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중지능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에 관한 단기종단적 내러티브 연구 : 영화 프로젝트 중심으로 = (A) short-term longitudinal narrative inquiry on children's personal intelligences program of multiple intelligen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6620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 2009. 8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ii, 262 p. : 삽도 ; 27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명희.
        국문요지: p. i-ii.
        Abstract: p. 259-260.
        부록: 1.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 2.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을 돕기 위한 환경 구성 체크리스트, 3. 유치원 교사 면담가이드 외.
        참고문헌: p. 188-19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 맞는 MI(Multiple Intelligences)의 개인적 지능(Personal Intelligences)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본 프로그램이 아동의 개인적 지능에 미치는 효과와 아동 내러티브의 특징을 단기종단적으로 알아봄으로써, 개인적 지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실제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1-1. 개인이해 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1-2. 대인관계 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1-3. 개인적 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1-4. 개인적 지능에 미치는 장기적인 효과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에 나타난 아동 내러티브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2-1. 아동의 내러티브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2-2. 유치원 교사의 내러티브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2-3. 후속 연구의 내러티브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유아를 대상으로 한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프로그램 설계’는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 과정’, ‘교사의 역할’, ‘평가’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해석’은 MI적 관점으로 프로그램을 보기 위해 ‘MI’, ‘도입전략’, ‘실제 범위’로 해석하였다. 이를 햇빛유치원 만 5세 1개반 유아 21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적용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단기종단적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연구 참여 아동 중 초등학교에 진학한 5명의 질적 사례를 평균 5주씩 참여관찰, 심층면담 하였다. 다른 2명은 담임교사 심층면담만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과정적 의미를 찾고자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연구에 사용된 질적 연구도구는 ‘개인적 지능 구성 요소’, ‘내러티브 분석 준거’, ‘참여관찰’, ‘심층면담’이었다. 타당도 확보를 위해서는 Lincoln과 Guba의 ‘진정성 요구’와 ‘신뢰성 준거’를 적용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의 효과’는 연구 후기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사례를 통해서도 효과가 증명되었다. 초등학교 진학 후의 사례에서도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이 아동의 학업 적응과 대인 관계 형성에 효과적임을 제시하였다.
      둘째,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의 내러티브는 ‘아이들의 이야기’,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 ‘후속 이야기’로 기술하였다. 다양한 차원의 관점을 통해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이 아동의 개인적 지능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필요한 점을 논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이 아동의 개인적 지능의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단기적으로 밝힌 선행연구와 달리 ‘단기종단적’으로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개인적 지능 연구에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간편형 평가도구로는 밝히기 힘든 개인적 지능의 향상 과정을 다양한 내러티브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향상 과정’과 ‘향상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상의 제한점’으로, 본 연구는 주제 중심의 프로젝트 접근법 형태의 프로그램으로 교사의 경력이나 학력 또는 유아들의 개인차에 따라 다른 교육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에 대비하여 구체적인 프로그램상의 보완책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 여건상의 제한점’으로, 현재 유아교육기관의 한 반 아동수가 약 30명 정도이므로 개인 프로파일을 존중하면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는 제한점을 감안하여 후속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 효과의 개인차’를 들 수 있다. 개인차로 인해, 동일한 교실에서 같은 프로그램을 경험했지만, 교육적 효과는 다르게 나타났다는 점을 감안하여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개인차를 존중한 ‘개인 프로파일에 맞는 지도’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 맞는 MI(Multiple Intelligences)의 개인적 지능(Personal Intelligences)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본 프로그램이 아동의 개인적 지능에 미치는 효과와 아...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 맞는 MI(Multiple Intelligences)의 개인적 지능(Personal Intelligences)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본 프로그램이 아동의 개인적 지능에 미치는 효과와 아동 내러티브의 특징을 단기종단적으로 알아봄으로써, 개인적 지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실제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문제 1 >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1-1. 개인이해 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1-2. 대인관계 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1-3. 개인적 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1-4. 개인적 지능에 미치는 장기적인 효과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에 나타난 아동 내러티브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2-1. 아동의 내러티브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2-2. 유치원 교사의 내러티브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2-3. 후속 연구의 내러티브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유아를 대상으로 한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프로그램 설계’는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 과정’, ‘교사의 역할’, ‘평가’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해석’은 MI적 관점으로 프로그램을 보기 위해 ‘MI’, ‘도입전략’, ‘실제 범위’로 해석하였다. 이를 햇빛유치원 만 5세 1개반 유아 21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적용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단기종단적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연구 참여 아동 중 초등학교에 진학한 5명의 질적 사례를 평균 5주씩 참여관찰, 심층면담 하였다. 다른 2명은 담임교사 심층면담만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과정적 의미를 찾고자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연구에 사용된 질적 연구도구는 ‘개인적 지능 구성 요소’, ‘내러티브 분석 준거’, ‘참여관찰’, ‘심층면담’이었다. 타당도 확보를 위해서는 Lincoln과 Guba의 ‘진정성 요구’와 ‘신뢰성 준거’를 적용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의 효과’는 연구 후기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사례를 통해서도 효과가 증명되었다. 초등학교 진학 후의 사례에서도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이 아동의 학업 적응과 대인 관계 형성에 효과적임을 제시하였다.
      둘째,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의 내러티브는 ‘아이들의 이야기’,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 ‘후속 이야기’로 기술하였다. 다양한 차원의 관점을 통해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이 아동의 개인적 지능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필요한 점을 논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이 아동의 개인적 지능의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단기적으로 밝힌 선행연구와 달리 ‘단기종단적’으로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개인적 지능 연구에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간편형 평가도구로는 밝히기 힘든 개인적 지능의 향상 과정을 다양한 내러티브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향상 과정’과 ‘향상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상의 제한점’으로, 본 연구는 주제 중심의 프로젝트 접근법 형태의 프로그램으로 교사의 경력이나 학력 또는 유아들의 개인차에 따라 다른 교육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에 대비하여 구체적인 프로그램상의 보완책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 여건상의 제한점’으로, 현재 유아교육기관의 한 반 아동수가 약 30명 정도이므로 개인 프로파일을 존중하면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는 제한점을 감안하여 후속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 효과의 개인차’를 들 수 있다. 개인차로 인해, 동일한 교실에서 같은 프로그램을 경험했지만, 교육적 효과는 다르게 나타났다는 점을 감안하여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개인차를 존중한 ‘개인 프로파일에 맞는 지도’가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 례
      • 국문요지 ⅰ
      • 차 례
      • 국문요지 ⅰ
      • 제 1장. 서 론 1
      • 제 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 2절. 연구 문제 4
      • 제 3절. 용어 정의 5
      • 제 2장. 이론적 배경 7
      • 제 1절. MI 교육과정의 특징 및 내용 7
      • 1. MI 교육과정의 특징 7
      • 2. MI의 교육 프로그램 12
      • 3. MI의 연구 동향 28
      • 제 2절. 개인적 지능을 적용한 프로그램 34
      • 1. 개인적 지능의 개념 34
      • 2.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의 내용 36
      • 3.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의 효과 46
      • 제 3장. 연구방법 51
      • 제 1절. 연구 설계: 내러티브적 탐구 51
      • 1. 교육학 연구에서의 내러티브 탐구 51
      • 2. 내러티브 탐구에 의한 연구과정 설계 55
      • 제 2절.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 설계 59
      • 1.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 설계 절차 59
      • 2.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 설계 63
      • 3. MI 관점으로 본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 해석 71
      • 제 3절. 연구 장소: 이야기 속의 사람들과 만나기 75
      • 1. 참여 기관: 햇빛 유치원 75
      • 2. 참여자: 아동, 교사, 학부모 72
      • 제 4절. 연구 수행 과정: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기 79
      • 제 5절. 자료 수집: 이야기의 장소에 들어가 존재하기 81
      • 1. 현장 들어가기 81
      • 2. 참여관찰 82
      • 3. 심층면담 86
      • 제 6절. 자료 분석 및 해석 방법: 연구 텍스트 구성하기 92
      • 1. 자료 분석 도구 92
      • 2. 자료 분석 방법 94
      • 제 7절. 타당도 97
      • 제 4장.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의 효과 99
      • 제 1절. 개인이해 지능에 미치는 효과 99
      • 1. 개인이해 지능 변화 과정 99
      • 2. 개인이해 지능 관련 사례 104
      • 제 2절. 대인관계 지능에 미치는 효과 106
      • 1. 대인관계 지능 변화 과정 106
      • 2. 대인관계 지능 관련 사례 110
      • 제 3절. 개인적 지능에 미치는 효과: 개인이해 지능과 대인관계 지능의 복합적 효 과 114
      • 제 4절. 단기종단적으로 나타난 아동의 개인적 지능 115
      • 제 5절. 종합: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시사점과 적용의 제한점 119
      • 1.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시사점 119
      • 2. 교육 현장에 대한 적용의 제한점 120
      • 제 5장.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에 나타난 내러티브 122
      • 제 1절. 아이들의 이야기 122
      • 1. 박주연 이야기: 버지니아 울프의 ‘극복의 솜털’ 122
      • 2. 윤정민 이야기: 성실한 소크라테스 131
      • 3. 남현민 이야기: 사교적인 윈스턴 처칠 137
      • 제 2절.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 141
      • 1. 개인이해 지능의 내러티브 특징: 자기주도적 학습, 그 개인이해적 접근 141
      • 2. 대인관계 지능의 내러티브 특징: 함께 배우기, 그 대인관계적 접근 149
      • 3. 개인적 지능의 복합적 특징: 타인을 통한 자아 탐색과 성장 162
      • 제 3절. 후속 이야기 163
      • 1. 개인이해 지능의 단기종단적 내러티브 163
      • 2. 대인관계 지능의 단기종단적 내러티브 166
      • 제 4절. 종합: 프로그램에 나타난 내러티브의 경험적 의미 176
      • 1. 아동 차원의 경험적 의미 176
      • 2. 교사 차원의 경험적 의미 177
      • 제 6장. 논의 및 결론 179
      • 제 1절. 요약 및 논의 179
      • 1.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의 효과 179
      • 2.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에 나타난 내러티브 183
      • 제 2절. 결론과 제언 185
      • * 참고문헌 188
      • * 부 록 193
      • Ⅰ. MI의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
      • Ⅱ.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을 돕기 위한 환경 구성 체크리스트
      • Ⅲ. 유치원 교사 면담가이드
      • Ⅳ. 연구 참여 동의서
      • Ⅵ. 개인적 지능 프로그램 사진
      • Ⅶ. 초등 진학 후의 연구 참여 아동 사진
      • Ⅷ. 연구후기: 연구자 내러티브를 통한 연구과정 고찰
      • * ABSTRACT 259
      • * 연구윤리 서약서 26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용숙, "실행연구방법", 2005

      2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프로젝트 한양 MI", 1997

      3 안혜준, "질적 연구자 되기", 2008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2006

      5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Ⅱ", 2008

      6 김명희, 정태희, "미국의 다중지능 교육",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1997

      7 홍용희, "프로젝트 접근법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학연구, 1997

      8 신화식, "Key Learning Community의 고찰",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2004

      9 Campbell, "The Multiple Intelligences Handbook", 1994

      10 박종원, "질적연구자료 분석의 혁명", 형설출판사, 질적연구자료 분석의 혁명, 2005

      1 이용숙, "실행연구방법", 2005

      2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프로젝트 한양 MI", 1997

      3 안혜준, "질적 연구자 되기", 2008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2006

      5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Ⅱ", 2008

      6 김명희, 정태희, "미국의 다중지능 교육",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1997

      7 홍용희, "프로젝트 접근법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학연구, 1997

      8 신화식, "Key Learning Community의 고찰",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2004

      9 Campbell, "The Multiple Intelligences Handbook", 1994

      10 박종원, "질적연구자료 분석의 혁명", 형설출판사, 질적연구자료 분석의 혁명, 2005

      11 정태희, "개인적 지능과 정의적 교육",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1999

      12 Orr, Pushor, Clandinin, "Navigating Sites for Narrative Inquiry", 2007

      13 Chosn, "Teaching EFL to Multiple Intelligences", 1997

      14 Armstrong, Thomas,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classroom",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classroom, 2000

      15 김영철, "질적 연구에 있어서의 글쓰기", 한국교육인류학회, 1999

      16 Kristjansson,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classroom?", 2006

      17 Miller, "The Relationships Among Peer Assessments", 2001

      18 김영천, "질적연구 : 우리나라의 걸작선", 문음사, 2008

      19 최소자, "프로젝트 접근법의 사례연구 . 5", 창지사, 2006

      20 한승희, "내러티브 사고양식의 교육적 의미",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1997

      21 박덕숭, "유아의 기질과 다중지능과의 관계", 한영신학대학교, "한영신학대학교 교수논문집, 2004

      22 Bellanca, Chapman, Swartz, "Multiple Assessments for Multiple Intelligences", 1997

      23 Gillham, Bill, "Research interviewing : the range of techniques", Open University Press, 2005

      24 김영천, "After Tyler: 교육과정 이론화 1970년-2000년", After Tyler: 교육과정 이론화(1970년-2000년), 2007

      25 Denzin, N. K.,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3rd ed.)", 2005

      26 염지숙, "Narrative inquiry: A trend issues, and possibilities", "Narrative inquiry: A trend issues, 2006

      27 Gardner, Howard, "Frames of mind :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BasicBooks,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ull

      28 Cohen,Dorothy H, "Observing and Recording the Behavior of Young Children", Teachers College Press, 1968

      29 Campbell, "Variations on a theme-how teachers interpret MI theory", Variations on a theme-How teachers interpret MI theory, 1997

      30 김윤옥, "유치원 ·초등학교 연계 통합교육의 과제",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8

      31 박희숙,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교육적 의의와 시사점", 2002

      32 박운영, "영화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수업 모형의 개발", 2006

      33 김성애, "정보화 사회에서의 기독교 영ㆍ유아교육방법",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기독교교육정보, 2002

      34 Kornhaber, Mindy L, "Multiple intelligences : best ideas from research and practice", Pearson/A and B, 2004

      35 김명희, 정태희, "프로젝트 스펙트럼 적용 연구와 교육적 시사점", 2004

      36 Lopes, Paulo Nuno, "Emotional abilities and the quality of interpersonal interaction", Yale University, 2004

      37 DeAmics, "Multiple Intelligences made easy: strategies for your curriculum", 1999

      38 Clandinin, D. Jean, "Narrative inquiry :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Jossey-Bass,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2000

      39 김영천, "현장작업(Fieldwork)에 필요한 열 한 가지 연구기술", 한국교육인류학회, 현장작업(Fieldwork)에 필요한 열한가지 연구기술, 2001

      40 Wiske, "How Teaching for Understanding Changes the Rules in the Classroom", 1994

      41 Butt, Raymond, Townsend, "Contexts for teacher development: In sights from teachers' stories", 1992

      42 Bloom, "From Self to Society Reflections on the Power of Narrative Inquiry", 2002

      43 박지원, "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의 유치원 통합교육의 효과", 2003

      44 심영택, 이혁규, 이경화, "초등 예비 교사의 실습 체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2003

      45 최기란, "유아 다중지능에 대한 부모평가 척도의 타당화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02

      46 Merriam, Sharan B, "Qualitative research in practice : examples for discussion and analysis", Jossey-Bass, Qualitative Research in Practice: Examples for Discussion and Analysis, 2002

      47 Baum, Susan,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elementary classroom : a teacher's toolkit", Teachers College Press, 2005

      48 지성애(Chi Sung-Ae),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유아 미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5

      49 김명희, 주은희, 신화식,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영역별 교수-학습 도구 개발 연구", 2001

      50 신금선, "사회극적놀이가 아동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1993

      51 Clandinin, Connelly, "Teacher's personal knowledge: What counts as 'personal' in studies of personal", 1988

      52 오현미, 오현미, "영화를 활용한 수업이 유아들의 창의적사고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53 Nguyen, Thanh T, "Differential effects of a multiple intelligences curriculum on student performance", Harvard University, 2000

      54 New City School, "Succeeding with Multiple Intelligences; Teaching through the personal intelligences", 1998

      55 Conle, "Why narrative? Which narrative? struggling with time and place in life and research", 1999

      56 김명희, 정태희, "프로젝트 스펙트럼을 적용한 유아 인지 능력 및 학습양식 평가",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003

      57 Lazear.D, "Intelligence Builders for Every Student :44 Exercises to Expand MI in Your Classroom", 1998

      58 황혜경, "개인적 지능 중심의 유아 다중지능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2005

      59 석문주,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과 실천",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연구, 2002

      60 박희숙, "프로젝트 스펙트럼의 유아 다중지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2004

      61 강현석, "내러티브를 통한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06

      62 김미연, "프로젝트 접근법을 이용한 교육적 개입이 유아의 MI에 미치는 효과", 2008

      63 김명희, 하정희, 차경희, "중학생들의 학습동기 MI, 학습양식과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중학생들의 학습동기 MI, 2006

      64 박민정 ( Min Jeong Park ), "통합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세 초등교사의 이야기", 한국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세 초등교사의 이야기, 2007

      65 차경희,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의 다중지능 이론의 적용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2004

      66 Cason KL, "Evaluation of a preschool nutrition education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2001

      67 주영희, "유치원 언어교육과 초등학교 1학년 국어교육의 연계를 위한 교육과정 비교", 경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인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교육논집, 2002

      68 박희숙, 김숙자, 지성애, "지역 특성 분석에 기초한 유아 다중지능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타당성 연구", 2006

      69 Rondinaro, "The Role of Interpersonal Multiple Intelligences on the Usage of Cooperative Learning Teaching Methods", 2004

      70 유승연, "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을 활용한 아동미술 프로그램의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2006

      71 우경애,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통합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6

      72 송정원, 이대균, "유치원 교육과의 연계 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저학년 열린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96

      73 한윤경, 김희진,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상대교육과정에 대한 인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2000

      74 Allardi, Ingrid N, "Children's development of personal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their relationship to achievement motivation", Boston College, 2004

      75 장영숙 ( Young Sook Jang ), 노운서 ( Woon Seo Noh ), "주제중심 프로그램 몬테소리 프로그램, 생태 프로그램의 특성 에 따른 유아의 다중지능 차이", "주제중심 프로그램 몬테소리 프로그램, 2008

      76 강현석,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05

      77 전승희, "가드너 다중지능이론을 기초한 북 아트 활용방안 연구 : 초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접근법을 중심으로", "가드너 다중지능이론을 기초한 북 아트 활용방안 연구 : 초등학교 1,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