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사회적 재난 방송 뉴스 보도 화면 분석: 이태원 참사 보도 화면 구성으로 본 저널리즘 실천 방식 = An Image Clustering Analysis of Broadcast news Coverage: How Itaewon Tragedy in Korea Is Reported as Journalism Pract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624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적 재난에 대한 방송 뉴스의 저널리즘 역할 실천을 보도 화면 구성과 기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재난 보도에 대한 기존의 지적과 방송 뉴스 재난 이미지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재난 보도에서 필요한 저널리즘 역할 수행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논의하였다. 이태원 참사보도를 사례로 선택해 방송 뉴스 이미지 구성 분포를 조사하였는데, 구체적으로는 전반적인 이미지 구성 분포와 흐림처리 기법이 적용된 화면의 분포를 보도 날짜와 방송사별로 알아보았으며, 이를 통해 재난 보도가 목격 저널리즘과 감시견 저널리즘 역할 이행에서 어떠한 흐름을 보이는지 분석했다. 이태원 참사 발생 이후 3일간 보도된 지상파 3사(KBS, MBC, SBS)와 종편 3사(JTBC, 채널A, TV조선) 저녁 메인 뉴스 프로그램 전체를 수집해 키프레임 이미지를 추출하고, 심층 학습 이미지 클러스터링으로 화면을 30개의 이미지 군집으로 구분하였으며, 군집별 흐림처리 화면 분포를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시간이 지날수록 보도 방식은 목격 저널리즘 실천이라 볼 수 있는피해 발생 현장 화면이 보도 1일차 이후 줄어들고, 보도 3일차에 이르면 책임 소재나 대책과 관련된 화면이 늘어나는 감시견 저널리즘 실천으로 옮겨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소하는 피해 현장화면 보도 군집의 빈도 내에서 흐림처리 화면의 비중 변화가 크지 않아 피해 발생 현장 화면의 자극강도는 사흘동안 유지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방송사에 따라서는 지상파와 종편이 보도 화면 구성분포 차이와 흐림처리 화면 사용 방식에서 상호 구분되는 차이가 존재하는 것 역시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사회적 재난에 대한 방송 뉴스의 저널리즘 역할 실천을 보도 화면 구성과 기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재난 보도에 대한 기존의 지적과 방송 뉴스 재난 이미지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본 연구는 사회적 재난에 대한 방송 뉴스의 저널리즘 역할 실천을 보도 화면 구성과 기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재난 보도에 대한 기존의 지적과 방송 뉴스 재난 이미지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짚어보고, 재난 보도에서 필요한 저널리즘 역할 수행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논의하였다. 이태원 참사보도를 사례로 선택해 방송 뉴스 이미지 구성 분포를 조사하였는데, 구체적으로는 전반적인 이미지 구성 분포와 흐림처리 기법이 적용된 화면의 분포를 보도 날짜와 방송사별로 알아보았으며, 이를 통해 재난 보도가 목격 저널리즘과 감시견 저널리즘 역할 이행에서 어떠한 흐름을 보이는지 분석했다. 이태원 참사 발생 이후 3일간 보도된 지상파 3사(KBS, MBC, SBS)와 종편 3사(JTBC, 채널A, TV조선) 저녁 메인 뉴스 프로그램 전체를 수집해 키프레임 이미지를 추출하고, 심층 학습 이미지 클러스터링으로 화면을 30개의 이미지 군집으로 구분하였으며, 군집별 흐림처리 화면 분포를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시간이 지날수록 보도 방식은 목격 저널리즘 실천이라 볼 수 있는피해 발생 현장 화면이 보도 1일차 이후 줄어들고, 보도 3일차에 이르면 책임 소재나 대책과 관련된 화면이 늘어나는 감시견 저널리즘 실천으로 옮겨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소하는 피해 현장화면 보도 군집의 빈도 내에서 흐림처리 화면의 비중 변화가 크지 않아 피해 발생 현장 화면의 자극강도는 사흘동안 유지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방송사에 따라서는 지상파와 종편이 보도 화면 구성분포 차이와 흐림처리 화면 사용 방식에서 상호 구분되는 차이가 존재하는 것 역시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journalistic practices in the selection and reporting of news items in broadcast news about social disasters. By selecting the Itaewon disaster as a case study, and by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images in the news reports, this study analyzed 1) whether disaster coverage shifts from eyewitness journalism to watchdog journalism over time, 2) the differences between broadcasters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image usages in the news report by days and news channels, and 3) the use of blurred images in the news report. We extracted keyframe images of all disaster coverage items from the evening main news programs of three terrestrial and three broadcast network channels for three days from the event. We have categorized the screens into 30 image clusters using deep learning and detected blurred imag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porting style shifted from an eyewitness journalism to a watchdog journalism practice over time, with fewer on-site images after the event and more images related to accountability and countermeasures as time passes. Nevertheless, the proportion of blurred footage within the shrinking cluster of footag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terms of differences across news channels, the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we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coverage screens and the use of blurred screens in news visual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journalistic practices in the selection and reporting of news items in broadcast news about social disasters. By selecting the Itaewon disaster as a case study, and by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images in the news reports, t...

      This study examined the journalistic practices in the selection and reporting of news items in broadcast news about social disasters. By selecting the Itaewon disaster as a case study, and by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images in the news reports, this study analyzed 1) whether disaster coverage shifts from eyewitness journalism to watchdog journalism over time, 2) the differences between broadcasters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image usages in the news report by days and news channels, and 3) the use of blurred images in the news report. We extracted keyframe images of all disaster coverage items from the evening main news programs of three terrestrial and three broadcast network channels for three days from the event. We have categorized the screens into 30 image clusters using deep learning and detected blurred imag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porting style shifted from an eyewitness journalism to a watchdog journalism practice over time, with fewer on-site images after the event and more images related to accountability and countermeasures as time passes. Nevertheless, the proportion of blurred footage within the shrinking cluster of footag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terms of differences across news channels, the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we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coverage screens and the use of blurred screens in news visual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