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 사이버안보 전략의 변화 : 사이버 안보의 전통 안보화와 전통 안보의 사이버 안보화 = Changes in Japan’s Cyber Security Strategy : Securitization of Cyber Security and Cyber Securitization of Traditional Secur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754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apan’s cyber security strategy entered into a new stage by enacting cyber security basic act in 2014, which stipulates the new direction of cyber security policy.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volution of Japan’s cyber security strategy in ...

      Japan’s cyber security strategy entered into a new stage by enacting cyber security basic act in 2014, which stipulates the new direction of cyber security policy.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volution of Japan’s cyber security strategy in terms of the relations between traditional security and cyber security. For this, I draw on concepts such as ‘securitization of cyber security’ and ‘cyber securitization of traditional security.’ Traditional securitization of cyber security occurs when the government and other key players do not approach cyber security related issues not just in terms of issues of cyber space or economic costs and benefits, but in terms of the broader military security perspectives. By contrast, cyber securitization of traditional security implies that they attempt to turn traditional military securitiy issues into cyber security related issues and take advantage of cyber security as a means to military security goals. While traditional securitization of cyber security has to do with perception changes by the Japanese government that focuses on security threats potentially arising from cyber threats. cyber securitization of traditional security takes place as the Abe government tries to link cyber security related issues to national security strate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은 2014년 사이버안보기본법을 제정함으로써 사이버 안보 정책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게 되었다. 이로써 일본의 사이버 안보 전략과 외교는 새로운 단계에 진입했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

      일본은 2014년 사이버안보기본법을 제정함으로써 사이버 안보 정책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게 되었다. 이로써 일본의 사이버 안보 전략과 외교는 새로운 단계에 진입했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 이 연구는 일본이 사이버 안보 전략을 전통적인 군사 안보와 사이버 안보의 연계라는 관점에서 설명한다. 이 연구는 이를 ‘사이버 안보의 전통 안보화’와 ‘전통 안보의 사이버 안보화’로 개념화하여 설명한다. 사이버 안보의 전통 안보화가 사이버 대응 능력의 증대를 사이버 공간상의 문제나 경제적 손실에만 주목하지 않고, 국가 안보 증진이라는 거시적 맥락의 군사안보 문제로 인식하고 그에 대한 포괄적인 대응 체계를 갖추는 것을 뜻한다. 한편, 전통 안보의 사이버 안보화는 전통적인 군사안보 영역의 문제를 사이버 안보의 문제로 환원시키려는 시도로서 군사안보 목표를 위해 사이버 안보를 수단화하는 경향을 뜻한다. 사이버 안보의 전통 안보화는 사이버 위협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안보 위협에 초점을 맞추는 일본 정부의 인식의 전환과 관련이 있다. 전통 안보의 사이버 안보화는 일본 정부가 사이버 안보 관련 쟁점들을 국가안보전략, 특히 아베 정부 등장 이후 국가안보전략과 연계하여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지아, "전후 일본의 안보체제와 집단적 자위권 -안보조약과 신안보조약을 중심으로-" 일본학연구소 39 : 239-270, 2014

      2 남기정, "자위대에서 군대로? : ‘자주방위의 꿈’과 ‘미일동맹의 현실’의 변증법" 현대일본학회 (43) : 149-192, 2016

      3 이명찬, "일본의 집단적자위권 행사용인과 국가노선의 대전환" 현대일본학회 (40) : 155-189, 2014

      4 최운도,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개념, 해석 그리고 헌법개정"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6 (56): 25-49, 2013

      5 한국 인터넷진흥원, "일본 정부의 사이버보안 강화 전략 분석" (3) : 5-24, 2014

      6 박상돈, "일본 사이버시큐리티기본법에 대한 고찰: 한국의 사이버안보 법제도 정비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50 (50): 145-175, 2015

      7 박휘락, "미일방위협력지침"

      8 김성철, "미일동맹의 강화와 미일방위협력지침의 개정" 세종연구소 2015

      9 정일영, "미국의 중국 딜레마와 일본의 정상국가화" 통일연구원 19 (19): 5-31, 2015

      10 한국 인터넷진흥원, "미국 ․ 일본, 민간 기업의 사이버보안 관련 피해 양상 차이발생" (4) : 66-69, 2014

      1 유지아, "전후 일본의 안보체제와 집단적 자위권 -안보조약과 신안보조약을 중심으로-" 일본학연구소 39 : 239-270, 2014

      2 남기정, "자위대에서 군대로? : ‘자주방위의 꿈’과 ‘미일동맹의 현실’의 변증법" 현대일본학회 (43) : 149-192, 2016

      3 이명찬, "일본의 집단적자위권 행사용인과 국가노선의 대전환" 현대일본학회 (40) : 155-189, 2014

      4 최운도,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개념, 해석 그리고 헌법개정"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6 (56): 25-49, 2013

      5 한국 인터넷진흥원, "일본 정부의 사이버보안 강화 전략 분석" (3) : 5-24, 2014

      6 박상돈, "일본 사이버시큐리티기본법에 대한 고찰: 한국의 사이버안보 법제도 정비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50 (50): 145-175, 2015

      7 박휘락, "미일방위협력지침"

      8 김성철, "미일동맹의 강화와 미일방위협력지침의 개정" 세종연구소 2015

      9 정일영, "미국의 중국 딜레마와 일본의 정상국가화" 통일연구원 19 (19): 5-31, 2015

      10 한국 인터넷진흥원, "미국 ․ 일본, 민간 기업의 사이버보안 관련 피해 양상 차이발생" (4) : 66-69, 2014

      11 이승주, "동아시아 지역아키텍처 재설계의 국제정치: 거대 FTA와 AIIB의 사례를 중심으로" 175 : 1-14, 2015

      12 "高度情報通信ネットワーク社会推進戦略本部 名簿"

      13 防衛省, "防衛白書" 防衛省 自衛隊 2013

      14 内閣官房情報セキュリティセンター, "第7回 日⋅ASEAN 情報セキュリティ政策会議の結果" 2014

      15 "第2回日米サイバー対話の開催"

      16 "日⋅ASEAN情報セキュリティ政策会議"

      17 "情報セキュリティ政策会議, サイバーセキュリティ国際連携取組方針 ~j-initiative for Cybersecurity~"

      18 "国家安全保障会議決定"

      19 "サイバーセキュ…リティ戦略"

      20 Lewis, James Andrew, "U.S.-Japan Cooperation in Cybersecurity. A Report of the CSIS Strategic Technologies Program"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15

      21 "The Inaugural ASEAN-Japan Cybercrime Dialogue"

      22 "The 2nd Japan-Australia Cyber Policy Dialogue"

      23 Sakoda, Robin, "The 2015 U.S.-Japan Defense Guidelines: End of the New Beginning CSIS"

      24 Keidanren, "Proposal for Reinforcing Cybersecurity Measures"

      25 Office of the Spokesperson, "Joint Statement of the Japan-United States-Australia Trilateral Strategic Dialogue"

      26 "Joint Media Release for “Inaugural Japan-Australia Cyber Policy Dialogue”"

      27 Tsuchiya, Motohiro, "Japan is Ready for an International Alliance Against Cyber Threats"

      28 Gady, Franz-Stefa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o Deepen Cybersecurity Cooperation"

      29 Ministry of Defense, "Defense of Japan 2016" Ministry of Defense 2016

      30 Government of Japan, "Cyber Security Strategy, Cabinet Decision"

      31 Tobias Feakin, "Cyber Maturity in the Asia-Pacific Region" International Cyber Policy Center 2015

      32 박영준, "'수정주의적 보통국가론'의 대두와 일본 외교: 자민당 아베 정권의 재출범과 한반도정책 전망" 극동문제연구소 29 (29): 91-121,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제문제연구 -> 국가안보와 전략
      외국어명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 National Security and Strateg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7 0.57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