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건은 대한제국기에 활동했던 프랑스어 번역관이다. 그는 전통적인 역관 집안에서 태어나 근대 번역관으로의 변신에 성공한 인물로, 실무 관료로 종사하면서 고종의 측근이 되었다. 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804103
2015
Korean
대한제국 ; 법어학교 ; 번역관 ; 현상건 ; 중립화정책 ; Hyeon sanggeon ; Great Han Empire ; French Interpreter ; Gojong ; neutralization-policy
KCI등재
학술저널
125-157(33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상건은 대한제국기에 활동했던 프랑스어 번역관이다. 그는 전통적인 역관 집안에서 태어나 근대 번역관으로의 변신에 성공한 인물로, 실무 관료로 종사하면서 고종의 측근이 되었다. 고...
현상건은 대한제국기에 활동했던 프랑스어 번역관이다. 그는 전통적인 역관 집안에서 태어나 근대 번역관으로의 변신에 성공한 인물로, 실무 관료로 종사하면서 고종의 측근이 되었다. 고종이 황제권 강화와 중립화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언어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그 기반 마련에 기여하였다. 러 · 일전쟁기에는 고종의 뜻에 따라 중립화를 추진하면서 정국을 타개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그의 생애와 관직활동은 대한제국기 한 실무관료의 역정과 고종 측근세력의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대한제국기 그는 매우 다양한 활동을 보이는데, 크게 고종의 황제권 강화, 황실 재정 충실화, 중립화 노선 실천으로 구분된다. 먼저 그는 법규교정소나 궁내부, 원수부 등 주요 권력기관에 진출하여 황제권 강화를 위한 법률적 기반을 만들고, 고종의 외교권 및 군사력 장악을 위한 실무 작업에 종사하였다. 또한 광업 및 근대 식산흥업 기구의 관직, 회사 경영을 통해 국부의 유출을 막으면서 고종의 재정기반을 확보하는데 노력을 기울였다. 그리고 그는 고종의 대표적 대외정책이었던 중립화 노선을 일관되게 추진하였다. 서구 열강 중 프랑스의 협조와 지원을 얻어 대한제국의 영토를 보존하는 데에 기여하였으며, 러 · 일전쟁 직전에는 임시적이나마 전란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전시국외중립을 선언하였다. 러·일 침략이 더욱 가시화되었을 때에도, 중립노선을 끝까지 견지하였다. 이로써 그는 러 · 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함과 동시에 상해 망명의 길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그의 활동은 전적으로 고종과 황실의 정치적, 경제적 기반 마련을 위한 것이었다. 그리고 자신을 발탁해준 고종의 총애에 대해 충심으로 보답하는 勤王主義的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당시 실무관료로 구성된 고종 측근세력의 특징을 그대로 나타낸다. 이는 대한제국 중립화 활동이 좌절되고 일본에 의한 식민지화가 가시화되면서 망명해간 상황에서도 그대로 이어졌다. 그는 상해에서도 고종의 비선조직으로 계속 활동하면서, 러시아정보국과의 연계를 통한 구국활동에 참여하였고, 고종의 비자금 문제에도 관여하였다.
하지만 고종의 하야와 강제병합을 겪은 뒤, 그에게서는 친일적인 행보변화가 감지되었다. 고종에 의해 발탁되고, 고종의 뜻을 충성스럽게 실현하는데 수고를 아끼지 않았던 만큼, 절대적인 충성의 대상이 사라진 이후의 변화는 예측 가능한 것이었다. 나아가 이는 국가보다는 고종에 대한 충성을 보였던 실무적인 측근세력의 특성이자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한불외교사(한불수교100주년기념 국제학술회의)" 평민사 1987
2 나애자, "한국근대해운업사연구" 국학자료원 1998
3 전우용, "한국 회사의 탄생"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4 W.F.샌즈, "조선의 마지막 날" 미완 1986
5 김명섭, "유럽의 델카세체제가 대한제국과 프랑스 사이의 외교관계에 미친 영향, 1898-1905" 한국유럽학회 29 (29): 109-138, 2011
6 "뮈텔주교일기"
7 이성환, "러일전쟁과 대한제국의 중립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8 (8): 165-186, 2005
8 서영희, "러·일전쟁기 대한제국 집권세력의 시국대응" (25) : 1997
9 김창석, "동방명주를 빛낸 사람들" 연변인민출판사 2009
10 조재곤, "대한제국의 식산흥업정책과 상공업기구" 한국학연구소 34 : 941-968, 2010
1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한불외교사(한불수교100주년기념 국제학술회의)" 평민사 1987
2 나애자, "한국근대해운업사연구" 국학자료원 1998
3 전우용, "한국 회사의 탄생"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4 W.F.샌즈, "조선의 마지막 날" 미완 1986
5 김명섭, "유럽의 델카세체제가 대한제국과 프랑스 사이의 외교관계에 미친 영향, 1898-1905" 한국유럽학회 29 (29): 109-138, 2011
6 "뮈텔주교일기"
7 이성환, "러일전쟁과 대한제국의 중립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8 (8): 165-186, 2005
8 서영희, "러·일전쟁기 대한제국 집권세력의 시국대응" (25) : 1997
9 김창석, "동방명주를 빛낸 사람들" 연변인민출판사 2009
10 조재곤, "대한제국의 식산흥업정책과 상공업기구" 한국학연구소 34 : 941-968, 2010
11 이영학, "대한제국시기의 기록관리" 한국기록학회 (19) : 153-192, 2009
12 H.B. 헐버트, "대한제국멸망사" 집문당 2006
13 徐珍敎, "대한제국기 정치지배세력과 정국운영" 한국근현대사학회 26 : 36-70, 2003
14 김현숙, "대한제국기 궁내부 고문관 샌즈(W. F. Sands)의 개혁론과 중립화안의 성격" 호서사학회 (51) : 69-103, 2008
15 에밀 부르다레,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 글항아리 2009
16 이광숙, "대한제국 법어학교에 관한 연구" 언어교육원 48 (48): 177-195, 2012
17 까를로 로제티, "꼬레아 꼬레아니" 숲과나무 1996
18 이광린, "구한말의 관립외국어학교에 대하여" (20) : 1964
19 홍순호, "구한말 서구열강의 대한인식" 20 (20): 2002
20 서영희, "광무정권의 형성과 개혁정책 추진" (26) : 1997
21 최덕규, "고종황제의 독립운동과 러시아 상하이 정보국(1904~1909)"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1) : 43-84, 2014
22 "駐韓日本公使館記錄"
23 김현숙, "韓國 近代 西洋人 顧問官 硏究 (1882-1904)"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24 "譯科榜目"
25 김영범, "玄鼎健의 생애와 민족혁명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70) : 149-198, 2012
26 金良洙, "朝鮮後期의 譯官身分에 관한 硏究" 延世大學校 大學院 1987
27 엄찬호, "主權守護를 위한 高宗의 特使外交" (15·16) : 2000
28 오진석, "1898~1904년 漢城電氣會社의 설립과 경영변동" 국학연구원 (139) : 175-239, 2007
29 현광호, "1880년대 후반~1890년대 전반기 조선의 프랑스 인식" 인문학연구원 (44) : 445-476, 201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6-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무악실학회 -> 역사실학회영문명 : Mooak Silhakhoe : The Historical Society Of Mooak Silhak -> Yeoksa Silhakhoe: The Historical Society of Yeoksa Silhak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5 | 0.65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69 | 1.438 | 0.21 |