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초등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의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내용 요소 및 유형, 현재 운영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초등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의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내용 요소 및 유형, 현재 운영되...
본 연구는 초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초등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의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내용 요소 및 유형, 현재 운영되고 있는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나타난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내용 요소 및 유형을 분석한 결과, 1, 2학년의 통합교과에서는 주로 식문화 체험 및 식재료 체험 관련 내용이 나타났고, 3학년에서는 실험실습 체험 및 식품안전 체험 관련 내용이 과학, 체육 교과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4학년에서는 식생활환경 체험 관련 내용으로까지 확대되어지고 있다. 5학년에서는 실험실습 체험 관련 내용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6학년에서는 식재료 체험을 제외한 나머지 현장체험학습 유형 관련 내용 요소들이 골고루 나타나고 있다.
둘째, 현재 운영되고 있는 식생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은 주로 박물관, 농어촌체험공간 등에서 식문화 체험 및 실험실습 체험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현장체험학습 장소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부실하고 다양하지 못하므로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actual overall condition of dietary life field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link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contents, elements, and types of dietary life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el...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actual overall condition of dietary life field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link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contents, elements, and types of dietary life field experienc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is, the types of dietary life field experience learning being currently operated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grams were also analyzed.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are that the combined curriculum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mainly dealt with the experience of food culture and the investigation and experience of food ingredients, the curriculum for third graders dealt with experiment practice and food safety experience in the subjects of science and physical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for fourth graders expanded into dietary life environment experience. The curriculum for fifth graders most dealt with experiment practice, and the curriculum for sixth graders equally dealt with the contents and elements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other than the investigation and experience of food ingredients.
Second, dietary life field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being currently operated are mostly executed centered on food culture experience and experiment practice in museums, and farm and fishery experience villages. 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the places and programs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are not sufficient and diversified, and therefore, more detailed and systematic measures are required to be established.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종문, "현장체험학습을 통한 문제해결력 신장 방안" 12 : 53-54, 2002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2
3 "팜스테이마을"
4 이희정, "토요 휴업일을 활용한 조리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 김영희, "초등학생을 위한 녹색식생활 체험교육 프로그램 개발" 35 (35): 111-132, 2015
6 이건남, "초등학생 대상의 체험학습 연구동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5 (15): 229-248, 2009
7 김길례,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 현장 체험학습에 대한 인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3 (13): 149-166, 2007
8 양미경, "체험학습이 의미 및 조건의 탐색과 예시자료개발 : 초·중학생용 모의재판 시나리오 개발을 중심으로" 39 (39): 167-196, 2000
9 김영진, "체험학습의 이론적 탐색에 대한 고찰" 46 (46): 1-17, 2007
10 강영혜, "체험학습의 이론적 기초" 7 (7): 5-18, 1999
1 원종문, "현장체험학습을 통한 문제해결력 신장 방안" 12 : 53-54, 2002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2
3 "팜스테이마을"
4 이희정, "토요 휴업일을 활용한 조리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 김영희, "초등학생을 위한 녹색식생활 체험교육 프로그램 개발" 35 (35): 111-132, 2015
6 이건남, "초등학생 대상의 체험학습 연구동향"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5 (15): 229-248, 2009
7 김길례,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 현장 체험학습에 대한 인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3 (13): 149-166, 2007
8 양미경, "체험학습이 의미 및 조건의 탐색과 예시자료개발 : 초·중학생용 모의재판 시나리오 개발을 중심으로" 39 (39): 167-196, 2000
9 김영진, "체험학습의 이론적 탐색에 대한 고찰" 46 (46): 1-17, 2007
10 강영혜, "체험학습의 이론적 기초" 7 (7): 5-18, 1999
11 농촌진흥청, "체험으로 하는 식생활 교육" 농촌진흥청 2010
12 김유경, "청소년의 농촌체험활동을 통한 식생활교육 현황" 한국생활과학회 22 (22): 231-243, 2013
13 김현주, "창의성 신장을 위한 다양한 체험학습을 활용한 식생활 교육" 16 : 121-163, 2006
14 이명기, "지역사회내의 현장체험학습장 활용 프로그램 개발 연구" 16 : 53-91, 2000
15 이지연, "중학생 대상 체험학습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199-219, 2014
16 "정보화마을"
17 김용익, "실과 체험학습의 의미, 이점, 원리 탐색"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1-26, 2012
18 김형균, "실과 체험 학습의 방향 탐색" 7 (7): 83-104, 2001
19 "식생활교육지원법"
20 이진영, "식생활 체험 프로그램 현장적용 : 대전 찬샘교육농장 적용 사례" 10 : 98-, 2011
21 경기도교육정보원, "산 지식을 익히는 체험학습의 길잡이"
22 박소영, "박물관을 활용한 초등학교 역사 체험학습 프로그램의 현황과 특징 - 사설기관 운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교육학회 16 (16): 69-102, 2012
23 "바른식생활114"
24 이진영, "농촌체험마을의 식생활 체험프로그램 운영 실태 조사" 11 : 112-113, 2010
25 "농촌전통테마마을"
26 김정원, "녹색식생활교육을 위한 교과서 본문사례 개발-국어, 실과, 도덕, 체육-" 서울교육대학교(사)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 2011
27 농림축산식품부, "국가식생활교육기본계획" 농림축산식품부 2015
28 윤철경, "교과외 활동과 체험학습" 7 (7): 19-35, 1999
29 권유진, "가정과 교육에서 지역사회 연계 체험학습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1 (21): 83-98, 2009
30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교육과정"
2015 실과(기술·가정)에서 초등기술교육 내용 구성에 관한 소고
‘교과 속에서 찾은 발명 이야기’ 원격 발명교육 연수 참여 교사의 연수 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 수준 및 교육 요구도 분석
예비초등교사들이 인식한 가정에서의 성역할에 대한 연구: 남녀 인식의 차이검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5-05-15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0.97 | 1.367 | 0.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