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비자의 자기감시성에 따른 효과적인 광고 소구 메시지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자기감시성이 낮은 소비자는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가 혜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04217
2019
-
320
KCI등재
학술저널
43-50(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소비자의 자기감시성에 따른 효과적인 광고 소구 메시지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자기감시성이 낮은 소비자는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가 혜택...
본 연구는 소비자의 자기감시성에 따른 효과적인 광고 소구 메시지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자기감시성이 낮은 소비자는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가 혜택 소구 메시지 광고의 제품태도 구매의도보다 높을 것이고, 자기감시성이 높은 소비자는 혜택 소구 메시지 광고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가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보다 높을 것이라는 예측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자기감시성: 높은 자기감시성 vs 낮은 자기감시성) X 2(광고 소구 메시지 유형: 속성 소구 메시지 vs 혜택 소구 메시지) 요인설계방안을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설득지식과 제품태 도, 구매의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감시성이 낮은 소비자는 혜택 소구 메시지 광고 보다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에서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다. 이는 자기감시성이 낮은 소비자가 객관적인 속성을 제시하는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에서는 속성을 근거로 자신이 추론하여 결론을 낼 수 있기 때문에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와 더 높은 구매의도를 가지게 되며, 자신이 추론하는 것이 아닌 광고주가 제시하는 심리적 가치가 반영된 혜택 소구 메시지 광고에서는 설득지식이 활성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자기 감시성이 높은 소비자는 혜택 소구 메시지 광고가 속성 소구 메시지 광고보다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 message appeal type according to consumers self - monitoring. Specifically, consumers who have low self - monitoring will have high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n attribute appeal advertising than benefit appeal...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 message appeal type according to consumers self - monitoring. Specifically, consumers who have low self - monitoring will have high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n attribute appeal advertising than benefit appeal, and consumers with high self – monitoring will have high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n benefit appeal advertising. This study adopted a 2x2 Factorial ANOVA Design (high self - monitoring vs low self - monitoring x attribute vs benefit appeal) to prove the hypotheses suggested by the previous liter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ith low self - monitoring showed more favorable product attitude and high purchase intention in attribute appeal advertising than benefit appeal. This can be explained as the reason why consumers with low self-monitoring have a more favorable product attitude and a high purchase intention because they can draw conclusions based on their own attributes, and that persuasion is activated in a benefit claim advertisement that reflects the psychological value of the advertiser rather than their reasoning. In contrast, consumers with high self - monitoring showed more favorable product attitudes and high purchase intention on benefit appeal advertising compared to attribute appeal.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further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이용자의 사전지식이 휠체어 탑승 가능 고속/시외버스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공학, 디자인전공 대학생과 여중생의 협업에 의한 공익 IoT 시설물및 제품 개발: 서울특별시교육청의 금연캠페인을 중심으로 *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의 이용의사에 대한 이용 동기의 영향과 서비스 유형의 조절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