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호텔 CEO의 전략적 선택, 조직문화 및 경영혁신 활동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인지부조화와 집단이성에 순응하는 정도가 경영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시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18784
서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2018
한국어
647.9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impacts of cognitive dissonance and public compliance with collective rationality regarding CEO's choice of strategi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activ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cognition
viii, 127 p. : 삽화 ; 26 cm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최정길
참고문헌 : p. 90-115
I804:11006-20000006964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호텔 CEO의 전략적 선택, 조직문화 및 경영혁신 활동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인지부조화와 집단이성에 순응하는 정도가 경영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시장...
본 연구는 호텔 CEO의 전략적 선택, 조직문화 및 경영혁신 활동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인지부조화와 집단이성에 순응하는 정도가 경영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시장환경 대응전략 유형선택, 조직문화형성 활동 유형선택, 경영혁신 활동 유형선택, 인지부조화정도, 공개적 순응, 경영성과 인식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를 먼저 고찰하고 실증 분석 하였다. 서울시내 특급 관광호텔 각계각층 구성원의 인식을 추론하기 위하여 신입부터 최고경영자까지 광범위하게 조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구성개념들 간의 상관관계 및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각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시장환경 대응전략 유형선택의 분석형 전략, 공격형 전략이 조직문화형성 활동 유형선택의 혁신적 문화, 관료적 문화, 지원적 문화를 예측할 수 있는 좋은 예측변인이며, 조직문화형성 활동 유형선택 중 혁신적 문화와 관료적 문화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예측변인은 시장환경 대응전략 유형선택 중 각각 분석형 전략과 공격형 전략임을 보여주고 있다. 조직문화형성 활동 유형선택의 혁신적 문화, 관료적 문화, 지원적 문화가 경영혁신 활동 유형선택의 관리혁신과 기술혁신을 예측할 수 있는 좋은 예측변인이며, 경영혁신 활동 유형선택 중 관리혁신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예측변인은 조직문화형성 활동 유형선택 중 지원적 문화임을 보여주고 있다. 시장환경 대응전략 유형선택의 공격형 전략과 분석형 전략이 경영혁신 활동 유형선택의 관리혁신과 기술혁신을 예측할 수 있는 좋은 예측변인이며, 시장환경 대응전략 유형선택 중 공격형 전략이 분석형 전략보다 경영혁신 활동 유형선택 중 관리혁신을 더 잘 예측할 수 있는 예측변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인지부조화정도와 공개적 순응 간의 분석결과를 보면 인지부조화정도가 공개적 순응정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부조화정도가 공개적 순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지부조화정도와 경영성과 인식간의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인지부조화정도가 재무적, 비재무적 경영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부조정도가 재무적, 비재무적 경영성과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개적 순응과 경영성과 인식간의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공개적 순응이 재무적, 비재무적 경영성과 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개적 순응이 높아질수록 재무적, 비재무적 경영성과 인식이 모두 높아진다는 것이다.
종합적으로 볼 때, 본 연구는 호텔 CEO의 전략적 선택, 조직문화 및 경영혁신 활동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인지부조화는 공개적 순응정도와 무관하며, 인지부조화정도가 재무적이든 비재무적이든 경영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연구결과는 개인의 믿음과는 차이가 있을 지라도 집단의 믿음에 순응하면 보상이 주어진다는 상황에서 공개적으로 집단의 믿음에 순응하는 정도가 높아지고, 이때 재무적, 비재무적 경영성과 인식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해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각각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먼저, 구성원들이 인지하는 호텔 CEO의 시장환경 대응전략과 조직문화형성 활동, 그리고 경영혁신 활동 유형선택 모두는 서로 쌍방향 상관관계가 매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경영현장에서 호텔 CEO의 시장환경 대응전략, 조직문화형성 활동, 그리고 경영혁신 활동 유형선택 들이 서로 매우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호 연관성이 높게 디자인 설계 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조직구성원의 인식은 집단과 개인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집단과 개인 간의 인지부조화라고 보았을 때 이 인지부조화정도가 집단적 인지 또는 믿음정도(공개적 순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한 것과 유의하지 않음으로 나타남으로써, 실무적으로 공개적 순응은 조직 내의 구성원들 개인의 신념, 믿음과 상관없이 집단에 보상이 주어진다면 집단이성에 공개적으로 순응하게 됨을 시사하고 있다.
Festinger(1962)의 연구결과대로 개인이 인지부조화가 발생하면 행동이나 인지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인지요소를 추가함으로써 부조화를 감소시키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개인이 집단의 의견과 다름에도 불구하고 집단의 믿음에 동참, 순응하면 개인에게 보상이 주어진다는 인지요소를 추가한 것과 공개적 순응에 참여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무현장에서 인지부조화 이론에 따라 개인은 자신의 인지와 믿음을 일관성이 있게 유지하려고 하지만, 조직 내의 강력한 집단적 인지와 믿음의 영향을 받아 자신의 인지와 믿음을 포기하고 순응하게 됨을 시사하는 것이다. 다만 인지부조화가 낮을수록 조직문화는 보다 더 통일적이고 일사불란하며, 전체적 사고에 바탕을 둔 행위를 낳을 것이라는 가정은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집단에 순응하는 것은 인지부조화정도와 무관하고, 다만, 개인이 자신의 믿음을 수정하는 경우는 집단에 순응할 경우 자신에게 어떠한 보상이 주어지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임을 본 연구는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경영의 최종 목표인 경영성과를 높이려면 인지부조화정도를 관리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으며, 공개적 순응정도와 유의한 정의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는바, 경영현장에서 조직 전체에 단합된 인지, 믿음, 또는 그 수행을 위해서는 그렇게 집단에 공개적 순응을 했을 때 개인에게 주어지는 보상을 적절히 주어지게 함으로써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영현장에서 적절한 방침을 정하고 집행이 이루어진다면 재무적인 성과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측면에서도 조직 전체의 바람직한 성과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how much do the organizational members experience cognitive dissonance and adapt to collective rationality among strategical choice of Hotel CEO,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y. For the study, there have ...
This study is about how much do the organizational members experience cognitive dissonance and adapt to collective rationality among strategical choice of Hotel CEO,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y. For the study, there have been contemplation and analysis for preceding researches about market environment confrontation strategy type selections, organization culture forming activity, the degree of cognitive dissonance, public compliance, and management performance cognition. There has been a wide range of survey from new employee to CEO to infer the cognition of all social standing members in five-star hotels in downtown Seoul. Empirical analyzing by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correlation and difference between construct concepts proposed in the research model in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nalyzer strategy and prospector strategy in market environment confrontation strategy type selections are good prediction factors for innovation culture, bureaucratic culture, and supportive culture in organization culture forming activity type selections. The most effective prediction factor for innovation culture is analyzer strategy, and the most effective prediction factor for bureaucratic culture is prospector strategy. Innovation culture, bureaucratic culture, and supportive culture in organization culture forming activity type selections are good prediction factors for administration innovation and technical innovation in management innovation type selections. The most effective prediction factor for administration innovation in management innovation type selections is supportive culturein organization culture forming activity type selections. Analyzer strategy and prospector strategy in market environment confrontation strategy type selections are good prediction factors for administration innovation and technical innovation in management innovation type selections. Prospector strategy is more effective than analyzer strategy in market environment confrontation strategy type selections for predicting administration innovation in management innovation type selections. The influence of the degree of cognitive dissonance to the degree of public complia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between the degree of cognitive dissonance and public compliance. In other words, the degree of cognitive dissonance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degree of public compliance in statistical matters. The influence of the degree of cognitive dissonance to financial·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cogni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 between the degree of cognitive dissonance and management performance cognition. In other words, the degree of cognitive dissonance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financial·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cognition in statistical matters. Public compliance gives significant influence on financial·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cognition positively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public compliance and management performance cognition. In other words, financial·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cognition both rise as public compliance heightens.
Overall,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ognitive dissonance of organization members toward strategical choice,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y of hotel CEO is unrelated to the degree of public compliance.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cognitive dissonance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both financial·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cognition in statistical matters. Meanwhile, this research result confirms that the degree of public compliance and financial·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cognition rises if there is a reward following the belief of the group even it is different from the belief of an individual.
This research provides result operationa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bilateral correlations of market environment confrontation, organization culture forming activity, and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y type selection of Hotel CEO perceived by members are all very significant. As a result, it suggests that market environment confrontation, organization culture forming activity, and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y type selection of Hotel CEO are all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y are design planned with high interrelationship. Meanwhile, if we define cognitive dissonance between group and individual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the cognitive of organization members present that the degree of cognitive dissonance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degree of collective cognition or belief(public compliance). It suggest that public compliance means the organization members will follow collection rationality if there is a collective reward regardless of individual belief in work-level.
As the research result of Festinger(1962), it is verified that an individual modify their behavior or cognition or add new cognitive component when cognitive dissonance occurs to reduce dissonance. If an individual participates and adapts to group belief even its own opinion is different from the group, it means a new cognitive component that an individual receives reward is added and the individual participates in public compliance. This research result suggests that individuals make efforts to maintain their cognition and belief consistently following the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but they are affected to the powerful collective cognition and belief in the organization. As a result, they abandon their own cognition and belief and adapt to the organization. However, it also suggests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will be more united and produce behavior based on overall thoughts if the degree of cognitive dissonance decreases is not true. This study suggests that public compliance is not related to the degree of cognitive dissonance, but how an individual changes its own belief is depended on how much the individual receives reward if the individual adapts to the group. Administration of cognitive dissonance does not help to increase the ultimate goal of management, management performance. Management performance has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ing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public compliance. Therefore, the organization needs public compliance for united cognition, belief, and their performance in the general organization. The group should give appropriate rewards for individuals in public compliance and this will increase management performance.
There will be ideal outcome in the general organization in both financial·non-financial aspects if proper policies are determined and enforced in management field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