assembled and operated those selected robots by themselve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ose teachers and students who actually made robots for the understanding of operating the robots.
      As a result, the very proper type of robot for the unit 'Understanding the Robot' was the one that has frame, axis, wheels, and blocks that ar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allows constructing the body by one's own will with the one's creativity,and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operation of robots and the function of sensors with the situation that robot perceived by the sensors equipped to sense sound, light, ultrasound, infrared rays, touch, and temperature.
      Also the Appropriate operating program to control the robot was the GUI that utilizes graphics.
      번역하기

      This research was to choose the appropriate type of robot that can effectively lead to the student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unit, 'Understanding the Robot' at Practical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of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This research was to choose the appropriate type of robot that can effectively lead to the student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unit, 'Understanding the Robot' at Practical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of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Robots were divided into 6 levels considering the features of assembling and operation of robots and extent of the students' understandings.
      The representative samples from each levels were selected and then the students in the educational university and the current teachers who were likely to coach students the unit 'Understanding the Robot' in the future had assembled and operated those selected robots by themselve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ose teachers and students who actually made robots for the understanding of operating the robots.
      As a result, the very proper type of robot for the unit 'Understanding the Robot' was the one that has frame, axis, wheels, and blocks that ar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allows constructing the body by one's own will with the one's creativity,and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operation of robots and the function of sensors with the situation that robot perceived by the sensors equipped to sense sound, light, ultrasound, infrared rays, touch, and temperature.
      Also the Appropriate operating program to control the robot was the GUI that utilizes graph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로봇의 간단한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여러 가지 센서를 장착한 간단한 로봇을 체험할 수 있다.’라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실과 ‘로봇의 이해’소단원의 성취 기준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적절한 로봇의 형태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 국내에서 판매하고 있는 로봇 중 ‘로봇의 이해’ 소단원에 적용 가능한 형태의로봇을 판매 업체 별로 로봇의 종류 및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로봇의 조립과 작동 특성, 학생들의 발달 수준과 이해정도 등을 고려하여 로봇을 6단계의 수준으로 나누었다. 6단계의 로봇 중 가장 낮은 단계와 최고 높은 단계를 제외하고, 중간의 4단계 로봇 형태에서각 수준별로 대표적인 한 종류의 로봇을 선정하고, ‘로봇의 이해’ 소단원을 지도할 가능성이 있는현재의 교사와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선정된 로봇을 실제로 조립하여 작동시켜 보게 하였다. 이후 이들을 대상으로 로봇의 작동 원리 이해, 부품의 형태와 특성, 조립 특성, 센서의 기능 이해, 로봇 작동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형태와 프로그래밍, 로봇의 활용 분야,미래 로봇의 하는 일과 형태 예측, 로봇 관련 직업의 이해 등에 대한 견해를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실과 6학년 ‘로봇의 이해’ 소단원을 위한 로봇의 형태로 기본단계를 위한 로봇은 블록, 프레임, 축, 바퀴와 같은 부품을 끼워 맞춤 방식으로 손쉽게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면서 자신의 창의적 고안에 따라 몸체를 구성할 수 있고, 여기에 소리, 빛, 초음파, 적외선, 접촉, 온도 등의 센서를 장착하여 이 센서들이 감지한 상황에 따라 프로그램 없이 내장 프로그램으로 작동되는 메인보드를 가진 로봇의 작동 결과를 보면서 로봇의 작동 원리와 센서의 기능을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로봇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화 단계를 위한 로봇은 기초단계의 로봇에 더하여 로봇의 작동을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아이콘으로 되어 있는 GUI방식으로 간단하게 프로그램하여 제어할 수 있는 형태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로봇의 간단한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여러 가지 센서를 장착한 간단한 로봇을 체험할 수 있다.’라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실과 ‘로봇의 이...

      이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로봇의 간단한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여러 가지 센서를 장착한 간단한 로봇을 체험할 수 있다.’라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실과 ‘로봇의 이해’소단원의 성취 기준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적절한 로봇의 형태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 국내에서 판매하고 있는 로봇 중 ‘로봇의 이해’ 소단원에 적용 가능한 형태의로봇을 판매 업체 별로 로봇의 종류 및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로봇의 조립과 작동 특성, 학생들의 발달 수준과 이해정도 등을 고려하여 로봇을 6단계의 수준으로 나누었다. 6단계의 로봇 중 가장 낮은 단계와 최고 높은 단계를 제외하고, 중간의 4단계 로봇 형태에서각 수준별로 대표적인 한 종류의 로봇을 선정하고, ‘로봇의 이해’ 소단원을 지도할 가능성이 있는현재의 교사와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선정된 로봇을 실제로 조립하여 작동시켜 보게 하였다. 이후 이들을 대상으로 로봇의 작동 원리 이해, 부품의 형태와 특성, 조립 특성, 센서의 기능 이해, 로봇 작동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형태와 프로그래밍, 로봇의 활용 분야,미래 로봇의 하는 일과 형태 예측, 로봇 관련 직업의 이해 등에 대한 견해를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실과 6학년 ‘로봇의 이해’ 소단원을 위한 로봇의 형태로 기본단계를 위한 로봇은 블록, 프레임, 축, 바퀴와 같은 부품을 끼워 맞춤 방식으로 손쉽게 조립과 분해가 가능하면서 자신의 창의적 고안에 따라 몸체를 구성할 수 있고, 여기에 소리, 빛, 초음파, 적외선, 접촉, 온도 등의 센서를 장착하여 이 센서들이 감지한 상황에 따라 프로그램 없이 내장 프로그램으로 작동되는 메인보드를 가진 로봇의 작동 결과를 보면서 로봇의 작동 원리와 센서의 기능을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로봇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화 단계를 위한 로봇은 기초단계의 로봇에 더하여 로봇의 작동을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가 아이콘으로 되어 있는 GUI방식으로 간단하게 프로그램하여 제어할 수 있는 형태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계선, "프로젝트 기반의 로봇제어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의 설계 : 초등학교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 강종표, "초등학교에서의 로봇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97-113, 2003

      3 송의성, "초등학교에서 컴퓨터와 로봇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25 : 143-162, 2010

      4 이태준,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로봇교실 운영실태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권갑순, "초등학교 로봇교육을 위한 로봇 하드웨어 구성 및 인터페이스의 제안" 인천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6 박광렬, "초등학교 로봇 교육 및 교구의 현황과 발전 방향의 고찰"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323-343, 2011

      7 김미량, "초등학교 교사의 로봇활용교육프로그램 수용의도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427-449, 2009

      8 김신엽, "초등 정보영재를 위한 로봇프로그래밍 교육과정 개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9 김미량, "창의성 증진을 위한 로봇활용 교육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10 박광렬, "손놀림과 논리 사고력 학습이 포함된 초등학교 로봇 교육 도구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15-27, 2005

      1 이계선, "프로젝트 기반의 로봇제어 프로그래밍 교육과정의 설계 : 초등학교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 강종표, "초등학교에서의 로봇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97-113, 2003

      3 송의성, "초등학교에서 컴퓨터와 로봇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25 : 143-162, 2010

      4 이태준,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로봇교실 운영실태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권갑순, "초등학교 로봇교육을 위한 로봇 하드웨어 구성 및 인터페이스의 제안" 인천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6 박광렬, "초등학교 로봇 교육 및 교구의 현황과 발전 방향의 고찰" 한국실과교육학회 24 (24): 323-343, 2011

      7 김미량, "초등학교 교사의 로봇활용교육프로그램 수용의도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427-449, 2009

      8 김신엽, "초등 정보영재를 위한 로봇프로그래밍 교육과정 개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9 김미량, "창의성 증진을 위한 로봇활용 교육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10 박광렬, "손놀림과 논리 사고력 학습이 포함된 초등학교 로봇 교육 도구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18 (18): 15-27, 2005

      11 최유현, "로봇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75-90, 2003

      12 이영준, "로봇의 교육적 활용 방안 및 적정 기능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13 "http://www.robotsrc.com"

      14 "http://www.robotis.co.kr"

      15 "http://www.roborobo.co.kr"

      16 "http://www.roboplex.co.kr"

      17 "http://www.robolab.net"

      18 "http://www.robokit.co.kr"

      19 "http://www.robobuilder.net"

      20 "http://www.roboblock.co.kr"

      21 "http://www.mirobot.co.kr"

      22 "http://www.marorobot.com"

      23 "http://www.kaimax.co.kr"

      24 "http://www.ezlab.com"

      25 "http://www.cesrobotics.co.kr"

      26 "http://mindstorms.lego.com"

      27 교과부, "2009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7 1.367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