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사전 등재 어휘를 통해 본 어휘 構成 分析과 漢字의 造語 능력 조사 = Analysis the compenent ratio in modern Korean words and chinese character's word formation ability with Korean Diction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078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has two section. one is for answer "How organized modern Korean words?". I used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by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alysis their compenent ration. According this result, in the all words in dictionary, a words with using chinese char -acters, from 66.7% to 71.83%. This is higher than a words with oringinal Korean.

      ①origin words②loan words③word by chiense character②③①③①②①②③Total of ③+"②+③" +"②+③"+"①+②+③"All words in dictiona ry27.68%4.47%49.48%2.97%14.84%0.37%0.19%67.48%A commo words in 7dictionary26.51%1.52%52.79%1.16%17.82%0.14%0.06%71.83%Blends25.04%7.89%58.01%1.62%6.83%0.37%0.24%66.70%North Korean words38.23%1.12%36.32%2.54%20.92%0.53%0.33%60.11%

      Epecially, in terminology section, a words with using chinese characters extension to 86.18%. I

      ①origin words②loan words③word by chiense character②③①③①②①②③Total of ③+"②+③"+"②+③"+"①+②+③"terminology in the all words9.89%18.14%57.03%3.73%9.83%0.81%0.58%71.17%terminology in the blends10.41%2.80%65.80%8.11%11.96%0.61%0.31%86.18%

      From this research, we can find chinese charcter is very useful make words in korean language.
      the other part is find character's word formation ability in Korean words. I used f frequency method for answer this question. In the full words, total using 7,402 chines charater, up to 95% usage is 2,477 character. In the blends, total using 5,247 chines charaters, up to 95% usage is 2,568 characters.

      고유어외래어漢字語漢외漢고고외고漢외한자관련어휘전체전체어휘27.68%4.47%49.48%2.97%14.84%0.37%0.19%67.48%7개사전공통26.51%1.52%52.79%1.16%17.82%0.14%0.06%71.83%단일어25.04%7.89%58.01%1.62%6.83%0.37%0.24%66.70%북한어38.23%1.12%36.32%2.54%20.92%0.53%0.33%60.11%

      이러한 한자어의 사용은 전문용어에서도 더욱 두드러져 한자관련 전체 어휘로 보면 86.18%까지 높아짐을 볼 수 있다. 漢字語와 외래어의 결합력은 매우 높아, 이를 통해 한자가 새로운 어휘를 생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 우리말 어휘 중 漢字語가 차지하는 비율은 70%이상이라는 표현은 이제 한자관련어휘가 차지하는 비율이 70% 정도라는 표현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둘째, 한자의 造語力은 외래어나 고유어와 비교해 볼 때 상당히 높으며, 이는 한자가 아직 우리의 어휘 속에서 그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한자어교육과 한자교육이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음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자료이다.
      두번째 과제로 한자의 造語力을 전체어휘와 단일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체 어휘에 사용된 한자는 모두 7402자였으며, 단일어에는 5247개가 사용되었다. 상위95%를 기준으로 할 때, 전체 어휘에서는 2477자, 단일어에서는 2568자가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어휘교육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진다.
      실제 어휘 교육은 모든 교육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교육이며, 이 교육을 통해 교육의 생산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제 소모적이고 비생산적인 한자교육 찬반 논쟁에서 벗어나, 이제는 좀 더 넓은 시야를 가지고, 어휘 교육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증대하는 측면에서 한자어교육과 한자교육을 새롭게 인식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한문교육관련 연구자들이 한자어 교육과 한자교육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주동적으로 참여할 때 정상화된 한자어 교육의 영역과 내용이 구성되어지고, 이는 바로 한문교과의 위상을 재정립하...
      번역하기

      This paper has two section. one is for answer "How organized modern Korean words?". I used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by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alysis their compenent ration. According this result, in the all words in...

      This paper has two section. one is for answer "How organized modern Korean words?". I used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by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alysis their compenent ration. According this result, in the all words in dictionary, a words with using chinese char -acters, from 66.7% to 71.83%. This is higher than a words with oringinal Korean.

      ①origin words②loan words③word by chiense character②③①③①②①②③Total of ③+"②+③" +"②+③"+"①+②+③"All words in dictiona ry27.68%4.47%49.48%2.97%14.84%0.37%0.19%67.48%A commo words in 7dictionary26.51%1.52%52.79%1.16%17.82%0.14%0.06%71.83%Blends25.04%7.89%58.01%1.62%6.83%0.37%0.24%66.70%North Korean words38.23%1.12%36.32%2.54%20.92%0.53%0.33%60.11%

      Epecially, in terminology section, a words with using chinese characters extension to 86.18%. I

      ①origin words②loan words③word by chiense character②③①③①②①②③Total of ③+"②+③"+"②+③"+"①+②+③"terminology in the all words9.89%18.14%57.03%3.73%9.83%0.81%0.58%71.17%terminology in the blends10.41%2.80%65.80%8.11%11.96%0.61%0.31%86.18%

      From this research, we can find chinese charcter is very useful make words in korean language.
      the other part is find character's word formation ability in Korean words. I used f frequency method for answer this question. In the full words, total using 7,402 chines charater, up to 95% usage is 2,477 character. In the blends, total using 5,247 chines charaters, up to 95% usage is 2,568 characters.

      고유어외래어漢字語漢외漢고고외고漢외한자관련어휘전체전체어휘27.68%4.47%49.48%2.97%14.84%0.37%0.19%67.48%7개사전공통26.51%1.52%52.79%1.16%17.82%0.14%0.06%71.83%단일어25.04%7.89%58.01%1.62%6.83%0.37%0.24%66.70%북한어38.23%1.12%36.32%2.54%20.92%0.53%0.33%60.11%

      이러한 한자어의 사용은 전문용어에서도 더욱 두드러져 한자관련 전체 어휘로 보면 86.18%까지 높아짐을 볼 수 있다. 漢字語와 외래어의 결합력은 매우 높아, 이를 통해 한자가 새로운 어휘를 생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 우리말 어휘 중 漢字語가 차지하는 비율은 70%이상이라는 표현은 이제 한자관련어휘가 차지하는 비율이 70% 정도라는 표현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둘째, 한자의 造語力은 외래어나 고유어와 비교해 볼 때 상당히 높으며, 이는 한자가 아직 우리의 어휘 속에서 그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이러한 결과는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한자어교육과 한자교육이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음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자료이다.
      두번째 과제로 한자의 造語力을 전체어휘와 단일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체 어휘에 사용된 한자는 모두 7402자였으며, 단일어에는 5247개가 사용되었다. 상위95%를 기준으로 할 때, 전체 어휘에서는 2477자, 단일어에서는 2568자가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어휘교육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진다.
      실제 어휘 교육은 모든 교육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교육이며, 이 교육을 통해 교육의 생산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이제 소모적이고 비생산적인 한자교육 찬반 논쟁에서 벗어나, 이제는 좀 더 넓은 시야를 가지고, 어휘 교육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증대하는 측면에서 한자어교육과 한자교육을 새롭게 인식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한문교육관련 연구자들이 한자어 교육과 한자교육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주동적으로 참여할 때 정상화된 한자어 교육의 영역과 내용이 구성되어지고, 이는 바로 한문교과의 위상을 재정립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 철, "한문교과교육학 정립을 위한 시론" 성균관대학교 1999

      2 허 철, "한문교과교육에서 한문교육용한자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 동방한문학회 35 : 2008

      3 한영균, "한국어 어휘 교육·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계량적 분석의 한 방향" 한국어문학회 94 (94): 119-146, 2006

      4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시디롬" 두산동아출판사 2003

      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정오표"

      6 민현식, "초등학교 교과서 漢字語 및 한자 분석 연구"

      7 강현화, "어휘력 신장을 위한 기본 한자의 조어력 조사; 한국어 회화 교재에 나타난 한자어를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한국어 학당 (25·26) : 2001

      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집부,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웅진출판사 2001

      9 김흥규, "국어생활의 한자 사용 빈도 연구" 국립국어원 9 (9): 1999

      10 남윤진, "국어사전 표제어의 한자 빈도" 국립국어원 9 (9): 1999

      1 허 철, "한문교과교육학 정립을 위한 시론" 성균관대학교 1999

      2 허 철, "한문교과교육에서 한문교육용한자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 동방한문학회 35 : 2008

      3 한영균, "한국어 어휘 교육·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계량적 분석의 한 방향" 한국어문학회 94 (94): 119-146, 2006

      4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시디롬" 두산동아출판사 2003

      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정오표"

      6 민현식, "초등학교 교과서 漢字語 및 한자 분석 연구"

      7 강현화, "어휘력 신장을 위한 기본 한자의 조어력 조사; 한국어 회화 교재에 나타난 한자어를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한국어 학당 (25·26) : 2001

      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집부,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웅진출판사 2001

      9 김흥규, "국어생활의 한자 사용 빈도 연구" 국립국어원 9 (9): 1999

      10 남윤진, "국어사전 표제어의 한자 빈도" 국립국어원 9 (9): 1999

      11 이응백, "국어 사전 어휘의 유별 구성비로 본 漢字語의 중요도와 교육문제" (25·26) : 1980

      12 "국립국어원"

      13 허 철, "漢文敎科敎育學의 정의와 그 영역 분류" 동방한문학회 32 : 2007

      14 이영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사전>의 한자 빈도 연구" 어문연구학회 35 : 2007

      15 국립국어원, "6개 사전의 기본 데이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