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전문대학 학습공동체에서 cohort 활동이 학습자의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 및 자원관리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공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전문대학 학습공동체에서 cohort 활동이 학습자의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 및 자원관리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공과...
이 연구는 전문대학 학습공동체에서 cohort 활동이 학습자의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 및 자원관리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공과대학 학습공동체를 대상으로 2006년 3월부터 6월까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인은 학습공동체의 cohort 활동이고, 종속변인은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 및 자원관리전략이다. 실험설계는 이질통제집단설계모형을 이용하였고, 이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의수준 p < .05로 하였으며, 모든 통계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전문대학 학습공동체에서 cohort 활동이 학습자의 학습전략, 특히 메타인지전략, 자원관리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공동체의 cohort 활동은 학습자의 학습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cohort activities on cognitive, meta-cognitive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of learners in learning communities in junior college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whether or not students p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cohort activities on cognitive, meta-cognitive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of learners in learning communities in junior college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whether or not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ohort activiti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cognitive, meta-cognitive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of learne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D' Junior college in Gyeonggi Province, which involved linked courses of 'Microprocess' and 'Micom Application' from March 3 to June 20.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of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tilized in this experimental study. Finally, cohort activities of learners in learning communities in junior colleg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trategies, meta-cognitive strategies of learners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of learners, not on cognitive strategies of learners.
참고문헌 (Reference)
1 "학습동아리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01
2 "학습동아리 지도자 가이드 북 및 학습자료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3 "학습공동체 논의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2002
4 "평생교육의 진화와 지역사회교육의 갈림길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소 18 : 59-78, 2003
5 "초등학생의 학업성취특성분석 및 지원방안" 서울대학교 교육행정연수원 2004
6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용 교수-학습 자료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7 "청소년 학업상담,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6
8 "청소년 학습전략 검사의 타당성 연구: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2005
9 "지방정부의 평생교육서비스" 경기개발연구원 2001
10 "전자학습공동체의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서 학습 전략과 몰입이 학습 결과에 미치는 효과" 2002
1 "학습동아리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01
2 "학습동아리 지도자 가이드 북 및 학습자료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3
3 "학습공동체 논의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2002
4 "평생교육의 진화와 지역사회교육의 갈림길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소 18 : 59-78, 2003
5 "초등학생의 학업성취특성분석 및 지원방안" 서울대학교 교육행정연수원 2004
6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용 교수-학습 자료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7 "청소년 학업상담,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6
8 "청소년 학습전략 검사의 타당성 연구: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2005
9 "지방정부의 평생교육서비스" 경기개발연구원 2001
10 "전자학습공동체의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서 학습 전략과 몰입이 학습 결과에 미치는 효과" 2002
11 "전문대학의 학습공동체 구축방안" 전문대학교수-학습개발협의회 2001a
12 "전문대학 교육에 적합한 교수모형 개발연구" 전문대학교수-학습개발협의회 2001b
13 "전문대학 교과 연계형 학습공동체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및 학습전략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2006
14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웹기반교육훈련 발전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15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과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 특성, 상호작용, 학습결과 간의 관계 분석" 2003
16 "온라인 학습공동체에 대한 성인교육학적 해석" 2000
17 "두원공과대학 학습공동체 구축 프로세스 개발" 두원공과대학 2005
18 "대학에서의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탐구" 한국성인교육학회 7 (7): 71-91, 2004
19 "가상공간에 구성된 학습공동체 구성원의 상호작용 분석" 2002
20 "e-학습의 실체와 e-학습 환경 개선 방안 경주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경주대학교 창의력개발연구소 2001
21 "WOO(Web based multi-user Object Oriented) 기반 학습공동체 설계를 위한 구성요소 탐색"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7 (7): 1-20, 2001
22 "The Teaching of Learning Strategies Handbook of Research on Tteaching" Collier Macmillan. 1986
23 "The Role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Learning Strategies Research Individual Difference in Cognition" Academic Press. 219-251, 1985
24 "The Powerful Potential of Learning Communities: Improving Education for the Future, U.S.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Higher Education Report" Washington DC: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1999
25 "The Motivational Benefits of Cooperative Learning" NY: Wiley 1995
26 "The Efficacy of Learning Communities at Two Community Colleges" 2000
27 "Teaching Cognitive Strategies and Text Structures within Language Arts Programs Relating Instruction to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59-297, 1985
28 "Scripted Cooperation in Student Dyads A Method for Analyzing and Enhancing Academic Learning and Performance Interaction in Cooperative Groups The Theoretical Anatomy of Group Lear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29 "Relating Instruction to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5
30 "Learning Communities: Creating Connections among Students, Faculty and Disciplines" SF: Jossey-Bass 1999
31 "Integr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Text Research to Teach Highorder Thinking Skills in School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1983
32 "Creating Learning Communities: A Practical Guide to Winning Support, Organizing for Change, and Implementing Programs" SF: Jossey-Bass 1999
33 "Creating Connections among Students" Jossey-Bass. 1990
34 "A Learning Community for New Faculty" CA: League for Innovation in the Community College 2003
35 ". 학습전략 개발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 한양대 대학생활연구" 한양대학교. 10 : 1992
36 ". The Process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65
37 ".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ollege Classroom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to Improve Postsecondary Teaching and Learning University of Michigan." 1986
38 ". Mastery Learning in Classroom Instruction" Macmillan. 1975
39 ". Higher Education and the Concept of Community Office of the Chancellor." Illinois University Urbana 1993
40 ".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Designs for Research" 1963
제대군인 일자리 지원을 위한 지역고용네트워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폴리텍대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활용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10-1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 직업능력개발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5-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3 | 1.38 | 1.218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