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3 EU 공동농업정책 개혁의 특징 및 시사점 =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the 2013 EU Common Agricultural Policy Refo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83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13, the European Union reformed the Common Agricultural Policy(CAP) in getting rid of challenges: 1) food security, 2) sustainable management of climate change and natural resources, and 3) rural management and maintaining the vitality of rural economy. Additionally, the CAP emphasizes that the beneficiaries should be for all the people of the EU, not just for farmers and rural areas.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e 2013 CAP reform is alternatives to the current agricultural issues facing the EU as well as the world. Of course, even though the policy measures of the 2013 CAP can’t directly introduce and apply to all agricultural environments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basic condition of the EU and other countries, it is fact that it gives a lot of implications. Therefore, rationally analysing the contents of the 2013 CAP reform is significant enough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of our agricultural policy. To this en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the EU CAP. Moreover, after looking at the features of reform based on process and content respectively, this study will explores implications for our agricultural policy.
      번역하기

      In 2013, the European Union reformed the Common Agricultural Policy(CAP) in getting rid of challenges: 1) food security, 2) sustainable management of climate change and natural resources, and 3) rural management and maintaining the vitality of rural e...

      In 2013, the European Union reformed the Common Agricultural Policy(CAP) in getting rid of challenges: 1) food security, 2) sustainable management of climate change and natural resources, and 3) rural management and maintaining the vitality of rural economy. Additionally, the CAP emphasizes that the beneficiaries should be for all the people of the EU, not just for farmers and rural areas.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e 2013 CAP reform is alternatives to the current agricultural issues facing the EU as well as the world. Of course, even though the policy measures of the 2013 CAP can’t directly introduce and apply to all agricultural environments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basic condition of the EU and other countries, it is fact that it gives a lot of implications. Therefore, rationally analysing the contents of the 2013 CAP reform is significant enough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of our agricultural policy. To this en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the EU CAP. Moreover, after looking at the features of reform based on process and content respectively, this study will explores implications for our agricultural poli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3년 EU 공동농업정책 개혁은 직면한 대응과제로 1) 식량안보, 2) 기후변화와 천연자원의 지속 가능한 관리, 3) 농촌의 관리와 농촌경제의 활력 유지 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공동농업정책 개혁의 수혜자는 단지 농업인이나 농촌지역만이 아니라 EU의 모든 사람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2013년 CAP 개혁의 방향은 단지 EU내의 문제뿐만 아니라 세계 농업이 직면하고 있는 현안문제에 대한 대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EU와 타 지역 국가들의 기본적인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2013년 CAP 개혁의 정책수단을 직접적으로 도입·적용하기는 어렵다 하더라도 이들은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2013년 개혁의 내용을 합리적으로 분석하여 우리 농정의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EU 공동농업정책의 현황 및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2013년 개혁의 특징을 절차상과 내용상으로 나누어 살펴 본 후 이를 토대로 우리 농정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려 한다.
      번역하기

      2013년 EU 공동농업정책 개혁은 직면한 대응과제로 1) 식량안보, 2) 기후변화와 천연자원의 지속 가능한 관리, 3) 농촌의 관리와 농촌경제의 활력 유지 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공동농업정책 ...

      2013년 EU 공동농업정책 개혁은 직면한 대응과제로 1) 식량안보, 2) 기후변화와 천연자원의 지속 가능한 관리, 3) 농촌의 관리와 농촌경제의 활력 유지 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공동농업정책 개혁의 수혜자는 단지 농업인이나 농촌지역만이 아니라 EU의 모든 사람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처럼 2013년 CAP 개혁의 방향은 단지 EU내의 문제뿐만 아니라 세계 농업이 직면하고 있는 현안문제에 대한 대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EU와 타 지역 국가들의 기본적인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2013년 CAP 개혁의 정책수단을 직접적으로 도입·적용하기는 어렵다 하더라도 이들은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2013년 개혁의 내용을 합리적으로 분석하여 우리 농정의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EU 공동농업정책의 현황 및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2013년 개혁의 특징을 절차상과 내용상으로 나누어 살펴 본 후 이를 토대로 우리 농정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려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윤성, "차기 EU 공동농업정책의 주요내용과 시사점"

      2 전찬익, "차기 CAP 개혁과 EU의 재정·성장 전략”-직접지불의 greening, 공공재 공급중시"

      3 임송수, "유럽 농정개혁의 평가와 전망"

      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여건 변화에 따른 유럽연합 공동농업정책의 개혁 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5 이명헌, "새 정부의 농정, EU의 2013 농정개혁에서 배울 것"

      6 박준기, "미국 EU의 농업예산 현황과 시사점"

      7 김은중, "리스본조약의 발효와 한·EU 전략적 동반자관계 출범"

      8 안병일, "농정방식 개혁: EU CAP의 진화를 보라"

      9 Commission des affaires économiques sur la proposition de résolution européenne, "la politique agricole commune aprés 2013" 2013

      10 European Commission, "The history of the cap"

      1 김윤성, "차기 EU 공동농업정책의 주요내용과 시사점"

      2 전찬익, "차기 CAP 개혁과 EU의 재정·성장 전략”-직접지불의 greening, 공공재 공급중시"

      3 임송수, "유럽 농정개혁의 평가와 전망"

      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여건 변화에 따른 유럽연합 공동농업정책의 개혁 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5 이명헌, "새 정부의 농정, EU의 2013 농정개혁에서 배울 것"

      6 박준기, "미국 EU의 농업예산 현황과 시사점"

      7 김은중, "리스본조약의 발효와 한·EU 전략적 동반자관계 출범"

      8 안병일, "농정방식 개혁: EU CAP의 진화를 보라"

      9 Commission des affaires économiques sur la proposition de résolution européenne, "la politique agricole commune aprés 2013" 2013

      10 European Commission, "The history of the cap"

      11 Josling, T., "The EU's Common Agricultural Policy at Fifty: An Outside View"

      12 European Commission, "The CAP towards 2020:meeting the food, natural resource and territorial challenges ofthe future"

      13 European Commission, "The 2003 reform"

      14 European Commission, "Overview of Cap Reform 2014-2020" 2013

      15 Commission Européenne agriculture et développement rural, "La politique agricole commune après 2013 Débat public Synthèse des Contributions"

      16 DG Agriculture et development rural commission européenne, "La PAC àl'horizon 2020 Propositions législative"

      17 Copa*Cogeca, "L'avenir de la PAC après 2013"

      18 European Commission, "Health Check of the Common Agricultural Policy"

      19 Thomas Fritz, "Globalizinng Hunger: Food Security and the EU's Common Agriculural Policy(CAP)" FDCL-Verlag 2012

      20 OECD, "Evaluation Agricultural Policy Reform in the European Union"

      21 조영수, "EU의 소농 현황 및 지원정책"

      22 이명헌, "EU 직접지불제: 현황과 개혁을 둘러싼 논쟁들"

      23 이상만, "EU 공동농업정책 개혁동향"

      24 안병일, "EU CAP 개혁 주요배경과 개요"

      25 OECD, "Analysis 0f the 2003 CAP Reform"

      26 European Commission, "Agricultural Policy Perspectives Briefs"

      27 European Commission, "Agenda 2000: for a stronger and wider Un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5-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uropean Union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7 0.54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