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ETUDE SUR LES FIGURINES EN TERRE CUITE DE L'EPOQUE SIL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4476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반적으로 돌, 나무, 뼈 등으로 만들어진 선사시대의 각종 우상들과 기물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이 불을 사용할 줄 알게 된 이후 최초의 흙 조형물은 원시인들이 빚은 토기(土器)와 토우(土偶)일 것이다. 그런데 토기의 발생은 인간의 물질적인 기능의 욕구를 부여한 것이라고 할 때, 토우는 원시 종교의 부장용품으로서 또는 주술적인 성격으로 죽음과 공포에 대한 인간의 정신적인 것과 그들이 곡식을 키워주는 대지와 자연에서 느꼈던 생명감을 흙에 부여했다고 하겠다.
      土偶란 흙으로 만든 인형이란 뜻이며, 이것은 사람의 형상을 갖춘것만이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동물이나, 생활용구, 가옥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토우는 그 양과 질에서 신라 시대에 가장 풍성하였고 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독특한 우리문화이다. 신라 토우는 부장용품으로서 불교 전례 이전의 토속적인 원시 신앙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것은 그들이 기원하는 바를 성취하고자 하는 주술적인 성격을 갖거나 죽음에 대한 생의 영속성을 기원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古新羅 土偶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고신라토우는 외래 문화의 영향을 과히 받지 않은 신라인 나름의 독특한 조형과 신앙, 생활상을 내포 당시의 의식과 생활을 단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토속 신앙의 터전 속에서 만들어져 그 연구 가치가 높다. 또한 신라 토기처럼 미세한 점토로 만들어 졌으며 높은 온도에서 소성되어 강한 경도를 가진다. 색은 감색, 회색 등 여러 가지이며 自然釉가 만들어져 입혀진 것들도 있다. 그리고 제작기법에서의 과감한 생략과 과장을 가진 개성있는 조형물로서 인정받고 있다. 먼저 토우란 말의 의미와 토우 예술의 기원을 외국과 우리나라 구석기 시대부터 거슬러 올라가 고찰하였고 신라토우의 특징을 네가지로 분류 연구하였다. 유형별 특성으로 단독형, 장식형, 용기형의 토우와 제작 기법상의 특성, 조형적 특성, 문화적 기능으로서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다음으로 주제와 상징에 따른 분류를 시도하여 동물형 토우에서는 말, 새, 용, 거북어, 사슴, 호랑이, 소, 개, 돼지, 토끼, 뱀, 기타동물, 인물형 토우에서는 여성상, 남성상, 성애상, 주악상, 상형토우에서는 집모양, 수레모양, 배모양, 신모양의 토우에서 그 예와 각 동물과 인물, 상형이 가지는 그 시대의 상징적 의미와 생활의 단면, 신앙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마지막 장은 문양 연구이다. 신라의 토우에서는 인물형을 제외하고 동물형, 상형에서의 약간의 문양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은 신라토기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적 문양과 거의 비슷하고 또한 이러한 문양이 그려진 항아리나 고배뚜껑위에 토우들이 부착 장식되어 있다. 토우와 같이 이 문양들도 분명 무엇인가를 상징하며 그 시대의 신앙과 연결되어 있어 신라토우의 성격과 기능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문양의 기원과 상징에 대해 알아보고 토우에 나타난 문양(원점문, 거치문, 집선문, 파상문, 격자문)과 목긴 항아리나 고배의 뚜껑에 선각의 문양으로 그려진 토우들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연구 범위는 통일신라 이후의 토우들은 불교가 들어오고 中國의 영향을 많이 받아 토우의 모양과 고유한 성격 자체가 변하므로 신라가 삼국 통일 하기 이전 古新羅時代(B.C. 57-A.D. 668)의 토우들만 다루었다.
      번역하기

      일반적으로 돌, 나무, 뼈 등으로 만들어진 선사시대의 각종 우상들과 기물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이 불을 사용할 줄 알게 된 이후 최초의 흙 조형물은 원시인들이 빚은 토기(土器...

      일반적으로 돌, 나무, 뼈 등으로 만들어진 선사시대의 각종 우상들과 기물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이 불을 사용할 줄 알게 된 이후 최초의 흙 조형물은 원시인들이 빚은 토기(土器)와 토우(土偶)일 것이다. 그런데 토기의 발생은 인간의 물질적인 기능의 욕구를 부여한 것이라고 할 때, 토우는 원시 종교의 부장용품으로서 또는 주술적인 성격으로 죽음과 공포에 대한 인간의 정신적인 것과 그들이 곡식을 키워주는 대지와 자연에서 느꼈던 생명감을 흙에 부여했다고 하겠다.
      土偶란 흙으로 만든 인형이란 뜻이며, 이것은 사람의 형상을 갖춘것만이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동물이나, 생활용구, 가옥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토우는 그 양과 질에서 신라 시대에 가장 풍성하였고 세계적으로도 인정받는 독특한 우리문화이다. 신라 토우는 부장용품으로서 불교 전례 이전의 토속적인 원시 신앙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것은 그들이 기원하는 바를 성취하고자 하는 주술적인 성격을 갖거나 죽음에 대한 생의 영속성을 기원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古新羅 土偶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고신라토우는 외래 문화의 영향을 과히 받지 않은 신라인 나름의 독특한 조형과 신앙, 생활상을 내포 당시의 의식과 생활을 단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토속 신앙의 터전 속에서 만들어져 그 연구 가치가 높다. 또한 신라 토기처럼 미세한 점토로 만들어 졌으며 높은 온도에서 소성되어 강한 경도를 가진다. 색은 감색, 회색 등 여러 가지이며 自然釉가 만들어져 입혀진 것들도 있다. 그리고 제작기법에서의 과감한 생략과 과장을 가진 개성있는 조형물로서 인정받고 있다. 먼저 토우란 말의 의미와 토우 예술의 기원을 외국과 우리나라 구석기 시대부터 거슬러 올라가 고찰하였고 신라토우의 특징을 네가지로 분류 연구하였다. 유형별 특성으로 단독형, 장식형, 용기형의 토우와 제작 기법상의 특성, 조형적 특성, 문화적 기능으로서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다음으로 주제와 상징에 따른 분류를 시도하여 동물형 토우에서는 말, 새, 용, 거북어, 사슴, 호랑이, 소, 개, 돼지, 토끼, 뱀, 기타동물, 인물형 토우에서는 여성상, 남성상, 성애상, 주악상, 상형토우에서는 집모양, 수레모양, 배모양, 신모양의 토우에서 그 예와 각 동물과 인물, 상형이 가지는 그 시대의 상징적 의미와 생활의 단면, 신앙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마지막 장은 문양 연구이다. 신라의 토우에서는 인물형을 제외하고 동물형, 상형에서의 약간의 문양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것은 신라토기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적 문양과 거의 비슷하고 또한 이러한 문양이 그려진 항아리나 고배뚜껑위에 토우들이 부착 장식되어 있다. 토우와 같이 이 문양들도 분명 무엇인가를 상징하며 그 시대의 신앙과 연결되어 있어 신라토우의 성격과 기능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문양의 기원과 상징에 대해 알아보고 토우에 나타난 문양(원점문, 거치문, 집선문, 파상문, 격자문)과 목긴 항아리나 고배의 뚜껑에 선각의 문양으로 그려진 토우들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연구 범위는 통일신라 이후의 토우들은 불교가 들어오고 中國의 영향을 많이 받아 토우의 모양과 고유한 성격 자체가 변하므로 신라가 삼국 통일 하기 이전 古新羅時代(B.C. 57-A.D. 668)의 토우들만 다루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5
      • Chapitre Ⅰ. L'origine et l'evolution des figurines en terre cuite de Silla = 13
      • 1. Qu'est-ce que le t'ou? = 13
      • 2. L'evolution de l'art des figurines = 14
      • A. Aux pays etrangers = 14
      • Introduction = 5
      • Chapitre Ⅰ. L'origine et l'evolution des figurines en terre cuite de Silla = 13
      • 1. Qu'est-ce que le t'ou? = 13
      • 2. L'evolution de l'art des figurines = 14
      • A. Aux pays etrangers = 14
      • B. En Coree = 20
      • 1) A l'age prehistorique = 20
      • 2) A partir de l'epoque des Trois Royaumes = 31
      • Chapitre Ⅱ. Les caracteristiques des figurines en terre cuite de Silla = 39
      • 1. Typologie = 39
      • 1) Figurines decoratives = 41
      • 2) Figurines independantes ou autonomes = 46
      • 3) Figurines-recipients = 49
      • 2. Les modalite de fabrication = 56
      • 3. Les aspects esthetiques = 58
      • 4. Les fonctions culturelles = 64
      • Chapitre Ⅲ. Les figurines en terre cuite de Silla : themes et significations = 69
      • 1. Figurines zoomorphes = 69
      • 1) Cheval = 70
      • 2) Oiseaux = 86
      • 3) Dragon, tortue = 95
      • 4) Cerf = 109
      • 5) Tigre = 114
      • 6) Boeuf = 119
      • 7) Chien = 127
      • 8) Sanglier (Porc) = 134
      • 9) Lapin = 137
      • 10) Serpent et batracien = 139
      • 11) D'autres figures zoomorphes = 145
      • 2. Figurines anthropomorphes = 154
      • 1) Figurines feminines = 155
      • 2) Figurines masculines = 165
      • 3) Figurines de l'acte sexuel = 175
      • 4) Fugirines de la scene ludique = 186
      • 3. Figurines en forme de choses = 202
      • 1) Figurines en forme de maison = 202
      • 2) Figurines en forme de charrette = 214
      • 3) Figurines en forme de bateau = 219
      • 4) Figurines en forme de chaussures = 224
      • Chapitre Ⅳ. Les figurines de terre cuite et leurs motifs = 230
      • 1. Origine et evolution des motifs = 230
      • 2. Motifs des figurines de Silla = 237
      • 1) Cercles pointes = 240
      • 2) Motifs denteles (dentelures regulieres en degrade) = 250
      • 3) Motifs ondules = 255
      • 4) Ensemble de lignes = 258
      • 5) Croisillons = 263
      • 3. Figurines realisees en lignes dessinees (ou hanchures) = 267
      • Conclusion = 276
      • Bibliographie = 281
      • Glossaire = 294
      • Index = 302
      • Table des illustrations = 3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