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학영재학교에서 천문학 전공 희망자의 학습자 정체성 탐색 = Exploring Learner Identity of Gifted Students Who Want to Major in Astronomy in a Science Gifted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881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5년 3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총 3년 3개월에 걸쳐 천문학 전공을 희망하는 3명의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어린 시절 과학 학습의 특징과 과학영재학교라는 맥락이 학습자 정체성을 형...

      본 연구는 2015년 3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총 3년 3개월에 걸쳐 천문학 전공을 희망하는 3명의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어린 시절 과학 학습의 특징과 과학영재학교라는 맥락이 학습자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그들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천문학 전공을 희망하는 과학영재의 학습자 정체성에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유년기 동안 강렬하게 과학 독서에 몰입했던 시기가 초등 저학년에 공통으로 존재하며, 사교육과는 거리가 먼 자기주도학습을 통해 과학 학습을 진행해왔으며, 과도한 지적 흥분인 호기심, 가슴 떨림, 설렘, 신비함 등의 감정적 피드백을 통해 천체에 대한 흥미를 발전시킬 수 있었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에서의 결핍과 소외를 오히려 집중된 기대로 역전시킨 과학영재만이 천문학 전공 선택에 흔들림이 없는 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이 천문학 전공을 희망하는 학습자에게 어떻게 참여와 소외 기제로 작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본질적인 성찰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three years and three months from March 2015 to June 2018, and three science-gifted students wishing to major in Astronomy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ir narratives on the features of science lea...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three years and three months from March 2015 to June 2018, and three science-gifted students wishing to major in Astronomy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ir narratives on the features of science learning in their childhood and the context of science gifted school for those who wish to major in Astronom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identity of gifted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y all intensely immersed in science reading in their primary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ey have also progressed in science learning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instead of private education. Also, they were able to develop their interest in Astronomy by receiving very intense emotional feedback such as curiosity, heart racing, thrilling, mysterious, and excessive intellectual excitement. Only the students, who reversed deficiency and alienation experienced as a major in Astronomy with a rather concentrated expectation, showed a tendency to remain unchanged in choosing their major.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evoke the essential reflection on how the science gifted school curriculum works as a mechanism for participation and alienation to science gifted students who want to major in a specific science subje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희수, "학생 중심의 과학 학습 공동체 이해를 위한 행위주체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101-113, 2019

      2 박원미, "지구과학의 본성에 대한 연구방법 제안 -현상학적 접근 및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가족유사성 접근의 활용-" 한국과학교육학회 40 (40): 51-60, 2020

      3 유은정, "전공의 벽을 넘어온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의 정체성 형성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4 한갑수, "영재학교 발전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대한교육법학회 27 (27): 215-243, 2015

      5 유은정, "미래학교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과학긍정경험과 과학 학습자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지구과학회 41 (41): 176-193, 2020

      6 유은정, "미래의 나에게 쓴 편지 분석을 통한 과학영재들의 진로 정체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253-267, 2016

      7 이종혁,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학생들의 고등학교 입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인류학회 22 (22): 93-128, 2019

      8 이주동, "과학영재학교의 가치평가 - 영재학교 대구과학고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725-752, 2012

      9 한기순, "과학영재학교에서의 AP(Advanced Placement)의 경험과 의미: 대학생이 된 영재학교 졸업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4 (24): 1001-1024, 2014

      10 박경진,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운영 형태에 대한 인식 비교 -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의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625-636, 2017

      1 하희수, "학생 중심의 과학 학습 공동체 이해를 위한 행위주체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101-113, 2019

      2 박원미, "지구과학의 본성에 대한 연구방법 제안 -현상학적 접근 및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가족유사성 접근의 활용-" 한국과학교육학회 40 (40): 51-60, 2020

      3 유은정, "전공의 벽을 넘어온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의 정체성 형성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4 한갑수, "영재학교 발전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대한교육법학회 27 (27): 215-243, 2015

      5 유은정, "미래학교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과학긍정경험과 과학 학습자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지구과학회 41 (41): 176-193, 2020

      6 유은정, "미래의 나에게 쓴 편지 분석을 통한 과학영재들의 진로 정체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253-267, 2016

      7 이종혁,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학생들의 고등학교 입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인류학회 22 (22): 93-128, 2019

      8 이주동, "과학영재학교의 가치평가 - 영재학교 대구과학고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725-752, 2012

      9 한기순, "과학영재학교에서의 AP(Advanced Placement)의 경험과 의미: 대학생이 된 영재학교 졸업생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4 (24): 1001-1024, 2014

      10 박경진,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운영 형태에 대한 인식 비교 -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의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625-636, 2017

      11 김종헌,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진로 선택 시기와 특성 분석" 한국영재학회 26 (26): 653-675, 2016

      12 노현아, "과학영재학교 조기입학 학생들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693-704, 2016

      13 박경희, "과학영재학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159-185, 2005

      14 전지영, "과학영재의 성취정서 분석" 한국영재학회 25 (25): 139-159, 2015

      15 김주한,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성격강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99-325, 2018

      16 윤소정, "과학영재 고등학생들의 학습관련 어려움: 한국과학영재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920-930, 2011

      17 황세영, "‘모두를 위한 과학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과학 학습 정체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187-202, 2018

      18 McLaughlin, C., "Urban science education : examining current issues through a historical lens" 9 : 885-923, 2014

      19 Tan, E., "Unpacking science for all through the lens of identities-in-practice : The stories of Amelia and Ginny" 3 : 43-71, 2008

      20 Sfard, A., "Telling identities : In search of an analytic tool for investigating learning as a culturally shaped activity" 34 (34): 14-22, 2005

      21 Bruns, P., "Standards for qualitative research" 2 (2): 44-52, 1988

      22 MIST, "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of science and technology" Ministry of Science and ICT (MSIT)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ISTEP) 2018

      23 Aschbacher, P., "Is science me? High school students’ identities, participation and aspirations in science, engineering, and medicine" 47 (47): 564-582, 2010

      24 Deci, E.,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Press 1985

      25 Gee, J., "Identity as an analytic lens for research in education" 25 : 99-125, 2000

      26 Alexakos, K., "Fictive kinship as it mediates learning, resiliency, perseverance, and social learning of inner-city high school students of color in a college physics class" 6 : 847-870, 2011

      27 Brickhouse, N., "Embodying science : A feminist perspective on learning" 38 (38): 282-295, 2001

      28 Buxton, C., "Creating a culture of academic success in an urban science and math magnet high school" 89 : 392-417, 2005

      29 Charmaz, K.,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Sage Publications 2006

      30 Enyedy, N., "Complex dilemmas of identity and practice" 90 (90): 68-93, 2006

      31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Jossey-Bass Publishers 1975

      32 Karnes, F., "Achieving excellence: Educating the gifted and talented" Pearson/Merrill Prentice Hall 2008

      33 Luehmann, A., "Accessing resources for identity development by urban students and teachers : foregrounding context" 4 : 51-66, 2009

      34 Settlage, J., "A Model for Employing Identity Theory to Examine Learning Within Science Education Contexts" 2008

      35 Yerrick, R., ""Who are you callin’expert?" : using student narratives to redefine expertise and advocacy lower track science" 48 (48): 13-36,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