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화 : 강지역 주민의 의식구조적 특성 및 원형(archetype) -홍천강 지역을 중심으로- = Culture : The Characteristics of Consciousness structure and Archetype of Inhabitants of the River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683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홍천강 지역 생활권 주민들의 민속, 민간신앙, 설화 속에 풍요적 측면이 어떻게 투영되고 있으며, 어떤 방식으로 추출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연역적 방식을 통해 결과를 추출...

      본고에서는 홍천강 지역 생활권 주민들의 민속, 민간신앙, 설화 속에 풍요적 측면이 어떻게 투영되고 있으며, 어떤 방식으로 추출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연역적 방식을 통해 결과를 추출하고, 이 결과는 또 어떻게 그 원인에 영향을 주는지 쌍방향적인 측면까지도 살펴보고자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홍천강 지역민들이 대보름날 행했던 민속 중에는 ‘어부슴’이 상당히 성행했었고, 비록 소수이지만 지금도 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물가에서 여성에 의해 주로 행해지고 있었다. 또한 달을 보면서 기원하는 달맞이는 동네마다 집집마다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역시 물가에서 주로 하고 있었다. 기우제의 경우도 마을마다 조금씩 그 양식이나 형식 등이 달랐지만 ‘여자’가 주체가 되어 ‘물’에 가서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했다. ‘민간신앙’도 산신이 일색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었거나 이루어지고 있었고, 무엇보다도 산간지역 민간신앙의 특색이었던 ‘권대감’ 신앙과 비견되는 팔봉강가의 ‘팔봉산 삼여신’이 부각되고 있었다. 설화는 채록된 것이 별로 없지만 그래도 다른 지역에 비해 물과 여자와 관련된 설화가 소수 채록되었다. 이렇듯이 강지역민들의 민속행위는 상당히 많은 부분이 ‘달’과 ‘물’과 ‘여인’과 밀접한 관례를 보이는 것으로 수렴되었다. 달과 물은 농사짓는데 필요 불가결한 존재들이라는 점에서 이는 곧 풍년, 즉 풍요와 관련이 되고, 여성은 생산력의 주체라는 점에서, 달은 끊임없이 재생한다는 특성을 지녔다는 점(생생력의 원천)에서도 동일시되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세계적으로 풍요를 기원하는 초기 제의에서는 ‘농사’와 관련된 사물들이 주로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는 점을 상기할 때, 홍천 강 지역의 경우도 동일한 결과를 보인다고 결론내릴 수 있었다. 이렇듯이 강지역 주민들은 본인들도 의식하지 못한 채 인류의 오래된 아키타입 중 하나인 풍요 원리에 기반을 한 여러 가지 의례나 행사를 하면서 풍요의 원리를 끊임없이 재생하는 삶을 영위하고 있었다. 또한 실제적으로 강변지역 지역민들은 다른 지역보다 큰 부침이 없이 평온하게 살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실제로 배고픈 시절이 산간지역민보다 훨씬 덜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은 강이 주는 생산적 측면이 작용했기 때문이라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이 강변지역의 지역민들은 집단무의식이나 실제적인 삶의 측면에서도 다른 지역보다는 ‘풍요성’이 근저를 이룬다고 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tudy how the aspects of richness are reflected and what results are produced in folklore, folk belief and narratives of inhabitants living in the area of the Hongchun Ri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oduced through. ...

      This paper is an attempt to study how the aspects of richness are reflected and what results are produced in folklore, folk belief and narratives of inhabitants living in the area of the Hongchun Ri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oduced through. And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are produced through the deductive method are examined how their results influence the causes including interrelatedness between the cause and the resul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habitants in the Hongchun River have performed Abusum prevailing considerably among folklore performed on fifteenth day of the lunar month. In spite of a small number of people, it has been performed by them at the every door and at the every village until now. It is also known that Dalmajy, viewing the first full moon, has been also performed by women at the edge of the water. Giwoje, a ritual for rain, was different informs styles a bit with villages, but There has been similar a result that the women as the main agents, go to the waterside for ritual ceremonies. The falk belief consisted and has consisted of belief in not just the god of a mountain but also varied types of gods. Above all, Palbonsanyeosansin, the goddess in Palbon Mountain was being magnified comparing with Kwandeagam belief which was fill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ountainous territory in falk belief. There are a few narratives recorded which are water-related and woman- related narratives compared to other areas. It is concluded that the moon, water, and women are closely interrelated in many ways. It could be clarified that the moon and water which are necessary to do farming for a good harvest related to the fertility, women who are agents of the productive forces, and the moon which constantly regenerates itself as the source of the productive forces. Like this, it could be concluded the same result in the area of Hongchen River when it is considered that things related to farming at the primordial ceremony for the fertility are usually objects of veneration worldwidely. Being unaware of what`s going on, the residents in the region of rivers have lived regenerating the principle of fertility by performing many kinds of rituals or ceremony, that are one of the oldest archetypes in the human. Also, it is practically known that the residents at the edge of the water have lived better in peace without ups and downs than any other region. They have had less hard time of hunger than the residents at the mountain village. The result could be verified the function of productive aspects. And It could be based upon the fertility in which inhabitants living in the area of the rivers have lived in more affluent lifes than any of other locations in terms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practical lif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윤수, "홍천지역 동제와 성신앙" 강원도민속학회 19 : 2005

      2 "홍천의 전설과 효열" 홍천문화원 1998

      3 정윤수, "홍천의 무형문화 전승실태" 강원도민속학회 18 : 2004

      4 "홍천군지" 홍천군 1989

      5 홍천문화원, "홍천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1997

      6 김의숙, "홍천군 붓꼬지의 관성사 연구" 강원지역문화연구회 2 : 2003

      7 "홍천강과 팔봉산 문화조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7

      8 서대석, "한국인의 삶과 구비문학" 집문당 2002

      9 "한국의 마을제당 2권 강원도편" 국립민속박물관 1997

      10 김의숙, "한국의 마을제당" 국립민속박물관 1997

      1 정윤수, "홍천지역 동제와 성신앙" 강원도민속학회 19 : 2005

      2 "홍천의 전설과 효열" 홍천문화원 1998

      3 정윤수, "홍천의 무형문화 전승실태" 강원도민속학회 18 : 2004

      4 "홍천군지" 홍천군 1989

      5 홍천문화원, "홍천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1997

      6 김의숙, "홍천군 붓꼬지의 관성사 연구" 강원지역문화연구회 2 : 2003

      7 "홍천강과 팔봉산 문화조사"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7

      8 서대석, "한국인의 삶과 구비문학" 집문당 2002

      9 "한국의 마을제당 2권 강원도편" 국립민속박물관 1997

      10 김의숙, "한국의 마을제당" 국립민속박물관 1997

      11 "한국의 가정신앙 강원도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12 조희웅, "한국설화의 유형" 일조각 1996

      13 최운식, "한국서사의 전통과 설화문학" 민속원 2002

      14 홍태한, "한국구전설화집" 민속원 2010

      15 박종익, "한국구전설화집" 민속원 2000

      16 "한국구비문학대계 강원도 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7 姜 明 慧, "죽음과 재생의 노래-公無渡河歌" 우리문학회 (18집) : 98-127, 2005

      18 김선풍, "조선족구비문학총서" 민속원 1991

      19 김명선, "조선조 문헌설화연구" 이회 2001

      20 최남선, "조선의 신화와 설화" 홍성사 1983

      21 아르노스, "조선의 설화와 전설-개화기 독일인 아르노스가 기록한 조선의 이야기" 제이앤씨 2007

      22 손진태, "조선설화집" 출판사 민속원 2009

      23 스티븐 코핸, "이야기하기의 이론" 한나래 1997

      24 "우리고장홍천" 홍천군 1992

      25 나카자와 신이치, "신화, 인류 최고의 철학" 도서출판 동아시아 2009

      26 강명혜, "산간지역 주민의 의식구조적 특성 − 홍천군 산간지역 설화를 중심으로" 온지학회 (32) : 133-170, 2012

      27 강원도, "민속지" 강원도청 1989

      28 천소영, "물의 전설" 창해 2000

      29 한국구비문학회, "구비문학과 인접학문" 박이정 2002

      30 김의숙, "강원인의 일생의례" 민속원 2005

      31 김의숙, "강원인의 생산민속" 민속원 2006

      32 임석재, "강원도의 민속문화" 강원도민속학회 4 : 1986

      33 강원문화연구소, "강원도 홍천군 학술답사보고서" 강원대 강원문화연구소 11 : 1992

      34 "강원구비문학전집 홍천군편" 한림대학교 출판부 1989

      35 강명혜, "『해관자집』에 투영된 북한강의 특성 및 물 원형상징과의 상관성" 온지학회 (23) : 137-174,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44 1.065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