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주배경청소년 정체성에 대한 독일의 논의 = German Discussions on the Identity of the Youth with Migration Backgrou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83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iscusses the relation between the nation and the cultural identity based on the preposition that the German self-understanding as an ethnic nation-state plays the decisive role on enforcing German national identity to the people with migration background. It focuses on the idea of post-colonialist hybridity, breaking with the logic of binary opposition inherent in the "identity thinking". From the perspective of hybridity, German national homogeneity is a hybrid construct which stays for a relative long time. Therefore, it is only a comparative "nativity". The article further dismantles the "national cultural construct" between "Germans" and "Non-Germans" and discusses the people with hybrid identity as "another Germans". This article views German youth with migration background as a being representing border-crossing interaction and new "location" of identity.
      번역하기

      This article discusses the relation between the nation and the cultural identity based on the preposition that the German self-understanding as an ethnic nation-state plays the decisive role on enforcing German national identity to the people with mig...

      This article discusses the relation between the nation and the cultural identity based on the preposition that the German self-understanding as an ethnic nation-state plays the decisive role on enforcing German national identity to the people with migration background. It focuses on the idea of post-colonialist hybridity, breaking with the logic of binary opposition inherent in the "identity thinking". From the perspective of hybridity, German national homogeneity is a hybrid construct which stays for a relative long time. Therefore, it is only a comparative "nativity". The article further dismantles the "national cultural construct" between "Germans" and "Non-Germans" and discusses the people with hybrid identity as "another Germans". This article views German youth with migration background as a being representing border-crossing interaction and new "location" of ident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인종적 민족국가로서의 독일의 자기이해가 이주배경청소년에 대한 독일의 민족 정체성 강요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측면에서 민족(nation)과 문화 정체성의 관계를 논의한다. 이때 ‘정체성 사고’에 내재된 이항 대립적 논리를 거부하면서 민족 정체성을 대체할 탈식민주의적 혼성성 구상을 제시한다. 혼성성의 관점에서 보면 독일의 민족적 동질성 역시 기껏해야 상대적 ‘토착성’으로 비교적 긴 시간 머물러 있는 혼성적 구성물에 불과하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관점에서 ‘독일인’과 ‘비독일인’ 사이에 ‘민족적 문화 구성물’을 해체하고 ‘또 다른 독일인들’로서 혼성적 정체성 담지자에 대한 분석으로 나아간다. 본 논문은 독일의 이주배경청소년이라는 사회문화적 집단을 경계를 뛰어넘는 문화적 상호작용과 정체성의 새로운 ‘장소화’를 대변하는 존재로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인종적 민족국가로서의 독일의 자기이해가 이주배경청소년에 대한 독일의 민족 정체성 강요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측면에서 민족(nation)과 문화 정체성의 관계를 논의한...

      본 논문은 인종적 민족국가로서의 독일의 자기이해가 이주배경청소년에 대한 독일의 민족 정체성 강요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측면에서 민족(nation)과 문화 정체성의 관계를 논의한다. 이때 ‘정체성 사고’에 내재된 이항 대립적 논리를 거부하면서 민족 정체성을 대체할 탈식민주의적 혼성성 구상을 제시한다. 혼성성의 관점에서 보면 독일의 민족적 동질성 역시 기껏해야 상대적 ‘토착성’으로 비교적 긴 시간 머물러 있는 혼성적 구성물에 불과하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관점에서 ‘독일인’과 ‘비독일인’ 사이에 ‘민족적 문화 구성물’을 해체하고 ‘또 다른 독일인들’로서 혼성적 정체성 담지자에 대한 분석으로 나아간다. 본 논문은 독일의 이주배경청소년이라는 사회문화적 집단을 경계를 뛰어넘는 문화적 상호작용과 정체성의 새로운 ‘장소화’를 대변하는 존재로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일수, "액체근대" 강 2009

      2 영, 로버트 J. C, "식민욕망" 선학사 2013

      3 홀, 스튜어트, "모더니티의 미래" 현실문화연구 320-375, 2002

      4 "http://www.spiegel.de/politik/deutschland/integration-merkel-erklaert-mu ltikulti-fuer-gescheitert-a-723532.html"

      5 "http://www.faz.net/aktuell/politik/cdu-csu-deutschland-kein-klassischeseinwanderungsland-122873.html"

      6 "http://www.cdu.de/system/tdf/media/dokumente/101116-verantwortung-z ukunft-beschluss.pdf?file=1"

      7 Dreher, Jochen, "Zur Unüberwindbarkeit kultureller Differenz. Grundlagentheoretische Reflexionen" 2007

      8 Habermas, Jürgen, "Zur Rekonstruktion des Historischen Materialismus" Suhrkamp Verlag 144-199, 1996

      9 Aydin, Yasar, "Zum Begriff der Hybridität" HWP 2003

      10 Bauman, Zygmunt, "Vom Nutzen der Soziologie" 2000

      1 이일수, "액체근대" 강 2009

      2 영, 로버트 J. C, "식민욕망" 선학사 2013

      3 홀, 스튜어트, "모더니티의 미래" 현실문화연구 320-375, 2002

      4 "http://www.spiegel.de/politik/deutschland/integration-merkel-erklaert-mu ltikulti-fuer-gescheitert-a-723532.html"

      5 "http://www.faz.net/aktuell/politik/cdu-csu-deutschland-kein-klassischeseinwanderungsland-122873.html"

      6 "http://www.cdu.de/system/tdf/media/dokumente/101116-verantwortung-z ukunft-beschluss.pdf?file=1"

      7 Dreher, Jochen, "Zur Unüberwindbarkeit kultureller Differenz. Grundlagentheoretische Reflexionen" 2007

      8 Habermas, Jürgen, "Zur Rekonstruktion des Historischen Materialismus" Suhrkamp Verlag 144-199, 1996

      9 Aydin, Yasar, "Zum Begriff der Hybridität" HWP 2003

      10 Bauman, Zygmunt, "Vom Nutzen der Soziologie" 2000

      11 Reckwitz, Andreas, "Unscharfe Grenzen. Perspektiven der Kultursoziologie" transcript 69-96, 2008

      12 Papastergiadis, Nikos, "The turbulence of migration: globalization, deterritorialization, and hybridity" Polity Press 168-195, 2000

      13 Mecheril, Paul, "The Black Book. Deutschlands Häutungen" 82-90, 2004

      14 Radtke, Frank-Olaf, "Multikulturelle Gesellschaft: Modell Amerika?" 229-235, 1994

      15 Taylor, Charles, "Multikulturalismus und die Politik der Anerkennung" Fischer Verlag 1997

      16 Leicht, Imke, "Multikulturalismus auf dem Prüfstand" Metropol Verlag 2009

      17 Beck, Ulrich, "Modernität und Barbarei" 318-343, 1996

      18 Bauman, Zygmunt, "Moderne und Ambivalenz" 1995

      19 Rathje, Stefanie, "Konzepte kultureller Differenz" 83-106, 2009

      20 Niethammer, Lutz, "Kollektive Identität. Heimliche Quellen einer unheimlichen Konjunktur" Rowohlts Enzyklopädie 2000

      21 Young, Iris Marion, "Justice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University Press 1990

      22 Hepp, Andreas, "Internet und Migration" 173-197, 2009

      23 Terkessidis, Mark, "Interkulturelle Öffnung – alles klar – oder?"

      24 Bergem, Wolfgang, "Identitätsformationen in Deutschland" Verlag fur Sozialwissenschaten 2005

      25 Bronfen, Elisabeth, "Hybride Kulturen: Beiträge zur anglo-amerikanischen Multikulturalismusdebatte" Stauffenburger Verlag 1997

      26 Berking, Helmuth, "Homes away from Home’. Zum Spannungsverhältnis von Diaspora und Nationalstaat" 10 : 48-59, 2000

      27 Landeskommission Berlin gegen Gewalt, "Gewalt von Jungen, männlichen Jugendlichen und jungen Männern mit Migrationshintergrund" Senatsverwaltung für Bildung, Jugend und Sport 2007

      28 Bauman, Zygmunt, "Flaneure, Spieler und Touristen" 1997

      29 Sökefeld, Martin, "Ethnizität und Migration. Einführung in Wissenschaft und Arbeitsfelder" Reimer 31-50, 2007

      30 Zizek, Slavoj, "Das Unbehagen im Multikulturalismus: Rassismus als Symptom des globalen Kapitalismus" 224 : 51-63, 1998

      31 Brubaker, Rogers, "Beyond Identity" 29 : 1-8, 2000

      32 Die Beauftragte der Bundesregierung für Migration, Flüchtlinge und Integration, "8. Bericht der Beauftragten der Bundesregierung fur Migration, Fluchtlinge und Integration uber die Lage der Auslanderinnen und Auslander in Deutschland(Juni 2010)"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5-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uropean Union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7 0.54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