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TV와 SNS 채널과의 이종(異種) 미디어를 동시에 사용할 때, 전통적인 지상파 TV에 대한 태도가 SNS 이용 형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이 논문을 시작했다. 이를 검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62437
문성준 (인하대학교)
2024
Korean
지상파 TV ; SNS ; 혁신확산이론 ; 공진화 ; terrestrial television ; SNS ; innovation diffusion theory ; co-evolutio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48-76(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상파 TV와 SNS 채널과의 이종(異種) 미디어를 동시에 사용할 때, 전통적인 지상파 TV에 대한 태도가 SNS 이용 형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이 논문을 시작했다. 이를 검증...
지상파 TV와 SNS 채널과의 이종(異種) 미디어를 동시에 사용할 때, 전통적인 지상파 TV에 대한 태도가 SNS 이용 형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이 논문을 시작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을 진행했고, 지상파 TV에 대한 흥미성이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의 유용성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발견했다. SNS의 경우는 타 미디어와 협력을 할 수밖에 없는상황이기 때문에, 지상파 TV와의 SNS와는 공진화성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고 해석했다. 그러나 지상파 TV에 대한 만족감은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의 유용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그 이유를 혁신을 수용하는 결정요인 중에서 상대적 이점(Relative advantage)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설명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find out how the attitude of the traditionally terrestrial television affects on the usage pattern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called SNS, this study was begun. To test both relationships, a survey was performed and it was found out that the var...
To find out how the attitude of the traditionally terrestrial television affects on the usage patterns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called SNS, this study was begun. To test both relationships, a survey was performed and it was found out that the variable of the interest related to the TV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variable of the usefulness of both the Instagram and Facebook services. Since the SNS service can not survive without the connection with other media, the co-evolution concept between the terrestrial television and SNS service probably exists.
Additionally, it was found ou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toward the TV and the usefulness of the SNS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The reason why the hypotheses was explained by the logic of the relative advantage among the five decision elements.
하이퍼로컬 미디어를 통한 지역공동체 의식의 강화 가능성에 대한 실증분석: “당근마켓” 이용동기 및 행동이 사회적 결속과 지역 애정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사회적 재난 방송 뉴스 보도 화면 분석: 이태원 참사 보도 화면 구성으로 본 저널리즘 실천 방식
미디어의 재현, ‘타자’에의 연대를 ‘나’에의 환대를: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 분석을 중심으로
부정적 ESG 뉴스 보도와 기업 가치 변동: 생성형 AI 활용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