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수시조에 나타난 여가활동의 양상 = Leisure Activities' Aspects appeared in Sansu Si-jo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330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산수시조에 나타난 여가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선비들이 누렸던 여가활동의 한 단면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여가활동이 국민들 사이에 새로...

      이 글은 산수시조에 나타난 여가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선비들이 누렸던 여가활동의 한 단면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여가활동이 국민들 사이에 새로운 문화코드로 떠오르면서 ‘참살이’, 즉 웰빙(well-be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 참살이이란 물질의 가치나 명예를 얻기보다는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것을 행복의 잣대로 삼는다. 최근에는 참살이가 여가산업의 한 분야로 변질되면서 상류층의 소비문화로 왜곡되고 변질되어 있다고도 한다. 하지만 진정한 여가활동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잘 먹고 잘 살고 폼 나게 사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만족을 통해 행복을 느끼며 건강하게 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생활은 우리나라의 사대부들이 어지러운 세상을 만나면 자연과 벗하며 자연의 질서를 존중하며 건강하게 생활했던 것과 일면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고약한 세상을 만나면 산림이나 고향으로 돌아와 산수자연과 함께 하면서 시조나 가사를 지으면서 틈틈이 여가활동을 즐겼다. 산수시조는 어느 계절에 창작되느냐에 따라 그 소재와 주제가 달라진다. 여기서는 산수시조를 통해서 지금 우리 사회에 화두가 되고 있는 참살이와 비슷한 모습으로 건강한 정신과 육체를 소유하며 살아간 사대부들이 지녔던 여가활동의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산수시조에 나타난 사대부들이 체험한 여기활동의 양상은 1)기분전환과 삶의 재충전, 2)건강회복과 안전한 먹을거리, 3)자기계발과 공동체의 삶 등으로 나누어진다. 여가활동이 중요시되고 있는 오늘날 우리들은 고시조에 나타난 여유와 느림의 미학에 바탕을 둔 산수시조의 여가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심신이 건강한 여기활동을 즐기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studying Sun-hi's activities during Chosun era by analyzing their leisure activities appeared in Si-jos which related with mountains and rivers. These kinds of Si-jos called Sansu Si-jo. Nowadays in Korea leisure activiti...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studying Sun-hi's activities during Chosun era by analyzing their leisure activities appeared in Si-jos which related with mountains and rivers. These kinds of Si-jos called Sansu Si-jo. Nowadays in Korea leisure activities are up a new culture code and a large number of peoples have interested in well-being. Well-being as known as 'Chamsalee' is pursuing happiness based on sound body and sound mind rather than stick to materialism and fame. Therefore, Chamsalee put physiological health and stable mind on front burner. Recently, Chamsalee deteriorated to upper classes' conspicuous consumption. However, healthy living with mental satisfaction and feeling happiness is closer to real meaning of Chamsalee. Chamsalee's life style is similar to the Chosun's gentries. When they met turbulent days they went back to the rural life and live healthy lives respecting provision of nature. Also they create Sansu Si-jo. According to seasonal change, Sansu Si-jos' subject matters and main themes can be different. This study analyzes leisure activities' aspects of Chosun's gentries which are appeared in Sansu Si-jo. Leisure activities' aspects appeared in Sansu Si-jo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1) refresh oneself and recharging one's batteries, 2) recovering health and healthy foods, 3) self improvement and community life. Nowadays people will maintain healthier leisure activities through looking around Sansu Si-jo's winter leisure activ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기분전환과 삶의 재충전
      • Ⅲ. 건강회복과 안전한 먹을거리
      • Ⅳ. 자기계발과 공동체의 삶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기분전환과 삶의 재충전
      • Ⅲ. 건강회복과 안전한 먹을거리
      • Ⅳ. 자기계발과 공동체의 삶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을수, "한국시조대사전(상,하)" 아세아문화사 1991

      2 임재해, "한국민속과 오늘의 문화" 지식산업사 1994

      3 조윤제, "한국문학사" 동국문화사 1963

      4 조윤제, "한국문학사" 동국문화사 130-141, 1963

      5 신은경, "풍류" 보고사 1999

      6 최동국, "조선조 산수시가의 이념과 미의식" 성균관대 1992

      7 나정순, "조선 전기 강호 시조의 전개 국면-‘조월경운’과 ‘치군택민’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시조학회 (29) : 67-104, 2008

      8 임종찬, "장시조의 문예학적 연구" 부산대 1983

      9 류해춘, "웰빙시대의 시조미학(여름편)" (15) : 2004

      10 류해춘, "웰빙시대의 시조미학(봄편)" (18) : 2005

      1 박을수, "한국시조대사전(상,하)" 아세아문화사 1991

      2 임재해, "한국민속과 오늘의 문화" 지식산업사 1994

      3 조윤제, "한국문학사" 동국문화사 1963

      4 조윤제, "한국문학사" 동국문화사 130-141, 1963

      5 신은경, "풍류" 보고사 1999

      6 최동국, "조선조 산수시가의 이념과 미의식" 성균관대 1992

      7 나정순, "조선 전기 강호 시조의 전개 국면-‘조월경운’과 ‘치군택민’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시조학회 (29) : 67-104, 2008

      8 임종찬, "장시조의 문예학적 연구" 부산대 1983

      9 류해춘, "웰빙시대의 시조미학(여름편)" (15) : 2004

      10 류해춘, "웰빙시대의 시조미학(봄편)" (18) : 2005

      11 류해춘, "웰빙시대의 시조미학(겨울편)" (17) : 2004

      12 류해춘, "웰빙시대의 시조미학(가을편)" (16) : 2004

      13 심재완,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14 김광득, "여가와 현대사회" 백산출판사 1997

      15 강남국, "여가사회의 이해" 형설출판사 1999

      16 신연우, "시조속의 생활, 생활속의 시조" 북힐스 2000

      17 김대행, "시가 시학 연구" 이화여대출판부 1991

      18 허왕욱, "생활정서로 그려낸 시조미학" 이회출판사 2003

      19 류해춘, "사설시조에 나타난 여가활동의 양상" 한국시조학회 21 : 2004

      20 이민홍, "사림파문학의 연구" 형설출판사 1985

      21 조규익, "만횡청류" 박이정 1996

      22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출판부 1977

      23 김흥규, "강호자연과 정치현실" 민음사 (19) : 1981

      24 윤영옥, "自然山水와 人世紅塵" 한국시조학회 (29) : 7-20, 2008

      25 李澯旭, "時調 朗誦의 콘텐츠화 硏究" 한국시조학회 19 : 5-36, 2003

      26 한국여가문화학회, "well-being과 여가문화(발표요약집)" 2004

      27 J.Dumazedier, "Toward a Society of Leisure" The Free Press 1967

      28 S.de Grazia, "Of time, Work, and Leisure" Doubleday & Company Inc. 1964

      29 Aristotle, "Nichomachean Ethics" Random House 1948

      30 신영명, "16세기 강호시조의 연구" 고려대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5 1.04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