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稿는 動詞 ‘X하다’ 構文의 分析을 目的으로 한다. ‘X하다’는 單語가 아니라 ‘X#하다’라는 統辭論的 連鎖라는 점을 논의하고, ‘하다’ 없이 X가 敍述語로 기능하는 文章을 ‘名詞文...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191514
2007
Korean
명사구(名詞句) ; 명사문(名詞文) ; 서술성(敍述性) 명사(名詞) ; 논항(論項) ; 격(格) ; 어근(語根) ; 의성의태어(擬聲擬態語) ; 동사(動詞) `하다` ; noun phrase ; noun sentence ; predicative noun ; argument ; case ; root ; onomatopoeic/mimetic word ; verb `hada`
810.5
KCI등재
학술저널
135-160(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本稿는 動詞 ‘X하다’ 構文의 分析을 目的으로 한다. ‘X하다’는 單語가 아니라 ‘X#하다’라는 統辭論的 連鎖라는 점을 논의하고, ‘하다’ 없이 X가 敍述語로 기능하는 文章을 ‘名詞文...
本稿는 動詞 ‘X하다’ 構文의 分析을 目的으로 한다. ‘X하다’는 單語가 아니라 ‘X#하다’라는 統辭論的 連鎖라는 점을 논의하고, ‘하다’ 없이 X가 敍述語로 기능하는 文章을 ‘名詞文’으로 설정하였다.
일반적으로 名詞는 名詞句로 확장되는 成分으로 이해되어 왔으나, ‘名詞文’이라는 單位를 설정함에 따라 名詞가 名詞文으로도 확장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국어의 名詞는 名詞文의 核 위치, 名詞句의 核 위치, 名詞句의 非核 위치에서 쓰이게 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하다’에는 文章을 先行成分으로 하는 ‘하다1’과 名詞句를 先行成分으로 하는 ‘하다2’가 있다는 점을 논의하고, 同一한 ‘X#하다’라는 連鎖라도 X가 어떤 單位의 核인지에 따라 ‘X(명사문의 핵)#하다1’로 分析되거나 ‘X(명사구의 핵)#하다2’로 分析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structures of verb ‘X hada’ constructions. It is argued that ‘X hada’ is not a ‘word’ but a syntactical ‘X#hada’ chain, and the sentence in which X functions as a predicate without ‘hada’ is regarde...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structures of verb ‘X hada’ constructions. It is argued that ‘X hada’ is not a ‘word’ but a syntactical ‘X#hada’ chain, and the sentence in which X functions as a predicate without ‘hada’ is regarded as ‘Noun Sentence.’
Usually, It had been understood that the Noun is expanded into Noun Phrase, but in this paper, it is suggested that the Noun can also be expanded into Noun Sentence. By this, it is argued that Korean Noun can be placed at a Head of Noun Sentence, a Head of Noun Phrase, and a Non-Head of Noun Phrase.
It is argued that there are two kinds of ‘hada’ ; one is ‘hada1’ preceded by a Noun Sentence, and the other is ‘hada2’ preceded by a Noun Phrase, and that the same syntactical ‘X#hada’ chain can be analyzed as ‘X(the head of Noun sentence)#hada1’ or ‘X(the head of Noun phrase)#hada2’, depending on which kind of head X is.
近代 女性文學의 형성 원리 연구-정전의 形成과 ‘女性性’의 制度化 過程을 중심으로-
金剛山 紀行詩歌의 山水 형상화 양상-栗谷의 「遊楓嶽」과 松江의 「關東別曲」을 중심으로―
A Case-Study
Teachers TV Teachers TV2014 이러닝 국제 콘퍼런스 : Utilizing Education System through Open Source: Using Columbia Case
한국교육학술정보원 In-Sik, YooA Case Study
Teachers TV Teachers TVThe Case for Creativity in School
Teachers TV Teachers TVThe Case for Early Years Language Intervention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