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國 老人에서 健康行態와 齒周疾患과의 關係 =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Periodontal Disease among Korean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2087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구강건강행태가 치주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구강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8회 국민건강영양조사(2019∼2021)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 표본 2,746명을 대상으로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양치질 빈도와 지각된 구강건강상태가 치주질환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에 양치질을 한 번 이하로 하는 대상자는 하루에 세 번 이상 하는 대상자에 비해 치주염 발병 위험이 1.361배 더 높았다(OR=1.361, 95% CI=1.071∼1.730). 또한 구강 건강 인지가 좋다고 생각하는 대상자는 구강 건강 인지가 나쁘다고 생각하는 대상자에 비해 치주질환 발병 위험이 1.406배 더 높았다(OR=1.406, 95% CI=1.152∼1.716).
      이 연구는 시간적 또는 인과 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고 개인 또는 증상별 요인을 식별하는 데 제한이 있기 때문에 단면 연구로서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치주 질환을 예방하는 데 있어 양치질 빈도와 구강 건강 관리 행태의 중요한 역할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기적인 치과 검진과 적절한 구강 건강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노인의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구강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개인에게 양치질 빈도를 늘리는 것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구강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한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장려하는 공중보건 전략을 실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나아가 사회가 고령화됨에 따라, 생활 습관 개선과 구강 건강 관리 기구 사용을 포함한 체계적인 구강 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여 노인의 건강한 수명을 연장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구강건강행태가 치주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구강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8회 국민건강영양...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구강건강행태가 치주질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구강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8회 국민건강영양조사(2019∼2021)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 표본 2,746명을 대상으로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양치질 빈도와 지각된 구강건강상태가 치주질환 발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에 양치질을 한 번 이하로 하는 대상자는 하루에 세 번 이상 하는 대상자에 비해 치주염 발병 위험이 1.361배 더 높았다(OR=1.361, 95% CI=1.071∼1.730). 또한 구강 건강 인지가 좋다고 생각하는 대상자는 구강 건강 인지가 나쁘다고 생각하는 대상자에 비해 치주질환 발병 위험이 1.406배 더 높았다(OR=1.406, 95% CI=1.152∼1.716).
      이 연구는 시간적 또는 인과 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고 개인 또는 증상별 요인을 식별하는 데 제한이 있기 때문에 단면 연구로서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치주 질환을 예방하는 데 있어 양치질 빈도와 구강 건강 관리 행태의 중요한 역할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기적인 치과 검진과 적절한 구강 건강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노인의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구강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개인에게 양치질 빈도를 늘리는 것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구강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한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장려하는 공중보건 전략을 실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나아가 사회가 고령화됨에 따라, 생활 습관 개선과 구강 건강 관리 기구 사용을 포함한 체계적인 구강 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여 노인의 건강한 수명을 연장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behaviors on the occurrence of periodontal disease in elderly individuals aged 65 years or older, with the goal of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to promote oral health. Data from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9∼2021) were utilized, and a final sample of 2,746 participants was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tooth brushing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occurrence of periodontal disease. Participants who brushed their teeth once or less per day had a 1.361 times higher risk of developing periodontitis compared to those who brushed three or more times per day(OR=1.361, 95% CI=1.071∼1.730). Additionally, participants who perceived their oral health as good had a 1.406 times higher risk of developing periodontitis compared to those who perceived their oral health as poor(OR=1.406, 95% CI=1.152∼1.716).
      This study has limitations as a cross-sectional study, as it cannot clearly determine temporal or causal relationships, and there are restrictions in identifying individual or symptom-specific factors. Nevertheless, this study confirmed the critical role of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oral health management practices in preventing periodontal disease. It also emphasized the necessity of regular dental check-ups and proper oral health education.
      Therefore, to prevent periodontal disease and promote oral health among the elderly, it is essential to educate individuals on increasing the frequency of tooth brushing and to implement public health strategies that encourage regular dental check-ups for accurate evaluation of oral health status. Furthermore, as society ages, systematic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improvements in lifestyle habits and the use of oral health care devic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extend the healthy life span of elderly individual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behaviors on the occurrence of periodontal disease in elderly individuals aged 65 years or older, with the goal of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behaviors on the occurrence of periodontal disease in elderly individuals aged 65 years or older, with the goal of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to promote oral health. Data from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9∼2021) were utilized, and a final sample of 2,746 participants was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tooth brushing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occurrence of periodontal disease. Participants who brushed their teeth once or less per day had a 1.361 times higher risk of developing periodontitis compared to those who brushed three or more times per day(OR=1.361, 95% CI=1.071∼1.730). Additionally, participants who perceived their oral health as good had a 1.406 times higher risk of developing periodontitis compared to those who perceived their oral health as poor(OR=1.406, 95% CI=1.152∼1.716).
      This study has limitations as a cross-sectional study, as it cannot clearly determine temporal or causal relationships, and there are restrictions in identifying individual or symptom-specific factors. Nevertheless, this study confirmed the critical role of tooth brushing frequency and oral health management practices in preventing periodontal disease. It also emphasized the necessity of regular dental check-ups and proper oral health education.
      Therefore, to prevent periodontal disease and promote oral health among the elderly, it is essential to educate individuals on increasing the frequency of tooth brushing and to implement public health strategies that encourage regular dental check-ups for accurate evaluation of oral health status. Furthermore, as society ages, systematic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improvements in lifestyle habits and the use of oral health care devic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extend the healthy life span of elderly individu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론 1
      •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제 2절 연구의 목적 4
      • 제 2장 연구대상 및 방법 5
      • 제 1절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5
      • 제 1장 서론 1
      •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 제 2절 연구의 목적 4
      • 제 2장 연구대상 및 방법 5
      • 제 1절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5
      • 제 2절 연구도구 및 용어의 정의 5
      • 제 3절 분석방법 8
      • 제 3장 연구 결과 9
      • 제 1절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주질환 유무 9
      • 제 2절 연구대상자의 건강행태특성에 따른 치주질환 유무 11
      • 제 3절 연구대상자의 구강행태특성에 따른 치주질환 유무 13
      • 제 4절 연구대상자의 치주질환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6
      • 제 4장 고찰 18
      • 제 5장 요약 및 결론 22
      • 참고문헌 23
      • ABSTRACT 2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