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의 위기조성전략과 한국의 대응방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908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명박 정부의 출범이후 남북관계는 북한의 반발로 거의 단절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북한은 2009년도 1월 오바마 행정부가 들어서자 4월5일 장거리 로켓 발사와 5월25일 2차 핵실험을 강행함으로써 미국을 실험하고 있다. 북한의 위기조성은 한국전쟁 이후 지금까지 계속되어 왔다. 냉전시대에 북한의 위기조성의 목적은 ‘한반도 공산화’라는 궁극적 목표에 치중한 반면, 탈냉전 이후에는 ‘정권안보 및 체제유지’와 경제난 극복 등 당면목표에 비중을 두고, 핵과 미사일을 위기조성의 수단으로 하여 생존전략을 모색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충격요법으로 벼랑끝 전술과 살라미 전술 등을 계속 사용할 것이다. 김정일 3기체제하에서 북한의 위기조성전략의 성격은 오바마 행정부와 새로운 협상과정이며, 종국적으로는 잠재적 핵보유국으로서 지위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 핵과 미사일 주 수단으로 활용하겠지만, 과거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국지 제한적 군사적 도발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북한의 전략에 대해 바람직한 방향은 사안별로 구분하여 ‘강온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것이다.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은 북한의 군사적 도발에 대한 대비태세를 갖추는 것과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되는 사태 방지, 대북정책 개선을 통한 남북교류협력 활성화, 한미공조체제 유지,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주변국과의 외교적 노력 강화 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북한은 유엔안보리의 대북결의 1874호에 따라 적용되는 국제사회의 제재에 맞서 위기조성의 수위를 더욱 높여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한반도의 안보정세의 향방은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미양국은 강온전략을 통해 북한에 대한 제재와 유인책을 병행하면서 위기국면을 대화국면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단지 어떠한 경우라도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되는 사태를 방지하고, 북한의 무력도발에 대한 철저히 대비하는 조치는 한국안보의 사활이다.
      번역하기

      이명박 정부의 출범이후 남북관계는 북한의 반발로 거의 단절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북한은 2009년도 1월 오바마 행정부가 들어서자 4월5일 장거리 로켓 발사와 5월25일 2차 핵실험을 ...

      이명박 정부의 출범이후 남북관계는 북한의 반발로 거의 단절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북한은 2009년도 1월 오바마 행정부가 들어서자 4월5일 장거리 로켓 발사와 5월25일 2차 핵실험을 강행함으로써 미국을 실험하고 있다. 북한의 위기조성은 한국전쟁 이후 지금까지 계속되어 왔다. 냉전시대에 북한의 위기조성의 목적은 ‘한반도 공산화’라는 궁극적 목표에 치중한 반면, 탈냉전 이후에는 ‘정권안보 및 체제유지’와 경제난 극복 등 당면목표에 비중을 두고, 핵과 미사일을 위기조성의 수단으로 하여 생존전략을 모색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충격요법으로 벼랑끝 전술과 살라미 전술 등을 계속 사용할 것이다. 김정일 3기체제하에서 북한의 위기조성전략의 성격은 오바마 행정부와 새로운 협상과정이며, 종국적으로는 잠재적 핵보유국으로서 지위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를 위해서 핵과 미사일 주 수단으로 활용하겠지만, 과거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국지 제한적 군사적 도발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북한의 전략에 대해 바람직한 방향은 사안별로 구분하여 ‘강온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것이다.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은 북한의 군사적 도발에 대한 대비태세를 갖추는 것과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되는 사태 방지, 대북정책 개선을 통한 남북교류협력 활성화, 한미공조체제 유지,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주변국과의 외교적 노력 강화 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북한은 유엔안보리의 대북결의 1874호에 따라 적용되는 국제사회의 제재에 맞서 위기조성의 수위를 더욱 높여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한반도의 안보정세의 향방은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미양국은 강온전략을 통해 북한에 대한 제재와 유인책을 병행하면서 위기국면을 대화국면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단지 어떠한 경우라도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되는 사태를 방지하고, 북한의 무력도발에 대한 철저히 대비하는 조치는 한국안보의 사활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inauguration of Lee Myeong-Bak`s government,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s almost ruptured as North Korea has resisted against the more practical North Korea policies. North Korea launched a long-distance rocket when the government led by Obama was inaugurated in January 2009 to test the United States. Its crisis making has continued since the Korea War. The purpose of such crisis making is aimed at `commun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an ultimate goal in the Cold War whereas it aims at `maintenance of its system` and `overcoming economic crisis` in the Post Cold War period. North Korea is developing strategies for survival using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will continue to use conventional shock treatments such as brinkmanship and salami tactics. North Korea`s crisis making strategy is characterized by negotiations for maintenance of its system and overcoming economic crisis under the System Period 3 of Kim, Jeong-Il and it is promoting its post as having potential nuclear weapons while negotiating on nuclear weapons. For the purpose, it uses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as the main means, but in term of past experiences, it will keep face with local and limited military stimulation. So our desirable direction against North Korea`s strategies is to develop the `strong and mild strategy` according to respective situations. Our directions should focus on: Being prepared against North Korea`s military escalation; Preventing recognition of North Korea as having nuclear weapons; Separation of the issues of nuclear weapons and the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reinforced effort to reopen exchanges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Maintenance of the mutual assistance system between Korea and the U.S.A. and Reinforcement of diplomatic effort with surrounding countries for reopening of the six-party talks. North Korea appears to escalate the level of crisis making against the punishment imposed by international society in accordance with the joint statement of the Security Council. Therefore, it is no exaggeration that the future direction of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depends on the North Korea policy led by the Obama government. Korean and the U.S.A. should try to change this crisis into peace by providing both punishment and incentives for North Korea through the `strong and mild strategy`. However, in any case, the situation that North Korea has nuclear weapons has to be prevented and we should be completely prepared against North Korea`s armed provocation for our security.
      번역하기

      Since the inauguration of Lee Myeong-Bak`s government,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s almost ruptured as North Korea has resisted against the more practical North Korea policies. North Korea launched a long-distance rocket when the ...

      Since the inauguration of Lee Myeong-Bak`s government,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s almost ruptured as North Korea has resisted against the more practical North Korea policies. North Korea launched a long-distance rocket when the government led by Obama was inaugurated in January 2009 to test the United States. Its crisis making has continued since the Korea War. The purpose of such crisis making is aimed at `commun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an ultimate goal in the Cold War whereas it aims at `maintenance of its system` and `overcoming economic crisis` in the Post Cold War period. North Korea is developing strategies for survival using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will continue to use conventional shock treatments such as brinkmanship and salami tactics. North Korea`s crisis making strategy is characterized by negotiations for maintenance of its system and overcoming economic crisis under the System Period 3 of Kim, Jeong-Il and it is promoting its post as having potential nuclear weapons while negotiating on nuclear weapons. For the purpose, it uses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as the main means, but in term of past experiences, it will keep face with local and limited military stimulation. So our desirable direction against North Korea`s strategies is to develop the `strong and mild strategy` according to respective situations. Our directions should focus on: Being prepared against North Korea`s military escalation; Preventing recognition of North Korea as having nuclear weapons; Separation of the issues of nuclear weapons and the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reinforced effort to reopen exchanges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Maintenance of the mutual assistance system between Korea and the U.S.A. and Reinforcement of diplomatic effort with surrounding countries for reopening of the six-party talks. North Korea appears to escalate the level of crisis making against the punishment imposed by international society in accordance with the joint statement of the Security Council. Therefore, it is no exaggeration that the future direction of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depends on the North Korea policy led by the Obama government. Korean and the U.S.A. should try to change this crisis into peace by providing both punishment and incentives for North Korea through the `strong and mild strategy`. However, in any case, the situation that North Korea has nuclear weapons has to be prevented and we should be completely prepared against North Korea`s armed provocation for our secur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봉수, "핵위기와 한반도의 평화-바람직한 미국의 세계전략" 신아출판사 2007

      2 박용욱, "핵무장북한군의 대남위협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대한민국육군협회 2009

      3 김재철, "한반도의 운용적 군비통제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2009

      4 한용섭,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 박영사 2005

      5 한겨례신문, "한겨례신문 4월14일자"

      6 조선일보, "조선일보 2009년 2월28일자"

      7 김재철, "전시 작전통제권의 한국군 환원과 한반도의 평화" 한국동북아학회 11 (11): 161-182, 2006

      8 김태우, "이명박정부의 안보국방 과제" 한국국방연구원 (1186) : 2008

      9 이상현, "오바마 행정부 출범과 한미관계의 현안과 전망" 한국군사학회 (57) : 2009

      10 연합뉴스, "연합뉴스"

      1 이봉수, "핵위기와 한반도의 평화-바람직한 미국의 세계전략" 신아출판사 2007

      2 박용욱, "핵무장북한군의 대남위협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대한민국육군협회 2009

      3 김재철, "한반도의 운용적 군비통제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2009

      4 한용섭,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 박영사 2005

      5 한겨례신문, "한겨례신문 4월14일자"

      6 조선일보, "조선일보 2009년 2월28일자"

      7 김재철, "전시 작전통제권의 한국군 환원과 한반도의 평화" 한국동북아학회 11 (11): 161-182, 2006

      8 김태우, "이명박정부의 안보국방 과제" 한국국방연구원 (1186) : 2008

      9 이상현, "오바마 행정부 출범과 한미관계의 현안과 전망" 한국군사학회 (57) : 2009

      10 연합뉴스, "연합뉴스"

      11 시사조선, "시사조선 2009년 4월2일자"

      12 백승주, "선군정치하 북한군 역할과 위상 변화" 경인문화사 2006

      13 박기덕, "북핵문제와 한반도 평화체제" 세종연구소 2008

      14 온만금, "북한학" 황금알 2006

      15 북한연구소, "북한총람" 광진문화인쇄사 2003

      16 양성철, "북한체제변화와 협상전략" 박영사 1996

      17 이표재, "북한의 핵무기 보유국 주장과 정책적 함의" 합참 (39) : 2009

      18 서재진, "북한의 생존전략과 2.13합의의 의미" 통일연구원 2007

      19 김성걸, "북한의 미사일 발사 배경" 합참 (39) : 2009

      20 최진욱, "북한의 대남 비방 공세의 의도와 전망" 통일연구원 2009

      21 정영태, "북한의 국방위원장 통치체제" 경인문화사 2006

      22 정성장, "북한의 2차 핵실험 배경과 대북전략과제" 세종연구소 2009

      23 북한연구소, "북한교육론" 북한연구소 1977

      24 로동신문, "로동신문1999년 4월15일자"

      25 김강녕, "남북한관계와 군비통제" 신지서원 2008

      26 조용갑, "국가안보학" 선학사 2006

      27 천대윤, "갈등관리와 협상전략론" 선학사 2005

      28 "http://www.unikorea.go.kr/"

      29 "http://www.kifs.org/"

      30 "http://www.jcs.mil.kr/main.html"

      31 Park, Kun Young, "Preparing for a Peace process in the Korean Peninsula" 2007

      32 US, Department of Defense, "National Defence Strategy"

      33 김성한, "2008년 한미 신동맹 출범 원년-전략동맹으로" 자유총연맹 2008

      34 국방부, "2008 국방백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1 0.98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