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 거주시설의 인권 연구-장애인당사자와 종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cused on perceptions of worker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residential fac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46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as attention to human rights grows, more attention is being given to the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an ever before through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Along with this, residential facilities enabl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live and gain their the highest level of human rights are also expanding.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eply understand people’s recognition and experiences of the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residential fac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worker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residential facilities who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disability and life cycl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f personality, right of self-determination, privacy and free activities, safety and economic rights, and freedom of religion were emphasized with regard to guaranteeing human rights.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sexuality, the right to care for a family, and the right to determine their facility admittance and discharge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This study found that the limitation of demand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their rights, problems with managing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facility workers’ lack of knowledge and recognition of human rights are obstacles to guaranteeing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residential facilities. Finally, we made suggestions to resolve the obstacles in the aspects of facility education and system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iscussed in detail human rights problems at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번역하기

      Recently, as attention to human rights grows, more attention is being given to the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an ever before through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Recently, as attention to human rights grows, more attention is being given to the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an ever before through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Along with this, residential facilities enabl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live and gain their the highest level of human rights are also expanding.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eply understand people’s recognition and experiences of the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residential fac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worker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residential facilities who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disability and life cycl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f personality, right of self-determination, privacy and free activities, safety and economic rights, and freedom of religion were emphasized with regard to guaranteeing human rights.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sexuality, the right to care for a family, and the right to determine their facility admittance and discharge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This study found that the limitation of demand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their rights, problems with managing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facility workers’ lack of knowledge and recognition of human rights are obstacles to guaranteeing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residential facilities. Finally, we made suggestions to resolve the obstacles in the aspects of facility education and system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iscussed in detail human rights problems at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UN의 장애인권리협약 체결, 국내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등으로 인권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 집중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장애인 거주시설은 장애인의 생존권 보장을 위한 최후의 사회안전망이자 높은 수준의 인권이 보장되어야 할 곳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인식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장애인 거주시설에서의 장애인 인권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인권보장을 위한 다차원의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유형 및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장애인 거주시설을 선정하고 이 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개별 및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장애인의 인격권 존중과 자기결정권의 확대,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자유로운 활동 존중, 안전의 권리와 경제권 보장, 종교의 자유 등이 장애인당사자와 종사자가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인권의 영역이었다. 또한 장애인의 성적권리와 가족권 및 시설 입⋅퇴소에 대한 결정권 등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인권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인당사자의 권리에 대한 인식 및 주장의 한계, 시설운영방식, 시설 종사자의 인권에 대한 지식 및 인식 부족 등이 장애인 거주시설에서의 인권보장을 위한 저해 요인임을 발견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를 시설운영 및 인권교육, 제도적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이용자와 종사자의 관점에서 장애인 거주시설의 인권문제를 다각도로 조명한 점, 국내에서 최초로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장애인 거주시설의 인권현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시도한 점, 지적장애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한 점 등의 의의를 가지며, 이를 통해 향후 장애인 인권연구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최근 UN의 장애인권리협약 체결, 국내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등으로 인권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 집중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장애인 거주시설은 장애인의 생존권 보장을 위한 최후...

      최근 UN의 장애인권리협약 체결, 국내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등으로 인권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 보다 집중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장애인 거주시설은 장애인의 생존권 보장을 위한 최후의 사회안전망이자 높은 수준의 인권이 보장되어야 할 곳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인식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장애인 거주시설에서의 장애인 인권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인권보장을 위한 다차원의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유형 및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장애인 거주시설을 선정하고 이 시설에 근무하는 종사자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개별 및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장애인의 인격권 존중과 자기결정권의 확대,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자유로운 활동 존중, 안전의 권리와 경제권 보장, 종교의 자유 등이 장애인당사자와 종사자가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인권의 영역이었다. 또한 장애인의 성적권리와 가족권 및 시설 입⋅퇴소에 대한 결정권 등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인권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인당사자의 권리에 대한 인식 및 주장의 한계, 시설운영방식, 시설 종사자의 인권에 대한 지식 및 인식 부족 등이 장애인 거주시설에서의 인권보장을 위한 저해 요인임을 발견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를 시설운영 및 인권교육, 제도적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이용자와 종사자의 관점에서 장애인 거주시설의 인권문제를 다각도로 조명한 점, 국내에서 최초로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장애인 거주시설의 인권현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시도한 점, 지적장애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한 점 등의 의의를 가지며, 이를 통해 향후 장애인 인권연구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장애인단체 총연맹,장애우권익문제 연구소. 2000. 인권지침서.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장애우권익문제 연구소"

      2 "한국장애인단체 총연맹,장애우권익문제 연구소. 1999. 한국장애인 인권백서.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장애우권익문제 연구소"

      3 김승엽, "정신지체 장애인의 인권침해에 대한 사례연구" 서강대학교 2007

      4 서미경, "정신장애인의 인권보장과 제한에 관한 연구" (55) : 231-254, 2003

      5 김충희, "정신보건 영역 사회복지사의 인권민감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3

      6 서동명, "전국장애인 복지 인권 비교연구 , 한국장애인단체 총연맹"

      7 이봉임, "재가 정신장애인의 일상생활 인권실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8 노광호, "장애인의 인권에 관한 헌법적 고찰" 건국대학교 2005

      9 남구현,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인 인권상황 실태조사-양성화된 조건부신고 복지시설을 중심으로 , 국가인권위원회"

      10 중앙일보, "장애인 차별의 부끄러운 현실 , 12월 5일자"

      1 "한국장애인단체 총연맹,장애우권익문제 연구소. 2000. 인권지침서.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장애우권익문제 연구소"

      2 "한국장애인단체 총연맹,장애우권익문제 연구소. 1999. 한국장애인 인권백서.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장애우권익문제 연구소"

      3 김승엽, "정신지체 장애인의 인권침해에 대한 사례연구" 서강대학교 2007

      4 서미경, "정신장애인의 인권보장과 제한에 관한 연구" (55) : 231-254, 2003

      5 김충희, "정신보건 영역 사회복지사의 인권민감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3

      6 서동명, "전국장애인 복지 인권 비교연구 , 한국장애인단체 총연맹"

      7 이봉임, "재가 정신장애인의 일상생활 인권실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8 노광호, "장애인의 인권에 관한 헌법적 고찰" 건국대학교 2005

      9 남구현,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인 인권상황 실태조사-양성화된 조건부신고 복지시설을 중심으로 , 국가인권위원회"

      10 중앙일보, "장애인 차별의 부끄러운 현실 , 12월 5일자"

      11 권선진, "장애인 차별실태와 인권의식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평택대학교 사회과학 연구소 (18) : 59-75, 2004

      12 양영신, "장애인 인권의 법적 실현방안" 전남대학교 2003

      13 유명화, "장애 청소년 생활실태와 복지욕구 지원방안 연구" 10 (10): 86-115, 2006

      14 이창수, "인권관련 정부통계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 , 국가인권위원회"

      15 임은자, "여성장애인의 인권개선을 위한 실천과제" 대구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6) : 183-210, 2004

      16 오혜경, "여성장애인 복지증진 방안을 위한 연구" 보건복지부 2006

      17 김기수, "사회복지사의 인권관점이 실천유형에 미치는 영향 연구" 목원대학교 2007

      18 박정선, "사회복지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현안 인식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2007

      19 "국제인권조약 , http://library.humanrights.go.kr/global/docs/s_detail.html?mastid=13555"

      20 "국가인권위원회법 , www.humanrights.go.kr/02_sub/body01.jsp"

      21 "교남 장애인 인권보장 규정 , www.kyonam.org/"

      22 백은령, "거주시설 이용자 참여의 현황과 대안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3 세계인권선언, "www.unhchr.ch/udhr/lang/khn.htm"

      24 UN장애인권리협약, "www.humanrights.go.kr/search/XSearch.jsp"

      25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6. Transformig housing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y report.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6 Robert,M.L., "The Rights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Southern Illinois Press"

      27 Reichert.E., "Social Work and Human Right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28 Drewett,A.Y., "Social Rights and Disability: the language of ‘rights’ in community care policy" 14 (14): 115-128, 1999

      29 Kuzel,A.J., "Sampling in Qualitative Inquiry" Sage 31-44, 1992

      30 Sweet,W., "Philosophical theory and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University of Ottawa Press 2003

      31 Nursing Home Reform Act, "Nuringhomeabuseresourcecenter.com/reform/"

      32 IFSW Manual., "International Federation of Social Workers(IFSW), 2002, IFSW Manual : Social Work and the Rights of the Child. IFSW"

      33 Stainton,T., "Intellectual Disability, Opression and Difference. pp. 111-163. in Countering Discrimination in Social Work, edited by Lesnik B. :Ashgate Publishing Company"

      34 Ife.J., "Human Rights and Social Work: Toward Rights Based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5 Skegg., "Human Rights and Social Work" 48 (48): 667-672, 2005

      36 May.G.E., "Ending Disability Discrimination : Strategies for Social Workers, Pearson Education, Inc"

      37 Harris A., "Disability, Equality and Human Rights: A Training Manual for Development and Humanitarian Organizations. An Oxfam Publication"

      38 "Department of Health and Social Security and the Centre for Policy on Aging, 2000, Home Life: a code of practice for residential care, Bell and Bain Ltd., Glasgow"

      39 Gill,P., "Counsellors’ attitude towards disability equality training" 34 (34): 93-105, 2006

      40 Robert,M., "A real life, A real community" 31 (31): 125-127,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복지정책 18집 -> 사회복지정책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2 1.61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