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중 <공후인> [<공무도하가>] 연구사 비교 고찰 = 韓ㆍ中 <箜篌引> [<公無渡河歌>] 研究史 比較 考察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503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공후인(箜篌引)>은 한국문학사 상 최초의 시가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작품이다. <공후인>은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라고도 부른다. 최초의 한중 문학 교류도 역시 <공...

      <공후인(箜篌引)>은 한국문학사 상 최초의 시가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작품이다. <공후인>은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라고도 부른다. 최초의 한중 문학 교류도 역시 <공후인>에서 시작되었다. 중국 한나라[汉代] 시기에 <공후인>이 중국 전역으로 전파된 후, 조선 시가인 <공후인>이 한악부(汉乐府) 시집(诗集)에 수록되었다. <공후인>이 처음으로 기록된 문헌은 중국 동한(東漢) 말기에 채옹(蔡邕)이 지은 『금조(琴操)』[A.D. 133-192년]로 보고 있다. 서진(西晉) 혜제[惠帝, 290-306]에 이르러 문인 최표[崔豹, A.D. 290-306년]의『고금주(古今注)』에 <공후인>이 더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공후인>은 불과 16글자 밖에 안 되는 서정시가이지만 이는 한국과 중국의 후세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점은 양국의 학자가 모두 승인한 것이다. 그러나 이 시가의 발전과정은 중국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기 때문에 시가에 대한 양국의 ‘해석’이 다양한 쟁점을 안고 있는 점 역시 불가피하다.
      본 연구자는 <공후인>을 둘러싼 한중 양국의 연구사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기존 연구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고찰하면서 <공후인>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냄과 동시에 향후 연구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세부적으로는 주로 <공후인>의 제목, 작자, 창작 연대, 지리적 위치와 국적, 배경 이야기의 구조, 백수광부(白首狂夫)의 성격과 제호의 의의, 곽리자고(霍里子高)의 신분 등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양국의 연구 문헌들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공후인>에 대한 한중 학계의 연구사를 정리한 결과, 현대 한국 학계의 연구는 중국 학계보다 약 30년 쯤 먼저 시작되었고, 연구 논문, 문헌 자료 등도 중국 학계보다 훨씬 많을 뿐만 아니라 연구 성과도 보다 상세함을 발견할 수 있다. 한국 고대시가인 <공후인> 자체에 대한 중국 학계의 연구는 적었지만 후세의 조식(曹植), 이백(李白) 등 유명한 시인들에게 전해져 내려온 동명(同名) 시가에 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수행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동명 시가에는 중점을 두지 않았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서론 부분으로, 연구의 주안점 및 방법 등을 소개한다. 제 2 장은 한중 양국의 <공후인> 연구 성과를 정리한 부분이다. 제 3 장은 제 2 장에 대한 분석과 비교이고, 한중 양국 연구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요약하였다. 제 4 장에서는 추가 연구 방안을 제안함과 더불어 일부 학자들의 연구에서 언급된 문제점들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마지막 제 5 장은 전체 내용을 요약한 결론 부분이다.
      한중 양국 학자들은 연구 과정에서 보다 많은 역사적 자료를 발견하고 증거를 찾아냄과 동시에 새로운 연구 시각과 과제를 상호 교류한다면 양국의 문학 연구 성과를 보다 풍부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양국 학자 간의 학문 교류를 강화하고 학제 간 연구를 진행하여 새로운 학문의 길을 함께 개척해나가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箜篌引》是韓國文學史上最早的詩歌,具有重要的意義。《箜篌引》也叫做《公無渡河歌》。最早的韓中兩國文學交流也是從《箜篌引》開始的。中國漢代時期,《箜篌引》傳入中國全境...

      《箜篌引》是韓國文學史上最早的詩歌,具有重要的意義。《箜篌引》也叫做《公無渡河歌》。最早的韓中兩國文學交流也是從《箜篌引》開始的。中國漢代時期,《箜篌引》傳入中國全境,隨後被收錄到漢樂府詩集。目前發現最早對《箜篌引》進行記錄的古籍為東漢蔡邕的《琴操》,後來西晉崔豹的《古今註》也對《箜篌引》進行了更詳細的介紹。
      《箜篌引》全詩共四句,只有十六個字,是一首敘事詩歌,但是它對韓中兩國的文學發展產生了巨大的影響,這一點兩國學者也都表示肯定。但因爲韓國與中國自古就有領土紛爭等問題,在這種特殊的背景下,韓中兩國學者對《箜篌引》的‘解讀’難免出現爭議。
      本文主要圍繞韓中兩國學者對《箜篌引》(《公無渡河歌》)的研究歷史與研究成果,通過比較找出其中的問題進行考察,並對今後《箜篌引》的研究方向與方法提出建議。本文主要對詩作的題目、作者、年代、地理位置、背景故事的構造,白首狂夫的人物分析與‘提壺’的意義,霍里字高等方面的研究情況進行了整理和考察分析。
      通過對韓中兩國《箜篌引》研究史的比較,我們發現,步入現代,韓國學界對《箜篌引》的研究要比中國學界早了大约三十年左右,研究文獻,論文資料等都比中國學界豐富,研究成果也比中國學界更加詳細。中國學界對韓國詩歌《箜篌引》本身的研究並不多,而是對後世曹植、李白所做的同名作品《箜篌引》進行了更廣泛的研究。
      本文的結構大致如下:第一章為緒論,介紹本文的研究目的及意義、研究方法等。第二章先後對韓中兩國有關《箜篌引》的研究情況進行詳盡的整理和介紹。第三章對第二章的資料進行分析和比較,找出韓中兩國學界對《箜篌引》研究的共同點和不同點。第四章在第三章的基礎上進一步提出當前研究存在的問題和解決方案。第五章為結論,對全文進行總結。
      韓中兩國學者在研究過程中要繼續搜尋更多的歷史資料和考古證據等,同時要努力站在新的視角發現更多有價值的課題,從而豐富兩國的研究成果。為此未來需要兩國學者進行廣泛合作和多角度跨學科研究,開創新的研究方向。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ⅴ
      • 중문초록 ⅶ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주안점 1
      • 국문초록 ⅴ
      • 중문초록 ⅶ
      • 제 1 장 서 론 1
      • 1.1 연구의 주안점 1
      • 1.2 연구의 목적 및 방법 4
      • 제 2 장 한・중 <공후인>에 대한 통시적 연구의 전개와 성과 5
      • 2.1 <공후인> [<공무도하가>] 관련 기록 5
      • 2.2 한국 학계 <공후인> 연구사의 논점 별 정리 13
      • 2.2.1 제목의 검토와 확정의 문제 16
      • 2.2.2 작자 및 전파자의 검토와 확정의 문제 21
      • 2.2.3 창작 및 기록 연대 추정의 문제 27
      • 2.2.4 사건 발생 및 노래 창작의 지리적 위치와 국적의 문제 33
      • 2.2.5 배경 설화의 형성 및 구조, 기록의 문제 42
      • 2.2.6‘백수광부’의 정체 추적 및 분석과‘제호(提壺)’의 의미 44
      • 2.2.7 곽리자고(霍里子高)의 정체와 역할의 문제 51
      • 2.3 중국 학계 <공후인> 연구사의 논점의 문제 56
      • 2.3.1 제목의 검토와 확정의 문제 57
      • 2.3.2 작자 및 전파자의 검토와 확정의 문제 59
      • 2.3.3 창작 및 기록 연대 추정의 문제 62
      • 2.3.4 사건 발생 및 노래 창작의 지리적 위치와 국적의 문제 65
      • 2.3.5‘백수광부’의 정체 추적 및 분석과‘제호(提壺)’의 의미 67
      • 2.3.6 곽리자고(霍里子高)의 정체와 역할 문제 68
      • 제 3 장 한・중 <공후인> 연구사 비교 분석 70
      • 3.1 한・중 간 <공후인> 연구의 공통점 70
      • 3.1.1 통시적 비교 연구 방법의 측면 70
      • 3.1.2 문학적 가치에 대한 인정의 측면 72
      • 3.2 한・중 간 <공후인> 연구의 차이점 74
      • 3.2.1 한・중 학자들의 연구관습과 방법론의 측면 75
      • 3.2.2 한・중 학자들이 갖고 있는 지정학적 관점의 측면 77
      • 제 4 장 한・중 <공후인> 연구의 접합점 모색 80
      • 4.1 자료의 추적・분석과 상호 소통 및 이해의 측면 80
      • 4.2 융합 연구 가능성의 모색과 도전의 측면 81
      • 제 5 장 결 론 83
      • 참고문헌 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