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급자를 위한 첼로교재 분석과 스즈키 교육에 의거한 지도방안 연구 : 스즈키 첼로 교본 제 1권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049660

      • 저자
      • 발행사항

        전주 :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2010. 2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i, 60 p. ; 26cm

      • 소장기관
        • 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음악교육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나 학원에서도 음악교육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처음 첼로를 접하는 초급자들에게 첼로를 ...

      음악교육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나 학원에서도 음악교육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처음 첼로를 접하는 초급자들에게 첼로를 가르치는 효율적인 교육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스즈키의 지도 원리를 활용한 지도방안을 연구했다.
      우리나라에서 초급과정의 첼로 교재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스즈키와 스트링 빌더, 베르너 첼로 교본 제 1권을 분석하고 특히 스즈키 첼로 교본 제 1권을 중심으로 각각의 교재들의 특징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즈키 첼로 교본 제1권은 토널리제이션을 강조하여 아름다운 음에 대한 지도를 필요로 하고 부단한 주의를 기울여 바른 음정과 바른 자세로 연습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조성의 전개가 D장조-G장조-C장조의 순서로 되어 있어 현악기의 줄이 5도인 점에 주안하고 편곡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첼로의 줄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A선과 D선으로부터 점차 음역을 넓혀가며 연습하도록 배려한 것도 엿보였다.
      둘째, 스트링 빌더 첼로 교본 제1권은 단계별 포지션 도입으로 제 1포지션에 대한 학습이 주요 내용으로 되어 있어 첼로를 처음 배우는 학생들이 느낄 수 있는 심리적 부담감을 최소화하였다.
      셋째, 베르너 첼로 교본 제1권은 첼로에 대한 폭 넓은 지식을 알게 해주고 음계 중심의 엄격한 연습곡을 통하여 다양한 포지션을 폭넓게 학습하도록 하였다.
      스즈키의 실제 지도 방법을 토대로 놀이를 통한 지도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가르치는 학생 24명, 전주지역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 첼로부가 운영되고 있는 초등학교 학생 58명, 전주 음악학원에서 첼로를 교습 받는 학생 36명을 대상으로 교습 효과를 비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놀이를 통한 지도를 받은 그룹과 놀이 지도를 받지 못한 그룹으로 나눠 지도했다. 리듬 부분에서는, 단순한 리듬에서 복잡한 리듬으로 넘어갈 때 리듬의 음절수에 맞게 이름을 붙여서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고, 교사의 박수 소리로 어떤 곡의 리듬인지 알아맞히는 놀이를 통한 리듬훈련도 병행했다. 그 결과 놀이를 통한 리듬 학습을 지도 받은 학생은 그렇지 못한 학생에 비해 수월하게 리듬을 이해했고, 간단한 곡들은 교사의 지도 없이도 연주가 가능했다.
      음정 부분에서는, 얼음 놀이를 통해 잘못된 음정을 고치고 이 놀이에서 파생한 ‘중지-준비’ 테크닉을 통하여 활의 각도와 음정 등의 기본 기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부분연습의 방법을 터득하게 되었다. 이 지도법으로 교습을 받은 학생들은 그렇지 못한 학생들에 비해 청음 능력이 향상 되었고 음계 학습에 대한 두려움도 낮아졌다.
      역할 바꾸기 놀이를 하면서 학생이 교사의 역할을 통해 스스로 잘못된 점을 깨우칠 수 있게 하였고, 책 한권이 끝나고 나면 고기잡이 놀이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복습의 기회를 만들었다.
      그룹레슨은 친구들과의 앙상블을 통해 음악을 아름답게 만들어가는 즐거움을 느끼게 해주고, 다른 사람의 연주를 보면서 본인의 잘못된 점을 스스로 찾아내는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실제 발표회를 대비한 손뼉 치기 놀이는 연주에 대한 부담감으로 잦은 실수를 하는 학생에게 특히 효과적이어서, 이 놀이를 통해 실수를 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한 곡을 끝까지 마무리 할 수 있는 훈련이 되었다.
      역할 바꾸기, 고기잡이 놀이, 손뼉 치기 놀이를 통해 그룹 레슨을 받은 학생과 그렇게 못한 학생들의 차이를 발견 할 수 있었다. 그룹 레슨을 받은 학생들은 그렇지 못한 학생들에 비해 실제 연주에 대한 두려움이 적었고, 개인 레슨만 받은 학생들보다 레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놀이를 통한 지도를 받은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복습 기회를 만들어 곡에 대한 완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는 학생들의 입장과 그들의 눈높이를 맞춰 지도했을 때 학습 결과가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사들은 바람직한 지도방안을 통해서 바른 인격 형성과 창의력 개발을 위해 도울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생들 각자의 능력과 개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Interest in Music Education increases in schools as well as at home, i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music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in a variety of ways. In this study, I studied a way of instruction utilizing Suzuki's guiding principle to g...

      As Interest in Music Education increases in schools as well as at home, i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music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in a variety of ways.
      In this study, I studied a way of instruction utilizing Suzuki's guiding principle to give effective training results to the very fist beginner learner of Cello.
      Suzuki, String Builder and The Werner Cello book 1 was analyzed, which have been used as cello textbooks of Introductory Course in our country.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books on Suzuki Cello book 1 were examined and then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uzuki Cello Book 1 emphasizes tonalization . It requires the guidance about beautiful tones and puts emphasis on exercising the right tones and the correct posture required through a lot of efforts. It was found out that it was arranged by one thing that line of stringed instruments is consisted of cycle of 5th, because composition of the deployment is in the order like D major-G major-C major. In addition, this book makes the learner exercise extending the range from line A and D, which are the most heavily used lines in the cello line.
      Second, String Builder Cello Book 1 minimizes the psychological burden to the beginner learner in cello could feel because this book's main content is about No. 1 position on step by step position introduction.
      Third, Werner Cello Book 1 gives the learner a broad knowledge about the cello and makes them study a variety of positions widely through strict etudes on scale.
      For researching a teaching program through plays on Suzuki's practice teaching methods, a comparison was conducted regarding learning effectiveness of students
      (24 students I teach, 58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cello in Jeonju at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and 36 students taking cello classes at Jeonju music academy).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were taught. One of both was taught through plays, other group was not.
      In the rhythm section, when the simple rhythm moves on the complex rhythm, students were given names in rhythm of the syllable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easily. In addition, rhythm training was juggled through the play so that students guess what rhythm of song was.
      As a result of the teaching program, the students who were taught the rhythm study through plays could understand the rhythm more easily than the other students who weren't taught. Furthermore, they were able to play simple songs without the guidance of teachers.
      In the tone section, wrong tones could be fixed through "Ice Play". Students exactly understood basic skills like Bow angle and pitch etc through "Stop-Ready" technique derived from " Ice Play" and they also mastered the method of the section practice.
      The students who were taught in this teaching method improved their ability to listen to sounds than the others who weren't and the fear about scale study became lower.
      As the students were playing "The changing roles", they were made to realize wrong points themselves by being teachers. The students were also given opportunities to review the book they finished through "Fishing play" whenever the textbook was finished.
      Group lesson helped the students feel pleasure of creating beautiful music through the ensemble with friends and helped them react the positive response like finding their wrong points themselves while watching other students playing.
      Finally, "Clapping" play for the actual presentation was very effective to the students who had been making frequent mistakes by the pressure about musical performance. Through this play, all the students could complete the songs they were given to the end without any embarrassment even if they made mistakes.
      I could find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taken a group lesson and the students not taken it through the play like "Changing roles", "Fishing", " Clapping". The students who were taken a group lesson had lower fear than the other student who weren't taken the group lesson and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students who were taken private lessons. Also, the students who were taught through the plays made the opportunity to review naturally and enhanced the completeness of song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tudy results was effective when teachers taught students on the position of students. Therefore, teachers can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creativity and the right personality through good teaching, and moreover teachers can maximize all students' abilities and person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2
      • Ⅱ. 본론 3
      • 1. 아동기의 지능발달과 음악적 성장의 특징 3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2
      • Ⅱ. 본론 3
      • 1. 아동기의 지능발달과 음악적 성장의 특징 3
      • 2. 초등학교 기악 교육 6
      • 1) 기악 교육의 중요성 6
      • 2) 기악 교육의 바람직한 모습 7
      • 3) 첼로 특기 적성 교육의 특징 8
      • 3. 교재 분석 및 지도법 8
      • 1) 교재의 성격 8
      • 2) 교재의 종류 10
      • 3) 교재의 내용 분석 11
      • ① 스즈키 첼로 교본 제 1권 11
      • ② 스트링 빌더 첼로 교본 제 1권 22
      • ③ 베르너 첼로 교본 제 1권 28
      • Ⅲ. 실제적인 지도방안 연구 35
      • 1) 스즈키 교육에 의거한 지도방안 35
      • 2) 초급자를 위한 실제 지도방안 44
      • Ⅳ. 결론 53
      • 참고문헌 56
      • ABSTRACT 5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