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상(李箱) 시 페이지 공간의 시각, 공간적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508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상의 시 작품 텍스트를 문자-이미지의 차원에서, 즉, 시각적 공간적 차원에서 읽음으로써 이상 작품 해석의 지평을 넓히고 국내 문자-이미지 연구 촉발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

      본 연구는 이상의 시 작품 텍스트를 문자-이미지의 차원에서, 즉, 시각적 공간적 차원에서 읽음으로써 이상 작품 해석의 지평을 넓히고 국내 문자-이미지 연구 촉발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연구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이상 생전에 신문, 잡지 등에 발표된 작품들을 주요 대상으로 삼는다. 그 가운데에서도 시각적, 공간적 특이성이 뚜렷한 초기시, 말하자면, 조선과 건축에 네 차례에 게재된 시들(연작시들의 제목: 「이상한 가역반응」, 「조감도」, 「삼차각설계도」, 「건축무한육면각체」)과 잡지 가톨닉 청년에 실린 시들(「꽃나무」, 「이런시」, 「거울」), 신문 조선중앙일보에 연재된 연작시 「오감도」 등을 주로 분석한다.
      한편, 본 연구는 독서의 잠재적 공간으로서 페이지 공간을 탐구할 것이므로 이상 생전에 작품을 기고했던 매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도 병행한다. 잡지면 잡지, 신문이면 신문 각 매체는 편집 방침에 있어서나 유통, 소비의 과정에 있어서나 나름의 특징과 규율을 지닌다. 이를 조사함으로써 우리는 이상이 작품을 발표하던 당시 매체의 성격과 예상 독자를 추정할 수 있고 이는 이상 작품의 페이지의 잠재성을 해석하는 데에 하나의 근거를 제공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본격적으로 이상 페이지의 시각적, 공간적 분석을 수행할 것이다. 그 방법론은 서양의 문자 연구, 문자와 이미지 사이의 관계 연구, 서양의 구체시 연구 성과들을 바탕으로 삼는다. 그 한 예를 아래에 소개한다.
      안-마리 크리스탱(Anne-Marie Christin)은 문자는 하늘의 응시와 공간에의 물음에서 탄생했다고 썼다. 크리스탱은 이러한 문자의 기원을 “스크린의 사유”라 명명하는데 이 개념에 따르면 문자 기록에 있어서 바탕 공간이 그 위에 새겨진 형상에 우선되며 이 때문에 문자 기록의 독해에 있어 바탕 공간이 중시되어야 한다. 이런 관점은 기록에 있어 매 독서마다 새롭게 창조되는 페이지 공간의 잠재력을 부각한다. 우리는 이런 관점에서 그동안 본격적으로 분석되지 않은 이상 시 작품의 페이지 공간을 시각적, 공간적 차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상 페이지의 이질성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다양한 언어의 사용이고 다른 하나는 다양한 문자의 사용이다. 전자의 경우, 문장, 기하학적 형상, 아라비아 숫자, 수학 공식 등의 사용을 말한다. 후자의 경우, 한글, 한자, 일본문자(가타카나, 히라카나), 서양 로마자 등이다.
      타이포그래피적 구성도 페이지의 복합적 성격을 높인다. 이 범주에 속하는 특징으로는 글자 크기, 로마자의 경우 대문자 사용, 글자와 박스의 결합으로 인한 강조, 다양한 문자들을 통한 강조, 띄어쓰기 무시, 구두점의 생략, 거울상처럼 반전된 표기 등이 있다. 낯선 기호나 신조어들의 삽입도 이에 해당한다. 이들은 페이지 공간에 수수께끼와 같은 기운을 조성한다.
      이런 복합적인 특성은 초기 일문시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대개의 연구자들은 이 일문시가 습작시일 뿐이며 작품의 가치가 그다지 높지 않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매체의 복합성의 측면에서 이 일문시 분석은 페이지 공간 구성에 있어 이상의 획기적인 시도의 특성을 드러내는 데에 큰 역할을 한다.
      이런 사실은 형상적 측면뿐 아니라 공간적 측면, 다시 말해 공간을 전체적으로 훑어보는 독서에도 영향을 미친다. 형상은 그 형상이 놓여 있는 공간의 독서 방식을 규정한다. 이런 점에서 이상의 페이지 공간은 모자이크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마치 신문의 공간이 이질적인 주제를 담고 있는 공간으로 나누어져 있듯이 말이다. 그러나 이상 시 작품이 신문의 공간과 다른 점은 이질적인 공간으로 나누어져 있으면서 그것이 연결되는 단서들을 던지고 있다는 점이다. 가령, 「선에 관한 각서」 연작을 비롯한 몇 편의 시 작품들은 독서 중 먼저 감상되는 공간과 뒤에 감상되는 공간이 반복과 변이의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이는 시각적 독서와 기호의 해독을 병행했을 때 잘 드러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