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맥락매칭과 노출수준이 인터넷 광고의 CTR에 미치는 영향 = The Study of Context-matching, the Level of Ad Exposure that Affect the CTR of the Internet A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964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인터넷 광고에서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는 맥락 광고의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맥락매칭 광고가 비맥락 매칭 광고에 비해 광고 효율(CTR)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맥락매칭 광...

      본 연구는 최근 인터넷 광고에서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는 맥락 광고의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맥락매칭 광고가 비맥락 매칭 광고에 비해 광고 효율(CTR)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맥락매칭 광고의 경우 일평균 노출량이 증가할수록 광고 CTR이 증가하다가 과도한 일평균 노출량에서는 오히려 CTR이 감소되는 역U자형(Inverted U-shaped)의 관계가 나타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비맥락매칭 광고에서는 이와 같은 역U자형 관계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보였다. 광고 기간과 CTR과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관찰할 수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context-matching, the level of ad exposure that affect the CTR as one of the essential dependent variables of internet advertising. It was proved that CTR of context-matching advertising is more effective than th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context-matching, the level of ad exposure that affect the CTR as one of the essential dependent variables of internet advertising. It was proved that CTR of context-matching advertising i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non context-matching advertising. Moreover, as context-matching advertising per day increased, CTR increased; on the other hand, as context-matching advertising per day increased beyond the limit, CTR decreased, which shows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As non context-matching advertising per day increased, CTR increased; unlike the case of context-matching advertising, as non context-matching advertising per day increased beyond the limit, CTR did not decrease. In addition we failed to find the relationship found between advertising period and CT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분태, "제품적합성, 관여도, 온라인 광고의 접속행동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8 (8): 55-81, 2003

      2 김재휘, "인터넷광고의침입성과관여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60 (60): 7-35, 2003

      3 여송필, "인터넷광고가 방송광고에 미치는 영향-방송광고의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 59-, 2008

      4 김경희, "인터넷 쇼핑가치, 점포이미지와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 구매제품유형별 비교 -" 한국콘텐츠학회 8 (8): 173-181, 2008

      5 박철, "인터넷 상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험연구" 한국학술 진흥재단 111-141, 1999

      6 장성복, "인터넷 문맥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7 김지호, "인터넷 광고의 자극 및 회피 수준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대학원 2002

      8 이정아, "인터넷 광고 회피에 대한 연구 : 회피 수준과 회피 예측변인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6 (16): 203-223, 2005

      9 박철,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경로에서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한 비교연구: 제품유형과 구매속성 중요도를 중심으로" 145-163, 2001

      10 최인혁, "온라인(Online) 상에서의 제품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의존성" 한국유통학회 6 (6): 109-133, 2002

      1 김분태, "제품적합성, 관여도, 온라인 광고의 접속행동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마케팅관리학회 8 (8): 55-81, 2003

      2 김재휘, "인터넷광고의침입성과관여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60 (60): 7-35, 2003

      3 여송필, "인터넷광고가 방송광고에 미치는 영향-방송광고의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 59-, 2008

      4 김경희, "인터넷 쇼핑가치, 점포이미지와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 구매제품유형별 비교 -" 한국콘텐츠학회 8 (8): 173-181, 2008

      5 박철, "인터넷 상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험연구" 한국학술 진흥재단 111-141, 1999

      6 장성복, "인터넷 문맥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6

      7 김지호, "인터넷 광고의 자극 및 회피 수준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대학원 2002

      8 이정아, "인터넷 광고 회피에 대한 연구 : 회피 수준과 회피 예측변인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16 (16): 203-223, 2005

      9 박철,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경로에서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한 비교연구: 제품유형과 구매속성 중요도를 중심으로" 145-163, 2001

      10 최인혁, "온라인(Online) 상에서의 제품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의존성" 한국유통학회 6 (6): 109-133, 2002

      11 이학식, "소비자 행동: 마케팅전략적 접근" 법문사 2006

      12 박종원, "광고제품의 모드와 사이트 관련성, 소비자와 사이트와의 관계의 질이 배너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학회 14 (14): 2-38, 2003

      13 양윤직, "광고의 이월효과와 리슨시 플래닝" 72-77, 2007

      14 김요한, "광고매체별 광고 회피 수준 및 광고회피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15 Mandel, Naomi, "When Web Pages Influence Choice: Effects of Visual Primes on Experts and Novices" 29 : 235-245, 2002

      16 Srull, Thom K, "The Role of Category Accessibility in the Interpretation of Information about Persons: Some Determinants and Implications" 37 : 1660-1672, 1979

      17 Meyers-Levy, Joan, "Schema Congruity as a Basis for Product Evaluation" 16 : 39-54, 1989

      18 Ephron, Erwin, "Media Scheduling and Carry-over Effect" 7 : 2002

      19 Zaichkowsky, J. L,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12 : 341-352, 1985

      20 Cuneo, A.Z, "Internet world show spurs online commerce debate" 1995

      21 Park, Jong-Won, "Effect of priming a bipolar attribute concept on dimensional vs. concept-specific activation of semantic memory" 81 (81): 405-420, 2001

      22 Yi, Y, "Contextual Priming Effects in Print Advertisements" 17 : 215-222, 1990

      23 Kim, kyeongheui, "Context Effects in Diverse-Category Brand Environments: The Influence of Target Product Positioning and Consumers’ Processing Mind-Set" 34 : 2007

      24 Garbarino, Ellen C, "Cognitive Effort, Affect, and Choice" 24 : 147-158, 1997

      25 Petty, R. E,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10 : 135-146, 1993

      26 Newman, Eric F, "Banner advertisement and web site congruity effect on consumer Web site perceptions" 104 (104): 273-281, 2004

      27 Moore, Robert S, "Banner advertiser – web site context congruity and color effects on attention and attitudes" 34 (34): 71-84, 2005

      28 Meyers-Levy, Joan, "A Two-factor explanation of assimilation and contrast effects" 30 : 359-368, 1993

      29 정병국, "2010 광고산업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광고학보 -> 한국광고홍보학보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72 2.31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